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Km 2024-11-14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길 226
독수리바위는 오랜 세월 동안 풍화작용으로 인해 조각된 바위의 형상이 독수리의 부리를 닮은 바위이다. 본래 이 지역은 풍파가 심하면 고기(청어)가 밀려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여 까꾸리(갈고리의 방언)로 끌었다는 뜻에서 지어진 지명으로 [까꾸리개]라고도 부른다. 독수리바위를 가까이서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내려가면 바닥에 독수리 트릭아트가 그려져 있고, 인근에는 갈매기 조형물도 있다. 호미곶의 땅끝인 이곳에서 서쪽으로 지는 석양의 노을을 바라보면 대흥산 너머 층층의 산과 시가지, 일렁이는 포스코 굴뚝이 보이는데 그 모습이 동양화를 연상케 하는 절경이다.
14.0Km 2024-11-06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단구서원길 8-1
단구서원은 문희공 이세기 선생을 주벽으로 하고, 문효공 이천 선생, 송와공 이종윤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원래 송와공을 제향 하는 모현서당이 철종 13년(1862)에 건립되었는데, 고종 5년(1868)에 훼철되어 1983년에 단구서원을 창건하였다. 이세기는 고려 충렬왕 때 명신으로 문장에 능하였으며, 밀직부사, 예문관대제학, 동지춘추관사, 검교정승 등을 역임하였다. 이천은 이세기의 장자이며, 고려 충렬왕 25년(1299)에 국자시 장원하였고, 충혜왕 4년(1343)에 첨의평리상의 동지공거를 겸하였다. 충목왕 즉위에 원나라 사신으로 다녀와서 판밀직사사 겸 서연관이 되고, 곧 정당문학에 올랐다. 충목왕 원년(1345)에 첨의참리, 문하시랑, 동평장사, 예문관대제학을 지낸 뒤 월성군에 봉해졌다. 이종윤은 이세기의 6세손이다. 세종 13년(1431) 경주 월남리에서 출생하였고,ㅡ 세조 13년(1467)에 문과급제하여 영창전참봉이 되었다. 내자시주부, 예조좌랑, 정랑으로 승진하였다. 성종 13년(1482)에 사간원헌납, 사헌부장령, 제용감 첨정, 봉상시 부정 등을 역임하고 시강원보덕이 되었다. 성종 20년 사헌부장령 집의를 지냈으며, 성종 21년(1490)에 제주목사로 교육을 장려하고 풍속을 순화하며 선정을 베풀었다. 과만에 제주민의 유임상소로 연임중 제주관아에서 연산 원년(1495)에 65세러 별세하였다.
14.0Km 2024-07-05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로200번길 10-1
시장식육식당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미남리에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에 좋다. 대표 메뉴는 갈빗살이다. 이 밖에 꽃등심, 소 주물럭, 생삼겹살, 목살, 돼지갈비, 육회, 소 찌개 등을 판다. 포항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월포해수욕장과 용두리 간이해변이 있다.
14.0Km 2024-08-20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로200번길 6
054-232-4002
포항에서 영덕 방향으로 18km 정도 들어오면 청하소재지를 연결하는 청하 삼거리가 있고, 삼거리에서 1.5km 정도 들어오면 청하공진시장이 있다. 1일과 6일에 장이 열리는 5일장이며 청하공진시장의 주요 품목은 농수산물, 생선, 어물, 잡곡, 가축(닭, 오리 등) 채소(마늘, 상추, 배추 등) 과일(사과, 배, 감 등) 잡화 등 다양한 시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정기시장이 형성되면서 인근 오천지역의 주민들까지 이용하여 크게 운영되었으나 포항시내 지역에 큰 시장들이 들어서고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계속 규모가 축소되어 명맥만 유지하여 오고 있으나, 1990년 초에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고 인구가 많이 불어나면서 좌판이 30여 개 생기고 기타 생활용품들이 거래되고 있다. 최근 ‘갯마을 차차차’ 촬영지로 활용되어 ‘청하시장’에서 ‘청하공진시장’으로 명명하였고, 현재는 관광지로 유명해졌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 <갯마을 차차차>의 주 배경이 되는 시장으로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5일장이 열린다. 드라마에 나왔던 가게가 그대로 남아 있지만, 주민들의 터전이니 관광지로 재정비한 곳에서만 사진을 찍도록 해야 하고 오징어탑과 오윤카페가 가장 인기 있는 포토존이며, 보라슈퍼에서는 달고나 체험을 할 수 있다. [출처 : 포항시 퐝퐝여행]
14.1Km 2025-03-15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면 정동길 551-74
일출선원은 일출암을 재단법인 선학원으로 등록하면서 선원으로 바꾼 것이다. 선학원은 한국의 전통 불교를 수호하고 일제의 사찰 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22년 선우공제회를 결성하면서 자주 자립을 위해 식민지 불교정책으로 만연하게 된 계율 파괴와 전통의 상실을 우려한 승려들이 구속을 피하면서 일제 불교에 대한 저항의식으로 설립되었다. 검푸른 암벽과 붉은 토양에 우뚝 선 바위 밑에 자리한 일출선원은 본래 신라시대의 사찰터로 전해오다 1914년 경주 기림사에 주석하던 혜광 스님에 의해 인법당으로 중건한 후, 1972년 불자들에 의해 대웅전이 세워졌다. 큰 사찰은 아니지만 불사를 이끌던 사부대중(석가의 가르침을 따르는 네 부류의 사람들을 이르는 말)의 신심과 수행만큼은 깊었다 전해진다. 대웅전과 산령각, 요사 한 동이 일출선원의 건물 전부이다. 번거로움을 싫어하는 이들이 조용히 기도하고 수행하기 좋은 토굴의 느낌이 드는 곳이다.
