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Km 2025-01-21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중부로 5-4
안좌도 끝자락에 위치한 복호선착장은 작은 규모의 포구지만, 2층 규모로 지어진 여객선 터미널을 보유하고 있다. 주변에 있는 크고 작은 섬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좌도는 편안하고 풍성한 땅이라는 의미로, 천사의 섬 중 꽤 큰 규모를 자랑한다. 선착장에서는 아담한 복호마을과 자라대교 풍경도 한눈에 볼 수 있다. 이곳을 오가는 여객선은 규모가 상당히 크다. 2020년 6월 15일부터는 복호선착장에서 장산도를 경유해 신의면 상태도에 이르는 여객선 야간 운항을 시작했으며, 한 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로써 그간 주간에만 가능했던 마을 주민들의 이동이 야간에도 가능해졌다.
17.7Km 2021-03-10
전라남도 목포시 후광대로105번길 8
061-287-4432
100% 국내산 콩을 사용하여 만든 콩 요리를 판매한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콩국수이다.
17.7Km 2021-03-12
전라남도 목포시 정의로 4-5
061-262-8855
한국 보양식 장어 요리를 다양하게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장어탕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17.7Km 2025-03-31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주광리 384
해남오시아노캠핑장은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오시아노관광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해수욕장, 캠핑장, 골프장을 갖춘 종합 레저타운이라 다양한 즐길거리가 있고, 도로 및 부대시설과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 쾌적한 환경을 자랑한다. 캠핑장 사이트는 파쇄석, 잔디, 데크 세 종류다. 이곳은 특히 바다가 가까워 바다를 느끼기가 좋다. 전망 데크에서 아름다운 석양을 바라볼 수도 있고 게잡이 체험, 낚시체험과 더불어 썰물 때 갯벌에서 고동줍기 체험을 할 수도 있다. 내부 즐길거리로는 바닥분수, 커튼분수, 안개분수 등 시원한 분수시설을 운영한다. 사시사철 각기 다른 테마를 갖춘 테마별 주제 공원과 서양식 정원을 경험할 수 있는 종합화훼단지 남도 플라워 파크가 있다.
17.8Km 2024-07-08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한운길 159
천사섬 캠핑&글램핑은 신안 천사 섬 자은도에 위치한 캠핑장이다. 자은도는 7.2km 길이의 천사 대교로 연결되어 이동이 쉽다. 탁 트인 바다에서 떠오르는 일출을 감상할 수 있다. 반려견을 동반할 수 있는 사이트가 구분되어 있다. 어린이들이 좋아할 수영장, 게임장, 놀이시설들이 준비되어 있다.
17.9Km 2025-01-20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지도증도로 1083-4
2010년부터 운영되던 소금동굴힐링센터는 2015년 확장 공사를 거쳐 해양힐링스파로 거듭났다. 천일염의 항균효과는 각종 피부질환과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치유에 도움을 준다. 천일염으로 만든 소금동굴힐링룸, 사해와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미네랄 플로팅 테라피 등 새로운 개념의 소금 테라피를 통해 심신의 건강과 안정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소금동굴힐링룸은 옷을 입고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건식스파이다. 가족룸에서는 아이들과 함께 소금놀이가 가능하다. 미네랄 플로팅 테라피는 미네랄워터가 몸을 띄워 주어 근육이완과 밸런스를 잡아주고, 소금의 미네랄이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웰니스 치유 프로그램이다.
