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Km 2025-03-16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182-27 경주한화리조트
054-777-8400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1979년 콘도미니엄 건설을 통하여 레저산업에 첫발을 디딘 이후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직영 콘도 체인 및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범주의 푸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21세기 건전한 여가 생활문화 창조를 위하여 미래지향적 가치관, 다양한 레저시설 및 풍부한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질적/양적 측면에서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최대의 국민 레저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한화리조트 경주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인 경주 보문 단지의 대표적인 숙박지이다. 연회장, 세미나실, 온천사우나, 자전거 대여, 볼링장, 옥외수영장, 슈퍼마켓, 노래방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전체 객실 가운데 에톤(신관) 2객실, 담톤(본관) 2객실 모두 4개의 장애인용 객실이 있는데, 에톤만 침대 객실이다.
객실은 언제 들어서더라도 깨끗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늘 준비되어 있으며 현대적인 감각에 발맞춰 모던하고 심플하게 꾸며져 있다. 넉넉한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객실에는 다양한 최신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고객을 한 번 더 생각하는 서비스를 통해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모든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12.5Km 2024-02-08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해안로 113 휴 모텔
브라운도트호텔 포항영일대점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두호동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객실 형태에 따라 내부에서 영일대해수욕장을 조망할 수 있다. 객실은 프리미어, 슈페리얼 등 7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38개가 마련되어 있다. 포항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영일대해수욕장과 죽도시장이 있다.
12.5Km 2025-03-16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182-29
054-748-8400
경주 보문 호숫가에 위치한 켄싱턴리조트 경주는 신라의 문화유적지와 골프, 테니스, 레저시설까지 즐길 수 있는 테마파크이다. 지난 20년 이상 국내 핵심 관광지역에 회원제 콘도를 설립, 운영하고 있는 켄싱턴리조트는 다양한 국내 체인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각 체인이 산, 강, 해변, 섬, 온천지구 등 천혜의 입지조건과 유명 관광지에 위치하고 있어 명성이 매우 높은 휴양 콘도미니엄이다. 그 외 스키장, 해외 체인, RCI 체인(국제 콘도 연맹) 등이 제휴되어 있으며, 회원 특전의 폭이 다양하고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 켄싱턴리조트 경주는 천년의 도시 경주 가운데서도 가장 명성이 높은 휴양지인 보문 호숫가에 웅장한 규모로 자리 잡고 있다. 켄싱턴리조트 경주는 젠 스타일 인테리어와 천년고도 도시가 어우러진 차별화된 호텔식 리조트이다. 세련된 분위기로 한층 더 리뉴얼된 객실과 천연 알칼리 온천에서 삶의 재충전을 할 수 있다.
12.6Km 2024-02-16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해안로 119
차이홍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두호동에 있는 중식당이다. 세련되고 깔끔한 인테리어가 돋보이며, 170석 규모의 내부에는 연회장 등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신라호텔 중식당 출신 셰프가 여러 가지 중화요리를 만든다. 대표 메뉴는 홍게 한 마리가 통째로 들어있는 홍게짬뽕이고 황제짬뽕, 아몬드 유린기, 탕수육, 차돌박이짬뽕 등도 있다. 짜장면과 짬뽕 새우볶음밥도 맛있다. 단 엘리베이터가 없어 유모차나 캐리어를 들고 식당이 있는 3층까지 이동하는 데 불편이 따를 수 있다. 포항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환호공원, 영일대해수욕장, 죽도시장이 있다.
