16.2Km 2023-08-10
서울에 인접한 광주는 15세기 이후 조선백자를 생산하던 중앙관요가 밀집해 있었다. 현재 82개소에 달하는 조선백자 관련 유적이 남아있으며, 선조들의 맥을 잇는 도공들이 지금도 활발히 작업하고 있다. 병자호란의 현장인 남한산성 일대는 수도권 등산로로 인기 있고, 서울에 식수를 공급하는 팔당호는 시원스런 풍광이 일품이다.
16.2Km 2023-08-08
국내에서 11번째로 세계유산에 등재된 남한산성은 야경 또한 탐스럽다. 산성 주변에 흩어진 유적 사이를 걸으며 숲과 성곽 둘레길이 선사하는 한낮의 여유를 만끽했다면, 해 질 무렵에는 산성에서 바라보는 야경에 취해보자. 남한산성 서문 위에서 바라보는 서울을 아우른 야경은 시대를 넘어서는 아득한 추억을 만들어낸다. 야경을 감상하는 최고의 포인트는 서문 성곽 위다.
16.2Km 2025-03-14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1
과거 한양을 지키던 4대 요새 중 하나인 남한산성을 품은, 남한산성도립공원이 있다. 북쪽의 개성, 남쪽의 수원, 서쪽의 강화, 동쪽의 광주였다. 동쪽의 광주에는 남한산성이 있었다.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24km, 성남시에서 북동쪽으로 6km 떨어져 있는 남한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이는 총 12.4km(본성 8.9km, 외성 3.2km, 신남 산성 0.2km), 높이는 7.3m이다. 원래 2천여 년 전,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다. 그 옛 터를 활용하여 후대에도 여러 번 고쳐 쌓다가, 조선조 광해군 때(1621) 본격적으로 축성하였다 한다. 석축으로 쌓은 남한산성의 둘레는 약 12km이다. 자연석을 써 큰돌을 아래로, 작은 돌을 위로 쌓았다. 동서남북에 각각 4개의 문과 문루, 16개의 암문을 내었으며 동서남북 4곳에 장대가 있었다. 성 안에는 수어청을 두고 관아과 창고, 행궁을 건립했다. 유사시에 거처할 행궁은 상궐 73칸, 하궐 154칸, 좌전 26칸으로, 모두 252칸을 지었다. 80개의 우물, 45개의 샘을 만들고 광주읍의 행정처도 산성 안으로 옮겼다. 이쯤 되면 남한산성의 중요성과 성안이 유치 가능 인구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산성이 축조되고 처음으로 시행(인조 17년, 1639)된 기동 훈련에 참가한 인원만 해도 12,700명이었다. 그러나 지금 성내에 남아 있는 건물은 불과 몇 안 된다. 동·남문과 서장대, 현절사, 연무관, 장경사, 지수당, 영월정, 침괘정, 숭렬전 이서 장군사당, 보, 루, 돈대 등이 남아있다. 그중 4대 문과 수어장대, 서문 중간쯤의 일부 성곽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남한산성은 사적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16.2Km 2025-11-03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평체육공원길 13
031-772-2622
양강섬예술축제는 양평을 대표하는 문화브랜드 축제로, 매년 양평의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과 전시, 체험 프로그램이 펼쳐지는 축제이다. 이 축제는 양평이 지닌 공동체적 가치와 지역 예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군민이 예술을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향유할 수 있도록 기획되고 있다. 또한 지역 예술인들의 창작 활동을 장려하고, 방문객에게는 예술과 자연이 어우러진 독특한 문화경험을 제공한다. 2025년에는 ‘국악’을 중심 주제로 삼아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시도하며, 예술성과 대중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16.2Km 2023-08-11
도심에서 가까운 경기도 지역 코스다. 광주의 남한산성 도립공원에서 선성을 따라 거닐어 보고 얼굴 모양을 딴 목각인형, 도자기 등의 특이한 박물관을 방문해보자. 아이들과 함께라면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팔당호를 따라 길게 뻗은 드라이브 코스를 달리는 것도 경기도에서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이다.
