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정보를 소개합니다.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설명

과거 한양을 지키던 4대 요새 중 하나인 남한산성을 품은, 남한산성도립공원이 있다. 북쪽의 개성, 남쪽의 수원, 서쪽의 강화, 동쪽의 광주였다. 동쪽의 광주에는 남한산성이 있었다.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24km, 성남시에서 북동쪽으로 6km 떨어져 있는 남한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이는 총 12.4km(본성 8.9km, 외성 3.2km, 신남 산성 0.2km), 높이는 7.3m이다. 원래 2천여 년 전,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다. 그 옛 터를 활용하여 후대에도 여러 번 고쳐 쌓다가, 조선조 광해군 때(1621) 본격적으로 축성하였다 한다. 석축으로 쌓은 남한산성의 둘레는 약 12km이다. 자연석을 써 큰돌을 아래로, 작은 돌을 위로 쌓았다. 동서남북에 각각 4개의 문과 문루, 16개의 암문을 내었으며 동서남북 4곳에 장대가 있었다. 성 안에는 수어청을 두고 관아과 창고, 행궁을 건립했다. 유사시에 거처할 행궁은 상궐 73칸, 하궐 154칸, 좌전 26칸으로, 모두 252칸을 지었다. 80개의 우물, 45개의 샘을 만들고 광주읍의 행정처도 산성 안으로 옮겼다. 이쯤 되면 남한산성의 중요성과 성안이 유치 가능 인구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산성이 축조되고 처음으로 시행(인조 17년, 1639)된 기동 훈련에 참가한 인원만 해도 12,700명이었다. 그러나 지금 성내에 남아 있는 건물은 불과 몇 안 된다. 동·남문과 서장대, 현절사, 연무관, 장경사, 지수당, 영월정, 침괘정, 숭렬전 이서 장군사당, 보, 루, 돈대 등이 남아있다. 그중 4대 문과 수어장대, 서문 중간쯤의 일부 성곽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남한산성은 사적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홈페이지

http://www.gg.go.kr/namhansansung-2


이용안내

세계 문화유산

유모차 대여 : 불가

신용카드 가능 : 없음

문의 및 안내 : 031-8008-5155

주차시설 : 가능

쉬는날 : 매주 월요일

이용시간 : [남한산성 행궁]
하절기(4월~10월) 10:00~18:00
동절기(11월~3월) 10:00~17:00
※ 관람시작시간 30분전 매표 시작, 관람마감시간 30분전 매표 마감



상세정보

입산통제 기간
산불방지 및 자연생태계 보전으로 인한 입산 통제
* 봄철 2월 1일 ~ 5월 15일
* 가을철 11월 1일 ~ 12월 15일
※ 기상현황에 따라 변동 가능 / 방문전 확인 요망

등산로
[1코스]
산성로터리 - 북문 - 서문 - 수어장대 - 영춘정 - 남문 - 남문로터리
[2코스]
산성로터리 - 영월정 - 숭렬전 - 서문 - 수어장대 - 산성로터리
[3코스]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 현절사 - 벌봉 - 장경사 - 망월사 - 동문 -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4코스]
산성로터리 - 남문 - 남장대터 - 동문 - 지수당 - 개원사 - 산성로터리
[5코스]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 동문 - 동장대터 - 북문 - 서문 - 수어장대 - 영춘정 - 남문 - 동문 -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등산로


관광코스안내
[남한산성 행궁] (약 50분 소요)
한남루(입장)-외삼문북행각-외행전-통일신라시대건물지-일장각-좌승당-이위정, 후원-재덕당-내행전-한남루(퇴장)-통일신라와적지