12.6Km 2024-10-23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280-12
보문호의 싱그러운 바람이 넘나드는 경주스위트호텔은 현대적인 라이프스타일로 재구성한 휴양리조트이다. 독립적인 자유 공간으로 단아한 색조의 아늑한 객실과 각종 비즈니스를 위한 시설, 그리고 자연과 어우러지는 파크골프장이 마련된 경주스위트호텔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너른 창을 두드리는 하얀 햇살, 그리고 블루톤의 인테리어가 에메랄드빛 로열 스위트는 오직 VIP만을 위한 독립된 휴식공간이다. 천연 오크와 화이트 톤의 인테리어가 기품을 더하는 연회장 스위트홀은 다양한 연회와 비즈니스를 위한 시설 공간으로 규모에 따라 2개의 연회장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급 연회장이다. 자연의 색감이 넘치는 시원한 전망과 감미로운 선율이 흐르는 레스토랑 ‘라 테라스’에서는 계절과 취향에 맞는 메뉴를 즐길 수 있다. 보문호의 싱그러운 바람이 넘나드는 파크라운지는 간단한 음료를 즐길 수 있는 개방된 공간으로 라운딩 중에도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지중해 건축의 주요 색채인 블루, 브라운, 그린 컬러와 밝은 조명으로 싱그러운 야외수영장의 느낌을 그대로 실현한 스위트 메종의 수영장은 실외에 마련된 선큰가든과 우드테크 공간과 연계되어 있다.
12.6Km 2024-10-08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280-12 (북군동)
경주 보문관광단지 내 위치한 ‘키녹’은 사람과 반려동물이 모든 공간을 공유하는 새로운 복합문화 공간이다. 키녹은 연면적 7,000㎡(2,120평), 지상 3층, 지하 2층 규모로, 호텔 전체를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설계했다. 34개 객실이 모두 펫 특화 객실로 △키녹 스위트(2개) △키녹 시그니처(2개) △키녹 프리미어(4개) △키녹 디럭스 A(10개)·B(16개) 등의 타입으로 구성됐다. 반려견의 관절 건강을 위해 높이가 낮은 가구를 배치하고, 시각과 청각이 예민한 반려견을 위해 기존 조명과 벨을 플리커 프리 조명과 초인등으로 교체했다. 욕실에는 반려견 전용 샤워실도 구비되어 있다. 2500평 규모의 야외 펫 파크와 90평 규모의 실내 펫 파크, 펫 보딩·펫 미용실 등 다양한 부대시설도 갖추고 있다. 반려견 동반이 가능한 총 100석 규모의 베이커리·카페 겸 레스토랑인 스니프도 운영한다. 멍푸치노·멍파르페 등 반려견 전용 메뉴를 비롯해 스니프 시그니처 음료와 함박 스테이크, 에그 베네딕트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모든 식사 메뉴는 반려견이 먹어도 안전한 식재료를 사용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
12.7Km 2024-06-25
경상북도 경주시 안현로 1535-2
한우114숯불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안강리에 있는 정육식당이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한우 등심, 한우 갈빗살 등 각종 구이용 한우다. 정육점에서 마음에 드는 육류를 구입한 후 식당으로 가서 상차림 비용을 지불하면 직접 구워서 먹을 수 있다. 이 밖에 육회, 한우탕, 소고기국밥, 물냉면, 비빔냉면, 소면 등이 준비되어 있다. 강동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세계문화유산 경주 양동마을과 사적 제154호 옥산서원이 있어 식전이나 식후에 방문하기 수월하다.
12.7Km 2024-11-12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안강중앙로 249
경주문화원 안강교육장은 1967년 이래 경주군(월성) 문화원으로 사용되어 오다 1995년 시·군 통합으로 인하여 경주문화원 안강교육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9년 8월 신축 개관하여 35,000명의 안강읍민을 위한 열린 문화공간으로 다양한 문화행사와 취미교실이 열리고 있다. 2층 건물로, 1층에는 소규모 공연 및 강연을 위한 강당, 준비실, 다용도실을 갖추었고, 2층에는 사무실, 소강의실, 자료실 등을 갖추고 있다.
12.7Km 2024-06-18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성길 92
장기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에 처음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지자, 선조 33년(1600)에 다시 지었다. 정조 9년(1785)에 마현동으로 옮겨 지었고, 1931년 군수 김영수가 읍성 내에 있던 구객관을 수리하고 위패를 모셔 지금의 향교로 전해오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서방경·서극인·이대임·이눌 등 향교에 모시고 있던 위패를 용암석굴에 옮겨 놓아 위패만은 무사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 향교를 옮겨지었을 때 덕계 임재화가 대대로 살던 자기 집터를 내놓아 향교 재건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제사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 내삼문, 외삼문 등이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들과 중국, 우리나라의 성현들을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