16.2Km 2025-04-29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45-10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에 있는 40년 동안 매일 아침에 주먹 두부를 직접 만드는 두부 전문집이다. 완성된 두부는 면포에 싸서 굳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주먹 모양처럼 생겼다하여 주먹 두부라고 한다. 이 주먹두부가 두부 요리에 들어간다. 이 집의 대표메뉴는 두부 전골이다. 주먹 두부를 주문하면 흰 접시에 주먹 두부와 신김치, 간장을 함께 주는데 궁합이 서로 잘 맞는다. 순두부 백반, 산채비빔밥, 토종닭백숙, 토종닭볶음탕 등의 메뉴도 있다.
16.2Km 2025-10-23
경기도 광주시 회안대로 891 (송정동)
031-789-5742
'허난설헌문화제 <청년, 초희>'는 조선시대 대표 시인 '허난설헌'을 27살 청년 예술가 '초희(楚姬)'로 바라보며 그녀가 남긴 예술을 재조명하고 현시대 청년과 예술가를 주목하는 광주시 대표 문화예술축제이다.
또한 가족 친화적인 인문학적 프로그램과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시민이 함께 즐기고 만드는 시민 참여적인 축제이다.
전국 백일장 공모전을 통해 허난설헌과 같은 뛰어난 청년 예술가를 발굴하고 추후 문학상 발전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 자세한 사항은 광주시문화재단(www.nsart.or.kr)을 참고
16.2Km 2025-10-27
경기도 광주시 회안대로 891 (송정동)
광주시문화재단 남한산성아트홀은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클래식, 콘서트, 뮤지컬 등의 공연과 다양한 문화 예술 전시를 개최하는 복합문화 예술 공간이다. 2011년에 개관했으며, 270평 규모, 객석수 1038석의 대극장과 44평 규모, 객석수 270석의 소극장이 있다. 시에서 주도해오던 지역 축제 사업도 문화 재단이 맡으면서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전혀 새로운 콘텐츠로의 변모를 시도하고 있으며, 청소년 음악콩쿠르, 허난설헌문화제, 찾아가는 영화관 등 문화 재단 특화사업도 다양하게 계획 중이다. 이 외에도, 8개의 예술 아카데미실에서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피아노와 바이올린, 발레, 성악, 수묵화 등의 다양한 예술 교육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또, 갤러리 1, 2에서는 지역 예술가와 공동 전시를 개최하기도 하는 등 지역 문화 예술의 부흥에 앞장서고 있다.
16.3Km 2025-06-26
경기도 남양주시 가운로 135-7 (다산동)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에 있는 순두부 전문 음식점이다. 가마솥 밥이 나오는 순두부가 대표 메뉴로 해물을 넣은 해물 순두부부터, 해물과 소고기를 넣은 섞어, 햄을 넣은 부대, 소곱창과 양을 넣은 곱창, 만두, 조개, 버섯, 들깨, 초당, 청국장 등 다양한 순두부가 있다. 반찬으로 김치, 김, 오징어젓갈, 굴비, 오이무침 등이 제공된다. 식사 마무리는 가마솥 숭늉에서 누룽지를 한 숟갈 뜨고 그 위에 오징어 젓갈을 얹어 먹는다. 안주류로 한판보쌈, 두부보쌈, 파전, 두부김치 등이 있고, 여름 메뉴로 콩국수가 있다. 가까이에 중앙 근린공원, 가운 문화공원이 있다.
16.3Km 2024-04-29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295
고덕평생학습관은 1984년 고덕도서관으로 개관한 이래 지역주민의 정보 욕구와 독서생활화에 기여해 온 곳으로, 1997년 고덕평생학습관으로 개칭하였다. 고덕평생학습관은 종합자료실, 전자정보 코너, 일반열람실, 어린이열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종합자료실은 모든 주제의 일반도서와 신문, 잡지 등의 간행물이 비치되어 있다. 전자정보 코너는 다양한 전자정보 제공을 위해 CD-ROM 자료를 비치하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18대의 컴퓨터가 있다. 어린이열람실은 유아, 어린이 도서 및 정기간행물이 비치되어 있으며 독서교실, 독서회 등의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성인문화교실, 어린이 문화교실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성인문화교실에는 한문반, 서예, 영어 등의 강좌가 마련되어 있고, 어린이 문화교실에는 어린이 한문, 색종이 접기 등의 강좌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밖에도 가족백일장 대회, 이야기 교실, 서화 및 꽃꽂이 등의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