입 장 료
무료

화장실
있음

외국어 안내서비스
[남한산성 문화재 외국어 해설 안내]
* 예약안내 : 남한산성 방문자센터 031-745-2845
* 제공언어 :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안내서비스
[남한산성행궁 한국어 해설안내]
 * 평일 11:00 / 13:00 / 14:00 / 16:00
 * 휴일 10:00 / 11:00 / 12:00 / 14:00 / 15:00 / 16:00
※ 남한산성행궁 개별 자유관람 가능, 문화유산해설은 별도의 예약없이 시간제 운영
※ 남한산성 해설안내 031-746-1088


위치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1

꿩고개공원

꿩고개공원

2025-08-21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꿩고개공원은 자연이 보존된 생태숲으로 한강변에 위치하며, 자연환경이 뛰어나다. 연접한 방화근린공원이 이용 중심 공원이라면 꿩고개 공원은 생태적으로 최소한의 시설을 설치하고 기존의 생물종을 보호하기 위한 생물서식 공간 및 소동물 이용통로 등이 조성되어 있다. 강서의 대표적인 야경 명소인 치현정이 꿩고개공원 내 위치하고 있으며, 치현산 고개에서 행주산성,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정자이다. 이 고개가 꿩사냥하기 좋아 꿩고개로 불렸으며 꿩고개를 한자로 치현[ 稚峴]이라고 한다. 이 곳 치현정에서 바라보는 경치는 옛 겸재 정선의 행호관어[杏湖觀漁]그림과 사천 이병연의 한시에서도 엿 볼 수가 있다. 강서둘레길 2코스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방화대교 촬영 명소로 유명하다.

세미퍼블릭(SEMIPUBLIC)

세미퍼블릭(SEMIPUBLIC)

2025-08-20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조치원로 3-1

세미퍼블릭(SEMIPUBLIC) 은 ‘반쯤 열린’이라는 의미처럼, 공공성과 사적 공간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복합문화예술 공간이다. 창작 중심의 스튜디오이자 로컬 예술 커뮤니티로, 미술 재료·디자인 북·조형 오브제가 감각적으로 배치된 환경 속에서 다양한 창작 활동과 예술 체험이 이루어진다. 방문객은 지역 아티스트의 감성과 현대적 예술 세계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운영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소도시 일상 속에서 특별한 영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세미퍼블릭은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 누구나 쉽게 예술을 경험하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티스푼(ARTEASPOON)

아티스푼(ARTEASPOON)

2025-08-19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흥로36길 7 (후암동)

아티스푼은 그림과 음악, 책과 이야기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농담, 말담, 청담 등 오감을 열고 나의 감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프로그램이 준비되어있다. 외국인 대상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테마로 하는 별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서울타워가 자리한 남산 자락, 용산구 후암동 하늘계단에 위치한 아티스푼에서 나홀로, 함께 예술이 주는 생경함과 신비함을 느껴보시기 바란다.

키위스파랜드

키위스파랜드

2025-08-18

인천광역시 계양구 아나지로 306 (작전동)

키위스파랜드는 인천에 위치한 연면적 1,380평 규모의 24시간 찜질방이다. 식혜와 치킨 등 다양한 먹거리도 즐길 수 있으며, 북카페, 키즈카페, 야외 테라스 등 넓은 규모에 맞게 다양한 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입장 후 12시간 이용 가능하며 초과 시 1시간당 2,000원씩 추가된다.

영뜰해변

영뜰해변

2025-08-18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

영뜰해변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에 위치한 해변으로, 볼음도에서 가장 넓은 해안선을 자랑한다. 바닷물이 빠지는 간조 시에는 약 6㎞에 이르는 광활한 갯벌이 드러나며, 갯벌 체험이나 자연 관찰 활동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해변 중앙에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어 탁 트인 서해의 풍경과 함께, 저어새를 비롯한 다양한 철새들이 비행하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

