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국립공원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오대산국립공원 정보를 소개합니다.

설명

강원도 평창군과 강릉시 그리고 홍천군 일부에 걸쳐 있고 태백산맥의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길게 뻗은 차령산맥과 교차점에 있다. 해발 1,563m의 비로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오대산은 총면적 298.5㎢으로 19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주봉인 비로봉을 비롯하여 호령봉, 상왕봉, 동대산, 두로봉 등의 산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평창군의 오대산지구, 방아다리지구, 병내리지구, 황병산지구, 홍천군 내면지구, 강릉시 소금강지구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월정사에서 상원사, 적멸보궁을 잇는 10㎞는 수많은 계곡과 전나무 등의 큰 나무들이 수두룩하며, 잡목이 우거져 위압감마저 느끼게 한다. 산 전체의 토질이 중후하고 비옥하여 산림자원이 풍부하며 겨울철에는 강설량이 많고 산세가 완만하며 한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또한 우리나라 제일의 울창한 산림으로 동식물상도 다양하다. 중턱에는 사스레나무 등 활엽수가, 정상 부근에는 눈측백나무와 주목이 군락을 이루고 호령계곡의 난티나무군락, 두노봉과 상왕봉선의 철쭉, 금강초롱 등이 유명하다. 동물로는 멧돼지, 사향노루, 산양, 오소리, 너구리, 청딱따구리, 원앙, 수리부엉이, 두견이, 뿔잠자리, 실베짱이, 산천어, 금강모치 등이 서식하고, 종류별로는 포유류 26종, 조류 85종, 곤총류 1,124종, 양서·파충류 21종, 담수어류 20종이 조사되어 있다. 또한 신라 때의 고찰인 상원사와 월정사를 비롯하여 국보와 보물을 소장한 사적과 문화재가 많은 불교성지이기도 하다. 자연경관으로는 상원사계곡, 청학천계곡, 구룡폭포, 세심폭포, 무릉폭포, 상팔담, 만물상, 십자소, 학소대, 방아다리약수, 송천약수 등이 있다.


홈페이지

http://odae.knps.or.kr


이용안내

유모차 대여 : 불가

신용카드 가능 : 없음

문의 및 안내 : 033-332-6417

주차시설 : 가능

쉬는날 : ※ 기상여건에 따라 통제 가능

이용시간 : ※ 기상여건에 따라 상이함


상세정보

야간산행 제한안내
탐방객의 안전사고 발생 예방 및 공원 자원의 보호를 위하여 연중 야간산행 (일몰 후부터 일출 2시간 전까지 입산하는 행위) 금지함

입산통제 구간
[탐방로 통제기간]
- 봄철 3월 2일 ~ 4월 30일
- 가을철 11월 15일 ~ 12월 15일
※ 통제기간은 기상여건 등을 감안하여 공원별로 일부 조정될 수 있으니 공원탐방 시 해당 공원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고

입산통제 기간
산불예방, 자연경관유지, 자연환경보전 및 그 밖에 산림보호를 위하여 입산통제 지정
봄철 : 02.15 ∼ 05.15.
가을철 : 11.01 ∼ 12.15
※ 사정에 따라 연장될 수도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국립공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

자연휴식년제 구역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 월정사 입구 일원 (탐방로 제외) 1,000㎡ 2026년까지
- 진고개 ~ 동대산 구간 (탐방로 제외) 30,000㎡ 2027년까지
- 질뫼늪 12,341㎡ 2027년까지
- 소황병산늪 2,300㎡ 2027년까지
- 조개동늪 7,76㎡ 2028년까지
- 을수골 상부 계곡부 2034년까지
- 동대산 지구 2034년까지


등산로
- 두로봉코스 : 진고개 → 동대산 → 두로봉 → 두로령(10km / 4시간 40분 소요)
- 동대산코스 : 진고개 → 동대산 → 동피골 (4.4km / 2시간 10분 소요)
- 상왕봉코스 : 상원사 → 비로봉 → 상왕봉 → 두로령 → 북대사 → 상원사(14.1km / 5시간30분)
- 소금강코스 : 무릉계 → 십자소 → 연화담 → 식당암 → 구룡폭포 → 만물상 → 백운대 → 낙영폭포 → 노인봉 → 진고개 (13.3km / 7시간 소요)
- 비로봉코스 : 상원사 → 중대사 → 적명보궁 → 비로봉 (3.4km / 1시간 40분 소요)
- 선재길코스 : 월경사 → 동피골 → 상원사 (9km / 3시간 30분 소요)
- 계방산 1코스 : 운두령 → 계방산정상 → 이승복 생가 입구 (8.9km / 6시간 소요)
- 계방산 2코스 : 운두령 → 계방산정상 → 계방산주차장 (8.9km / 5시간 10분 소요)


