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M 2024-01-30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무왕로2길 264-10 cafe ARERA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있는 아레라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디저트 카페다. 익산 특산물인 쌀과 고구마를 이용한 미미미(쌀라테), 식혜, 고구마판나코타 등이 있고 다양한 찻잔이나 나무 스푼, 볼펜 같은 굿즈도 판매한다. 1층과 2층으로 운영되고 있고 야외 테이블도 있다. 반려견 동반이 가능하며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방 시설을 갖추고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도 많다. 아늑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실내에서 즐기는 차와 다과는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에 휴식을 선사한다. 인테리어와 뷰가 좋아 사진 맛집으로도 유명하다.
821.3M 2024-12-11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군익로11길 29-11 (모현동1가)
부도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모현동 부도는 군산의 보천사에 있던 것을 혜봉원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연화당부도라 부르기도 한다. 전체적인 모습은 낮은 사각바닥돌 위로 3단을 이루는 8각 기단을 쌓고, 공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후 8각 지붕돌을 얹은 구조이다. 기단 중에서 아래받침돌은 두 겹의 연꽃잎을 둘러 새겼으며, 그 위로는 가운데받침돌을 괴기 위한 높직한 받침을 하나 더 두었다. 이 받침은 이 부도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모습으로,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서 각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며, 위아래에 연꽃무늬 등을 새겨 장식하였다. 가운데받침돌은 그에 비해 아주 낮고, 윗받침돌은 8잎의 연꽃을 새겼다. 지붕돌은 윗면의 경사가 급하며, 꼭대기에는 낮은 받침 위로 둥근돌과 꽃봉오리 모양의 돌을 차례로 얹어 머리장식을 하였다. 높직한 기단이나 길쭉해진 머리장식 등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길어 보이는 느낌을 주고 있다. 가운데받침돌을 괴어주는 높직한 받침은 이 부도의 독특한 특징이 되고 있는데, 표현된 조각의 솜씨로 보아 훗날에 만들어 새로 끼워 둔 것으로 보인다.
932.8M 2024-05-30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배산로 71-4
063-858-1366
동해안은 활어회, 찜, 탕 전문점이며 생선회와 해물, 각종 삶은 요리들이 제공된다. 배산체육공원, 혜봉원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모현동부도, 백산서원, 매곡사 등의 관광 명소가 인근에 자리하고 있어 익산을 관광하는데도 지리적 이점이 있다.
1.8Km 2024-10-10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배산로 191
063-855-5325
‘서부생선가’는 전북 익산시에 위치한 식당으로 회는 산지에서 직송한다. 또한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은 천연 재료로 만든 매운탕과 이밖에도 별미인 아귀찜이 있다. 매장 내부는 입식 좌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별도로 룸도 있어서 미리 예약 시 개별적인 식사가 가능하며 매장 전용 주차장이 있어 주차걱정 없이 편안하게 식사가 가능하다. 이곳은 배산체육공원, 혜봉원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모현동부도, 백산서원, 매곡사 등의 관광 명소가 인근에 자리하고 있어 익산을 관광하는 데도 지리적 이점이 있다.
1.9Km 2024-09-20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1길 17 (창인동1가)
063-841-6538
익산시 청년을 위한 청년의 날을 기념하여 익산 중앙동 젊음의 거리 일대에서 청년들에게 활력을 제공할 로컬 행사. 청년의 날 축제, 청년은 맵다. 를 진행한다. 맵다 + 청년 의 키워드를 더해 = 청년 "할 수 있어" 의 의미를 전달한다. 청년 (20-30) 을 타겟으로 익산청년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 (불닭볶음면 매뉴 개발, 각종 체험 및 게임, 퀴즈와 공연) 를 구성하여 차년도에도 지역 청년들이 즐길 수 있는 로컬 행사로 발전을 도모한다. 청년마을 익산 내 기업 (삼양, 하이트) 과 함께 협업하여 지역 축제에 청년들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고, 로컬 업체와 함께 축제 음식을 직접 개발하는 등 지역의 특색을 살린 청년 축제가 되도록 여러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나아가 지역 기업과 지역 축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게 한다.
1.9Km 2025-08-11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 12-151 (중앙동2가)
독립운동가 김병수에 의해 지어진 큰 규모의 병원시설이었으나 현재는 익산근대역사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번화가 거리였던 중앙동에 독립운동가이자 의사인 김병수가 1922년에 삼산의원으로 개원했던 건물이다. 연면적 289.26㎡의 2층 건물로 당시로서는 규모가 큰 건물이었다. 건축 벽면에 수평의 띠 모양을 돌출시킨 코스코 장식을 두르고 건물 입구의 포치는 아치형을 이룬다. 8·15 광복 뒤에는 한국무진회사와 국민은행의 건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익산근대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층 전시실의 왼쪽 벽면에 남아 있는 금고와 창문틀은 당시 사용했던 실제금고와 당시의 창문 모습을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1.9Km 2025-06-10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 12-151 (중앙동2가)
063-843-8816
익산 근대역사문화축제는 '익산의 시간을 거닐다' 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익산문화예술의거리 일원(익산아트센터, 익산근대역사관, 익산시민역사기록관) 및 솜리근대역사문화공간(솜리문화금고, 항일독립운동기념관)1910년대부터 광복까지 근대사의 흐름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시민 참여형 축제이다. 시대별 주제곡 공연, 토지대장 미션투어 및 체험프로그램, 경성의복 체험, 독도 플래시몹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1.9Km 2024-06-12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평동로1길 28-4
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실 및 창고는 1930년에 지어져 1996년까지 전북농지개량조합의 청사로 사용된 건물로서 현재 익산문화관광재단 익산문화도시지원센터 사무실로 이용되고 있다. 일본인 농장 지주들이 미곡의 생산량을 늘리고자 1930년에 지은 익옥수리조합의 사무소이다. 토지 개량과 수리 사업을 명분으로 설립되어 과다한 공사비와 수세(水稅)를 부담시켜 지역 농민을 몰락시키는 등 일제에 의한 우리나라 근대 농업 수탈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건물의 사무동은 연면적 237.3㎡, 창고는 건축면적 59.5㎡이다. 정면 중앙의 출입구와 그 위쪽 창호 부분은 테두리에 꽃잎 무늬 형상의 인조석으로 치장하여 붉은 벽돌과 대비를 이루며 맨사드 지붕의 목조 트러스 가구법에서 독특한 건축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2.0Km 2025-03-12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 22-222
063-855-5272
삼일식당은 참게장백반, 참게탕을 주 메뉴로 한다. 익산역과 인접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며 가까이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구삼산의원이 위치해 있고 새만금과 웅포, 익산역사유적지구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주변 관광지를 모두 아우를 수 있다는 지리적인 이점이 있다.
2.0Km 2025-07-25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3길 27
중앙시장은 1947년 4월에 개장한 상설시장으로 긴 세월 익산시민과 함께하며 만남과 소통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다해왔다. 1층 의류, 한복, 액세서리, 농수산물을 판매하고, 2층은 한약재, 떡, 반찬류, 식육, 음식점 등의 상가들이 형성되어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몇 해 전 새 단장을 한 중앙시장은 비올 때를 대비한 천장, 특색 있는 테마거리를 갖추고 믿을 수 있는 다양한 지역상품과 먹거리를 제공하는 21세기형 고객 맞춤 시장으로 발돋움하고 변화했다. 또 기존 시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시장 간판이 있어 전통시장을 찾는 고객들을 위한 노력과 배려를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