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Km 2024-09-02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부흥로 245
경기도 파주에 있는 피우리하우스는 1인당 체험비를 내면 음료와 다육이 심기 체험을 제공하는 카페 컨셉의 농장이다. 커피를 마시고 나만의 반려식물도 만들 수 있어 이색체험 장소로 손꼽힌다. 온갖 꽃과 나무들로 가득한 곳곳에 음료를 마시며 쉴 수 있는 오두막과 파라솔, 해먹 등의 휴게공간이 있다. 농장에 열린 다양한 과실로 만든 차와 에이드, 주스를 비롯해 아이들이 좋아하는 초코라떼와 아이스크림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컵홀더로 쓰인 종이컵에 마음에 드는 다육이를 골라 심어 집으로 가져갈 수 있다. 모든 음료 가격에 다육이 심기 체험이 포함된다. 월롱IC에서 차량으로 약 18분 소요된다. 키즈케어존이지만 안전과 시설물 파손 문제로 유모차는 실내 출입이 제한된다.
16.4Km 2025-04-17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부흥로 242
031-957-2004
동서양의 아름다운 정원을 모두 품은 벽초지수목원에서, 아래와 같이 2025년 벽초지수목원 튤립 봄꽃축제를 진행한다. 4월 12일 ~ 5월 6일동안 튤립 봄꽃 축제가 진행된다.
16.4Km 2023-05-16
경기도 파주시 부흥로 242
파주시와 연천군, 철원군에서 만나는 코스로 다양한 식물과 꽃이 만발하는 수목원부터 가을날 붉게 물드는 댑싸리 군락지까지! 어느 계절에 와도 오색찬란한 풍경이 펼쳐진다.
16.5Km 2025-08-11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하계어린이공원은 노원구 하계동 경춘선 숲길 바로 옆에 있다. 경춘선 숲길은 과거 ‘춘천 가는 기차’가 통과했던 철로를 도시재생사업으로 새롭게 관광명소로 개발한 곳이다. 그 곳을 따라 걷다보면 하계어린이공원에 도착한다. 7호선 하계역에서 도보로 약 5분 정도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공원에 디즈니랜드에서나 볼 수 있었던 회전 미끄럼틀, 나비 되어보기, 나무나이 맞추기, 자연의 소리듣기 등 70여 가지의 기능을 갖춘 15m 높이의 자이언트 나무 놀이대가 있다. 자이언트 나무에 미끄럼틀과 구름다리를 만들어 다양한 이야기들과 함께 놀이터를 구성해 놓았다. 높이가 낮은 미니 암벽과 잠자리 모양 그네, 모래 놀이터도 있다. 손 씻는 곳도 준비되어 있어서 놀이 후에 간단히 손을 씻을 수 있다.
16.5Km 2025-07-31
서울특별시 강북구 덕릉로42길 49 (번동)
오동근린공원 유아숲체험장은 2013년 개장한 오동근린공원 내 위치한 체험장으로 어린이들이 집 가까이에서 늘 숲과 자연을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된 곳이다. 오동근린공원은 강북구의 번동과 미아동 외 5개 동과 성북구 월곡동에 걸쳐 있는 대단위 공원으로 오패사와 벽오산의 두 봉우리가 있어 언덕을 이루며 푸른 숲이 잘 보존된 자연 생태 공간이다. 숲 체험장 길을 따라가다 보면 참나무, 소나무, 진달래, 감국 등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으며 연못, 흙 놀이장, 숲속 놀이집, 놀이데크, 밧줄 놀이, 숲속 교실, 산책로 등 체험놀이시설이 있어 아이들에게는 자연학습장이자 숲속 놀이터가 되고 있다.