개방 구간
상원사~적멸보궁 2km
상원사~중대 1.3km
소금강~구룡폭포 2.5km
월정사회사거리~동피골~상원사(선재길) 8.1km

이용가능시설
야영장 / 오토캠핑장 / 탐방지원센터 등

주차요금
[정액요금]
- 소형 : 주중 4,000원 / 주말 5,000원 (승용차 전 차종, 승합차 15인승 이하, 화물차 1톤 이하)
- 대형 : 주중 6,000원 / 주말 7,500원 (승합차 16인승 이상, 화물차 1톤 초과)
[시간별 가산요금]
- 소형 : 최초 1시간 1,100원 (이후 10분당 주중 250원 / 주말 300원) / 9시간 이상 13,000원
- 대형 : 최초 1시간 2,000원(이후 10분당 주중 400원 / 주말 500원) / 9시간 이상 20,000원

화장실
있음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진안 학동마을

진안 학동마을

2025-09-09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정천면 봉학로 419-12

학동마을은 2004년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을 시작으로 2016년 농촌체험휴양마을로 지정된 마을이다. 대표 체험으로 씨없는 곶감 만들기, 다슬기 잡기, 곶감타르트 만들기, 생태텃밭정원 프로그램이 있으며 계절별 다양한 활동을 운영한다. 씨없는 곶감마을 휴양관은 숙박시설을 갖추고 ‘학동부녀회 맛’ 식당과 ‘마을카페 윤슬’을 함께 운영한다. 청정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여름철 물놀이와 사계절 체험 활동이 가능하며, 마을 만들기 공동체 사업을 통해 공동체 의식이 형성된 마을이다.

설악향기로

설악향기로

2025-09-09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산로 803 (설악동)

설악의 절경을 담은 힐링 산책로인 설악향기로는 설악의 비경을 특색 있고 감상할 수 있는 순환형 산책로다. 벚꽃터널(1㎞)부터 스카이워크 및 출렁다리(0.9㎞), 쌍천수변(0.8㎞)까지 이어진다. 설악향기로는 최대 8m 높이의 스카이워크 765m, 하천바닥으로부터 15m 높이의 출렁다리 98m 등 총연장 863m의 산책로이다. 구간 내 1,724㎡ 규모의 소공원 등 설악산의 운치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고보조명, 반딧불조명 등을 통하여 야간에도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임당생활문화센터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문화의길 6 (임당동)

강원도 강릉시 임당동에 있는 임당생활문화센터는 강릉 시민들의 소모임, 동아리 활동 등을 위한 공간으로 생활 문화 동호회 활성화 및 생활 문화 시설 관계망 형성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건립되었다. 지역 주민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지역문화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소통과 교류의 공간이다. 소모임, 동아리 활동 등에 자유롭게 개방되어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및 생활문화시설 관계망 형성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연면적 939.24㎡ 규모의 지상 4층 건물이다. 1층은 토크 콘서트, 소규모 공방 전시, 2층과 4층은 동아리방, 사랑방, 회의실, 공동체 공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층은 전시를 주 목적으로 회화, 설치, 바자회 등이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임당생활문화센터는 강릉 문화 재단이 관리, 운영하고 있다. 대관 신청은 온라인 사전 예약과 오프라인 신청으로 가능하다. 대관 공간은 사랑방, 회의실, 동아리방, 공동체 공방 등이며, 운영 사무실의 자체 심의를 거쳐 이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동해산타열차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용지로 176 (교동)

소개 동해의 바다 경관을 즐기며, 강릉에서 푸른바다를 따라 분천까지 운행되는 열차이다 백두대간을 가로질러 산타마을을 상징하는 분천산타마을까지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경쾌한 열차 소리에 마음이 설레고 아찔한 협곡이 보여주는 자연의 신비를 느낄 수 있다. 눈 내리는 산타마을,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동해산타열차를 타보는 것도 좋다 관광지 설명 강릉역과 분천역 사이의 주요 정차역은 정동진, 묵호, 동해, 신기, 도계, 동백산, 철암, 분천역까지 총 8개 역이다. 정동진, 묵호, 동해역까지는 강릉선 KTX 열차도 경유하며, 강릉역에서 분천역까지 편도 기준 운행시간은 약 3시간 소요된다. 관광팁 하루 1회 왕복 운행 (매주 화요일, 수요일은 운행하지 않는다) 목요일 ~ 월요일만 운행한다. 운행하지 않는 날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 강릉역 출발 : 10:14 – 분천역 도착 13:10 ◐​ 분천역 출발 : 15:42 – 강릉역 도착 18:20 강릉역~분천역 소요시간 : 약 3시간 소요되며, 새마을호 특실 등급으로 운행하고 있다. 자세한 열차 요금(운임) 및 예매는 코레일 고객센터 1544-7788 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굴산사지당간지주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구정면 금평로 92-50