14.2Km 2024-12-04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로175번길 50
기청산식물원은 1969년 기청산농원에서 시작된 동해안 유일의 사립식물원이다. 한국의 토종 야생화와 수목을 비롯하여 교육적인 가치가 있는 각종 외래 식물 2,500여 종을 보유하고 있다. 기청산이란 명칭은 좋은 곡식만 골라내는 키를 뜻하는 ‘기’와 무릉도원과 유토피아를 상징하는 ‘청산’을 합성한 것으로, 좋은 식물과 사람이 모여 참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염원을 담고 있다. 기청산식물원은 자생화원, 울릉식물관찰원, 용연지, 양치식물원 등 15개의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는 식물뿐만 아니라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멸종 위기종 식물, 희귀 특산식물 또한 만나볼 수 있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숲해설, 반려 식물 심기, 양궁체험이 있다. 교육은 식물원 내 연구사들에 의해 진행된다. 숲해설은 초심자, 일반, 고급으로 나누어져 있고 반려 식물 심기 역시 초화류와 소관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14.3Km 2024-04-03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만길 279
월녀의 해물포차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리에 있다. 현대적이고 깔끔한 인테리어에 테라스가 있고 주차장도 넓다. 식당 내부는 테이블 간격을 넉넉하게 배치했고 단체석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식사 메뉴는 싱싱한 해물을 듬뿍 넣어 요리한 해물라면, 해물파전, 해물칼국수가 있고, 안주류로 산낙지, 전복회, 삶은 왕소라, 호미곶 돌문어 등을 맛볼 수 있다. 남포항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호미곶 해맞이광장, 호미반도해안둘레길 4코스가 있다.
14.4Km 2024-12-04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로233번길 16-5
청하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 서정리에 처음 지었으며, 숙종 39년(1713)에 덕성리로 옮겨 짓는 작업을 시작하여 숙종 42년(1716)에 완공하였다. 그 뒤 헌종 9년(1843)과 1923년 두 차례 보수를 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천화루·신문(내삼문) 등이다.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은 6칸의 규모이며,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은 6칸 규모이고,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는 5칸, 휴식 공간인 천화루는 4칸 규모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출처: 국가유산청)
14.5Km 2024-12-09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송덕로212번길 58
포항 댕댕동산은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에 자리 잡고 있다. 반려견이 자유롭게 뛰놀 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에는 9kg 미만 소형견 운동장, 9-15kg 중형견 운동장, 15kg 초과 대형견 운동장, 체중 제한이 없는 프리존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동장 입장 전에 관리소에서 동물 등록, 인식표, 배변 처리 비닐 소지 여부를 확인한다. 포항 댕댕동산은 남포항 IC와 가깝다. 주변에는 운제산 산림욕장, 오천시장이 있다.
14.5Km 2024-10-10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면 운제로386번길 21
영일만온천이 들어선 곳은 예로부터 온정재, 왕어골, 가마골이라 불려오며 온수가 솟았다는 전설이 전해왔다고 한다. 1974년 석유 탐사시 영일만 일대 지열이 전국 최고라는 확인과 함께 1988년 (주)영일만 온천이 개발을 착수해 대규모 온천휴양지를 조성하였다. 온천수의 주요성분은 칼슘, 나트륨, 철, 칼륨, 마그네슘, 염소, 황산, 불소, 아연, 중탄산, 산화규소, 라듐, 스츠론듐, 라돈, 게르마늄 등 다른 온천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무기질 성분을 고루 함유하고 있는PH9.43인 알칼리성 중탄산나트륨형 온천이다. 다만 수온이 35도 정도로 다소 낮아 열을 가해 사용한다. 온천 효능은 피로회복, 피부미용, 노화예방, 신경통, 관절염, 심장병, 간기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가장 젊은 온천이며 온천물은 체감이 매우 매끄럽고 부드럽다. 시설로는 보석사우나와 황토사우나가 있는 온천탕과 황토온돌방, 매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