16.5Km 2025-06-19
경상북도 경주시 황성동
경주 황성공원은 신라 때 화랑들의 훈련장으로 쓰일 만큼 역사가 오래된 숲에 자리해 있다. 삼릉에 뒤지지 않는 멋스러운 소나무와 수 백 년 수령을 자랑하는 고목이 어우러져 울창한 숲을 이룬다. 여름이면 솔숲 산책로에 맥문동 군락이 조성되어 수려한 풍광을 더해주고, 가을이면 느티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고목이 아늑하게 물든다. 도심 속 힐링 공간으로 경주시민과 관광객의 사랑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여름에는 무료 물놀이장을 개장해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기 좋다. 문화유적 답사에 지친 여행자들의 발을 편하게 해주는 쉼터 구실을 하고 있으며, 가을인 10월 초순에는 격년제로 신라문화제가 열려 볼거리가 있다.
16.5Km 2025-01-09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로 1
본원정사(本願精舍)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삼각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대각회 소속의 사찰이다. 본원정사에는 한국전쟁 때 태고사에 불이 나서 옮겨왔다고 전하는 목조지장보살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지장보살은 석가모니 부처님과 미륵불 사이인 부처님 없는 시대에 중생들을 교화하는 대비보살이다. 특히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원하기 위해 지옥에 들어가 교화해 제도하는 보살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80년대 초 주지소임을 맡은 원성스님은 이 지장보살상에 감화를 받아 지장보살의 본원을 따르고자 서원을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절 이름도 본원정사로 바꾸었다. 이후 본원정사를 사바세계 중생들의 몸과 마음의 병을 다스릴 수 있는 도량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언제나 열려있는 도량으로 서울시민과 불자들에게 번잡한 마음을 쉴 수 있게 하고, 기도할 수 있는 도량으로 본원정사를 장엄하고 있다.
16.5Km 2025-07-29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393 (북한동)
중흥사는 북한산성 내 승영 사찰과 승별 350여 명을 관리하고 지휘하던 승군 사령부가 있던 사찰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려시대인 1103년(숙종 8)에 주조된 금고와 1344년(충혜왕 5)에 만들어진 향로(보물)에 ‘삼각산 중흥사’라는 명문이 있어 12세기 초 이전에 사찰이 이미 세워져 있었음을 말해준다. 북한산성의 축성 경위와 시설물을 기록한 『북한지(1745)』에 따르면 중흥사는 30여 칸 규모의 사찰에 불과했지만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 축성 시기에 대규모로 증축해 136칸의 큰 사찰이 되었다고 한다. 이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숙종이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벌인 대대적인 축성 사업 중 하나였다. 북한산성 내에는 11개 사찰에 승군이 주둔했는데, 승군의 총 지휘자인 도총섭이 중흥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당시 중흥사에는 삼존불상을 봉안한 대웅전을 중심으로 만세루와 산신당, ‘중흥동문’이라는 글자를 새긴 비석 등이 세워졌다. 그러나 1915년 홍수로 인해 무너진 후 다시 짓지 못했다. 이후 폐허 상태였다가 2012년 대웅전과 요사채를 복원하였다.
16.5Km 2025-07-29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184 (북한동)
경기도 고양시 무량사는 북한산성 입구인 대서문 안쪽에 위치해 있으며, 고종의 후궁인 순빈 엄씨와의 인연으로 사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순빈은 지금의 무량사 자리에 산신각을 짓고 약사불좌상과 산신탱화를 모신 뒤 백일기도를 올려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 이 아들이 바로 영친왕 이은(1897~1970)이다. 이런 이유로 이 절은 순빈의 원당이 되었으며, 일반인에게는 백일기도를 올리면 소원을 들어주는 사찰로 알려졌다. 현재 약사불좌상과 산신탱화는 약사전에 모셔져 있다. 북한산성의 방어를 위하여 승병을 주둔시켰던 승영사찰은 아니지만, 1900년 전후에 제작된 약사불좌상과 산신탱화가 모셔져 있어 경기도 전통사찰 1호로 지정되었다. 여기서 약사불이란 질병 치료, 수명 연장, 재앙 소멸 등으로 중생을 구제하는 부처를 말하며, 산신탱화란 비단이나 종이 등에 산신의 모습을 그려 벽에 걸 수 있게 만든 그림을 뜻한다. 경내에 약수가 있어 ‘약수암’이라고도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