고성 금강산

고성 금강산

2025-08-18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길 100

민족의 명산이라 불리는 금강산은 화암사 입구부터 이어지는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일만 이천 개의 봉우리 중 가장 남쪽 봉우리인 신선봉에 닿는다. 신선봉 남쪽에는 울산바위가 자리하고 있으며, 금강산이 되기 위해 울산에서부터 올라오다가 선착순에 들지 못해 주저앉았다는 전설이 내려오는 바위다. 둘레가 4㎞에 달하는 여섯 개의 거대한 바위는 그 자체로도 엄청난 존재감을 자랑하며, 신선봉으로 가는 길에는 울산바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명소인 ‘버섯바위’라 부르는 장소가 있다. 이곳의 비경이 조금씩 알려지면서 등산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입산 통제 기간과 울산바위가 보이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가는 것이 좋다. 등산 코스는 1.2㎞길이의 급경사 코스인 '등산하는 길', 2㎞길이의 완경사 코스인 '산림치유 길'로 나뉘어 있는데, 어느 코스를 선택하든 약 1시간 정도면 버섯바위에 도착한다. 등산로를 따라 신선대까지 왔다면 남쪽 숲으로 이어지는 오솔길을 따라가야 울산바위를 볼 수 있는 너른 바위인 버섯바위가 나타난다. 암반 지대 초입에서 울산바위가 빚어낸 절경을 훤히 감상할 수 있으며 끝쪽은 돌풍이 많이 부는 곳이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철도문화공원

철도문화공원

2025-08-13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동

철도문화공원은 진주역이 이전된 이후 남아 있던 철도시설과 부지를 활용하여 조성된 공원이다. 옛 진주역 차량정비고를 비롯해 다목적 문화시설, 복합 커뮤니티 공간, 맹꽁이 생태공원, 야외 전시마당 등이 조성되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공원 내 일호광장 진주역은 옛 진주역의 모습을 재현한 장소이다. 진주역의 역사와 사용했던 물품, 사진, 기록물 등이 전시되어 진주 지역 철도 문화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계절별로 다양한 전시와 행사가 열려 시민들의 문화 향유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성주우물터 은행나무

성주우물터 은행나무

2025-08-12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성주우물터 은행나무는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 자리한 나무로 1988년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은행나무가 위치한 이곳은 가양아파트단지가 들어서기 전까지만 하여도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많은 일화와 전설이 어우러진 유서가 깊은 곳이다. 한강 하류의 중요한 요충지로서 고려 이전에는 개성과 평양으로 가는 지름길이 공암나루를 건너서 행주, 파주를 거치는 것이어서 큰 나루가 있던 곳이기에 나루를 건너던 선객들에게 일어났던 일화가 많으니 투금탄, 한산모종, 공무도하가 등 많은 전설이 내려온다. 은행나무는 양천현의 객사였던 파릉관 부속 누대인 소악루 자리에 심긴 나무로, 겸재 정선의 그림 속에도 등장하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보호수이다.

논산 충헌사

논산 충헌사

2025-08-11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1길 16

논산 충헌사는 1626년(인조 4)에 세운 사당으로 충헌공(忠公) 양치楊治)·양희지(楊熙止)·양응춘(楊應春)·양훤을 배향하여, 매년 음력 9월 중정일(中丁日)에 제향한다. 충헌사는 2007년 11월 3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주곡리입구 장승배기에서는 매년 정월 14일 저녁에 장승제를 지내는데, 그 유래가 양춘건이 숯골로 입향한 후 마을의 화합을 위해 지내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이라고 한다.

합덕제수변공원

2025-08-11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

합덕제는 황해도 연안남대지, 김제 벽골제와 함께 조선 3대 저수지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농경지로 활용되고 있다. 저수를 위해 조성된 제방만 원형대로 길게 남아 있으며, 제방이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역사적·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9년 4월 충청남도 기념물 제70호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에는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로부터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합덕제 인근에는 수리의 중요성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이 위치하고 있다. 박물관에는 조상들의 수리농경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전시물이 마련돼 있으며, 약 20여 종의 수리농경 체험 도구가 설치돼 있어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