18.0Km 2025-03-17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절골길 244
서동사(瑞洞寺)는 화원면 사동마을의 운거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대흥사의 말사이다. 사동마을은 서동사가 있어 ‘절골’로 부르며, 구전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피난민이 서동사에 대피해 와 이곳의 울창한 칡넝쿨이 사람들을 보호해 주었다고 한다. 1730년 무렵 목관 강필경이 부임해 와 동헌에 북통을 만들 때 칡넝쿨이 진상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 때문인지 서동사에는 오래전부터 내려온 칡 북이 있어 매우 흥미롭다. 원통형의 나무에 구멍을 뚫고 양쪽에 가죽을 데어 만든 이 북은 나무의 원형을 따라 만든 탓인지 북의 모양이 다소 삐뚤어진 타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지름이 약 50cm가량인이 칡 북은 나무의 안쪽을 파고 만든 나무라고 하여 굉장히 큰 칡나무로 만들어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서동사의 창건과 관련 887년 무렵 신라 진성왕 때 최치원이 창건했다고 하나 이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없으며, 현재의 유적과 유물로 볼 때는 조선시대 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웅전은 1779년(정조 3)에 복원된 건물로 1870년 의윤, 정기, 진일 등 3인의 스님이 발원하여 중수하였으며, 최근 년에는 정랑스님이 주지로 부임한 후 요사채, 칠성각, 천불전, 화장실 등을 개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서동사는 대웅전, 종각, 요사 건물과 함께 최근 복원된 누각 등이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약간 경사진 지형을 3단으로 정지하고 단에 대웅전과 요사를 배치했다. 이밖에 경내에는 석조와 용왕상이 있으며, 전에는 오층석탑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없어졌다고 한다. 또한 절에는 「상용권공문(常用勸供文)」이라는 책이 전한다. 책 끝부분에 1849년(현종15)에 해당하는 연도가 적혀있어 범자다라니경목판보다 시기가 빠른 고서라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문화재로는 서동사 목조삼존불 좌상 보물 1715호와 전라남도 기념물 제245호 서동사 동백나무 비자나무숲이 있다.
18.1Km 2024-11-07
전라남도 목포시 남악로58번길 20
담양군 담양호 밑에서 시작하는 영산강 자전거 종주 길은 영산강을 따라서 광주, 나주, 무안, 목포로 이어지는 146km의 자전거도로다. 300리 호남 벌을 적시고 서해로 흐르는 남도의 젖줄과 함께 하는 영산강 자전거길은 목포의 영산강 하굿둑에 못 미쳐서 끝을 맺는다. 영산강 하굿둑 인증센터는 영산강 자전거 종주 길의 마지막 종점에 있는 스탬프 인증센터다. 인증센터 주변은 하굿둑과 수변공원이 근처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차장과 화장실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편리하다. 자전거를 픽업하기도 좋고 내리기도 좋다. 인근에 카페가 있어 자전거 애호가가 쉬어가기에도 좋다.
18.1Km 2025-03-27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둔장길 2
061-240-8975
자은도 해넘이길은 한운리에서 시작하여 송산리까지 이어지는 12㎞ 도보 코스이다. 시간은 3시간 정도 소요되며, 송산 정류장에서 출발하여 두모정류장까지 걷는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자은도 해넘이길은 해양수산부에서 지정한 주요 해안누리길 중 하나이다.
18.1Km 2025-03-16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지도증도로 1058
‘소금박물관’ 건물은 1945 염전 설립 초기에 건축된 석조소금창고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여 건립하였다. 이 석조창고는 지금 사용하는 목조소금창고 전에 지어졌으며, 이후 자재창고로 쓰다가 리모델링하여 2007년 소금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옛 모습을 보존하였기 때문에 염전 역사의 귀중한 자료이며, 근대 석조 건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박물관 안에서 이야기하는 소금은, 인류학적인 측면부터 소금에 대한 일화까지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소금이 고혈압과 당뇨의 주범이라고 여겼던 오해를 풀고, 소금이 인체에 유익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소금을 섭취해야 하는지부터 소금의 역사, 문화, 미네랄, 천일염전 등 소금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소금의 경제사, 기술사, 사회사, 신화, 예술사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태평염전 사람들의 일상과 천일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함초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개관일 : 2007년 7월 14일 지정현황 : 대한민국근대문화유산 제36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