소개 거대한 한 덩이의 돌을 사용한 한국에서 가장 큰 당간지주이다. 현재 하부가 묻혀서 당간을 세워 놓았던 기대석(基臺石) 등 하부의 구조를 파악할 수 없다. 4면에는 아무 장식이 없는 평면이며, 하부는 돌을 다듬을 때 생겨나는 잡다한 선조(線彫)가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 보는 내면과 외 측면이 수직을 이루며, 앞뒤 양면은 상부까지 수직이나, 위 끝에 이르면 머리 부분을 양측에서 점차 둥글게 깎아 곡선을 이루며, 정상은 뾰족하지만, 남쪽의 지주 첨단(尖端)이 약간 파손되었다. 관광지 설명 굴산사지당간지주는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범일국사가 창건한 굴건사의 유물이다. 높이는 5.4m이다. 당간을 고정하는 간은 상·하 두 곳에 있으며, 상부는 상단 가까이에 둥근 구멍[圓孔]을 만들어 간을 시설하였고, 하부는 3분의 1쯤 되는 곳에 구멍을 뚫어 간을 끼우게 하였다. 규모가 거대하며 그에 알맞게 소박하고 강경한 수법을 보여 눈길을 끈다. 통일신라 시대의 작품다운 웅대한 조형미를 엿볼 수 있다. 관광팁 굴산사지당간지주는 구정면 학산리 마을 근처의 논에 둘러싸인 평지에 있다. 내비게이션으로 찾아갈 때 과연 이곳이 맞는지 의구심이 들 수도 있다. 조금만 가다 보면 보물 86호, 굴산사지 당간지주라는 표지판을 찾아볼 수 있다. 앞에 도착하고 보면 엄청난 규모에 놀라게 될 것이다. 높이도 높이지만 당간지주의 두께가 특히나 두껍고 커서 웅장한 아름다움에 압도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보물 제86호로, 웅장함이 느껴진다

보광리석조여래좌상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삼왕길 139-98

보광리 석조여래좌상은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에 있는 높이 1.7m의 석불이다. 1992년 6월 10일 강원도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대좌와 광배를 갖춘 석조여래좌상이며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옛 절터에 있다. 토지 소유자인 이순선에 의하면 약 50여 년 전 이 지역에 보광사(普光寺)라는 사찰이 있었다고 한다. 통일신라 말의 것으로 추정된다. 보광리 석조여래좌상은 전체적으로 정교하고 문양이 우수해 눈길을 끈다. 화강암으로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으나 광배 윗부분이 약간 파손되었다. 나발(螺髮)은 마멸된 곳이 많고 육계(살상투)가 크며 두 귀는 긴 편이다. 결가부좌를 하였고, 법의(法衣)는 주름이 선명한 우견편단(右絹偏袒)을 걸쳤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다.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는 3단 대좌를 갖춘 불상의 현존 예가 드물어 양양 서림리 사지 석불과 함께 3단 대좌를 전형적으로 갖춘 불상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주형(寶珠形)의 광배는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으로 구별되고, 그 사이는 보상화문(寶相華文)으로 장식되어 있다. 가장자리는 화염무늬〔火焰文〕로 장식되었고, 뒷면에는 명문(銘文)의 흔적이 있으나 마멸이 심하여 알아볼 수 없다. 대좌는 하대 하반부가 매몰되었다. 중대석은 8각으로, 각 면에 우주(隅柱)가 새겨져 있다. 상대석은 아랫면에 2단의 받침이 있다. 상대석과 하대석은 연꽃잎으로 장식되어 있다.

보광리분청자요지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삼왕길 295

1994년 9월 23일 강원도기념물 제69호로 지정되었다. 강원도 지역에서 발견된 가마터 중 분청사기 가마터로는 유일하다. 성산면 보광리의 명주군 왕릉(溟州郡王陵:강원기념물 12)에서 서북쪽으로 약 1㎞ 떨어진 지점에 자리 잡은 베리 안 마을 입구의 구릉지 가운데에 있다. 현재 가마가 매장되어 있을 만한 장소는 흙의 색깔이 다른 곳보다 붉다. 가마의 규모는 약 1.4×20m로 추정된다. 가마터가 있는 것으로 짐작되는 남동쪽 하단 경사면은 거의 유실되어 유구층(遺構層)이 노출되어 있고, 주변 일대에는 수많은 청자·분청사기 조각·도침(陶枕:도자기를 구울 때 그릇을 괴는 물건) 들이 흩어져 있다. 수습된 조각들은 대접과 접시 종류가 대부분이다. 그릇 안쪽에 흑상감 된 연당초문 대접과 분청인화국화문 접시, 분청인화연판문 대접 등이 있고 약간의 백자 조각들도 함께 수습되었다. 수습된 도자기 조각의 문양으로 볼 때 대체로 13∼15세기 전반의 분청사기 가마터로 추정된다.

산계리3층석탑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 석화동굴길 238

강릉의 옥계를 지나 대관령에 오르다 보면 산계리의 계곡 길이 나온다. 잘 포장된 도로를 따라 매우 긴 계곡 길을 오르다 보면 도로가 끝나고 산이 시작되는 지점의 잘 보이는 곳에 있는 산계리 3층 석탑이 특유의 검고 투박한 모습으로 맞이해준다. 마모가 많고 변형이 커 옛 모습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산계리 3층 석탑을 보고 있으면 오랜 세월을 견뎌온 모습에서 지난 시간의 아픔이 느껴진다.

임당동 성당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 148 (임당동)

소개 임당동 성당은 강원도 강릉시 임영로에 있는 성당이다.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옥천동 성당과 노암동 성당 등 많은 성당이 이곳으로부터 분리해 나가 영동지역 천주교의 중심지로 일컬어진다. 수차례 창, 지붕, 바닥 등을 보수하였지만, 정면 중앙부 종탑을 비롯한 외형이 건축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고, 장식 또한 독특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드라마 ‘미스터션샤인’ 촬영지로 유명해진 임당동성당이다. 등장인물인 쿠도히나가 자신의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찾아가는 장소로 등장했다. 건축 당시의 외형이 원형대로 보존되어있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2월 19일 등록문화재 제457호로 지정되었다. 관광가이드 강릉 시내에서 햇살 속을 걷다 보면 문득 발걸음을 멈추게 하는 예쁜 성당 앞에 서게 된다. 성당 뒤편으로 돌아가면 마치 다른 나라에 온 듯한 이국적인 풍경이 마음을 사로잡는다. 둥글게 솟은 천정과 밝은 햇살이 들어오는 형형색색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햇빛과 함께 상아색 성당 내부를 아름다운 모습으로 빛낸다. 이국적인 성당의 따스함과 함께 근대문화유산을 보며 경건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관광팁 임당동 성당은 이국적인 풍경의 성당과 함께 우리나라의 근대문화유산을 공부할 수 있는 곳이다. 임당동 성당의 미사 시간을 피하면 성당 내부를 여유 있게 볼 수 있다. 임당동 성당 맞은편에는 강릉 대도호부 관아가 있어 성당을 본 뒤 함께 둘러보면 좋다. 임당동 성당의 뜰에는 3월이면 매화가 만발하니 시기를 잘 맞춘다면 매화 향기와 아름다움에 흠뻑 취해볼 수 있다.

소금강

2025-09-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소금강길 449

명주 청학동 소금강은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에 있는 명승지이다. 1970년 11월 23일 명승 제1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약 22㎢이고 오대산국립공원 일부로 공원 전멱적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소금강에 들어서서 첫 경관인 무릉계(武陵溪)는 약 300m인데, 바로 여기에서 급류와 청담(靑潭)이 이어지는 계곡이 펼쳐진다. 1569년 율곡(栗谷) 이이가 청학산(靑鶴山)을 탐방하고 《유청학산기(遊靑鶴山記)》라는 글을 남기면서 이곳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율곡 이이는 당시 청학산(靑鶴山)이라 불리던 산의 이름을 소금강이라 명명하였다. 2021년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와 율곡연구원이 문헌고증과 현장답사를 통해 소금강탐방로의 일부 구간을(소금강주차장에서 구룡폭포 구간 왕복 6.2㎞)을 재단장한 후에 ‘1569 율곡 유산길’로 명명하여 명소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 금강사(金剛寺) 앞 계곡의 큰 바위에 새겨진 ‘小金剛’이라는 3자가 율곡의 글씨라고 전하나 확인된 것은 아니다. 다만 ‘소금강’이라는 별칭은 이곳 산세와 수석(水石)이 금강산의 그것을 축소해놓은 것 같다고 하여 얻어진 이름이다. 금강산을 방불케 하는 장엄한 경승 뿐만 아니라 고적으로도 유서가 깊다. 이곳의 계류는 양협(兩峽)이 닿을 듯이 좁고 물이 맑아 투명하다. 무릉계는 등산길에서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낮은 곳에 있으며, 십자소(十字沼)는 양편과 바닥이 한 돌로 이어진 깊은 바위의 수로이다. 이러한 수로는 협곡에서 찾아보기 드물어 폭포나 여울과는 또 다른 향취를 풍겨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