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Km 2025-03-19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중앙서로 961
강릉에서 7번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약 10분 정도 달리면 사천면에 이르는데 사천에서 서쪽 방향으로 약 10km가량 들어가면 아늑한 산속에 용연사가 나타난다. 이곳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으나 한때 많은 승려들이 수도하였고 6·25 때 완전히 소실되었다. 1953년 한 비구니에 의하여 대웅전과 요사채가 중건되었고, 1958년에 요사채 1동을 다시 건립하였으며 1983년 원통보전과 삼성각을 건축하여 오늘에 이른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안에는 석가모니 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 뒤의 탱화는 목각으로 조성하였다. 경내에는 1967년에 세운 높이 3.6m의 5층 석탑 1기가 있는데, 원래부터 있었던 기단부를 그대로 이용하여 만들었다.
9.5Km 2023-07-0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하평2길 6
033-652-6692
밤톨칼국수는 강릉에 위치한 한식 전문점으로, 해물이 들어간 칼국수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빨간 국물의 장칼국수는 칼칼하고 진한 맛이며, 해물칼국수는 각종 해산물이 푸짐하게 들어가 시원하고 깔끔하면서 깊은 맛이다. 취향대로, 입맛대로 골라 먹을 수 있는 점이 이 식당이 특징이다.
9.6Km 2025-03-0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운정길 125
이 가옥은 대문이 없는 ‘ㅁ’ 자 배치로,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7세기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해운정과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 안채는 납도리(보와 직각 방향으로 걸어 서까래를 받치는 부분의 일종)에 홑처마 팔작지붕 형식으로 정면 5간, 측면 2간의 평면으로 구성되었다. 좌측에서부터 부엌과 방, 대청, 그리고 방으로 구성되며 부엌에서 수직 되게 곳간이 길게 이어져 ‘ㄱ’ 자 배치를 하고 있다. 전면에는 툇마루(방이나 마루 바깥에 붙여 꾸민 좁은 마루)를 깔아 각 방으로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있다. 사랑채는 대문간 우측에 퇴청이 전면에 있는 사랑방 2 간과 사랑 대청이 있으며 여기서 수직 되게 2간의 온돌방이 붙어 있어 ‘ㄴ’ 자 평면을 하고 있다. 집의 규모에 비하여 안채의 대청은 기후적 영향에 의하여 규모가 작으며 사랑 대청에는 반침을 만들어 위패를 모시고 사당의 기능을 하고 있다. 안채를 먼저 지었고 점차 증축을 실시하여 오늘과 같은 배치 형태를 만들었으며, 주위의 해운정과 함께 전통 건축의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 주고 있다. 현재 사람이 거주하고 있으므로, 관람 시 유의하여야 한다.
9.6Km 2025-03-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운정길 125
1530년에 어촌 심언광(沈彦光) 선생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정자의 편액인 해운정(海雲亭)은 송시열이 쓴 것이고, 기문은 권진응이 지은 것이며 이 외에도 율곡 등 여러 명사들의 시문판이 보관되고 있다. 해운정의 전체적인 형식은 양반가옥의 틀을 따르고 있으나 고방의 구성, 마루의 형식 등은 민가 형식의 표현이 짙게 배어 있다. 강릉 지방에는 별당형 정자 건축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해운정은 조선 상류 가옥의 별당 형식의 정자 건축에 속하는 목조건물로, 강릉지방에서는 오죽헌 다음으로 오래된 건축물이다. 1963월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된 해운정은 정면 3칸, 옆면 2칸의 단층 팔작집이다. 정면 3칸 중 우측 2칸은 대청마루로 하고 좌측 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있다. 해운정은 경포호 서안에 있는 별당 형식의 목조건물로 1530년에 어촌 심언광(沈彦光) 선생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9.6Km 2024-12-1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2323번길 9
강릉의 로컬 중화요리 전문점으로 저렴한 가격이라 가성비가 좋다. 시원한 국물의 짬뽕도 인기지만 두툼하고 바삭바삭한 탕수육도 베스트 메뉴로 인기가 많다. 탕수육이 포함된 세트메뉴를 가장 많이 주문한다. 중식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만족스럽게 요리를 즐길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양이 많아 충분히 배부르게 먹을 수 있다.
9.6Km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2323번길 14
033-651-1472
장칼국수 고추장을 풀어 칼칼하게 맛을낸 요리로 강원도의 향토 음식이다. 멸치육수에 각종 장을 넣어 간을 맞추어 국물맛이 시원하고 구수한것이 특징이다.
9.6Km 2024-06-2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난곡길76번길 43-9
033-646-4430
서지초가뜰은 강릉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의 전통 떡 ‘씨종지떡’을 알리고자 하는 고풍스러운 한옥 카페이다. 포슬한 씨종지떡은 볍씨와 밤, 호박, 쑥, 강낭콩 등의 건강한 재료들이 들어가 있으며, 씹으면 씹을수록 은은하게 단맛이 돈다. 우리 몸에 좋은 산야초를 가미로 하여 로스팅 한 산야초 커피와 수제 자연 차도 맛볼 수 있다. 또한, 야외에는 넓은 정원과 연못이 있어 둘러보기 좋고, 야외 테이블이 자리하고 있어 날씨가 맑은 날엔 야외에 앉아 떡과 차를 즐겨도 좋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실외)
9.7Km 2025-01-17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운정길 141
033-641-9582
동해안의 바닷물로 응고시켜 만든 강릉의 전통 초당순두부 요리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초당순두부·두부전골이며, 이 외에 초당두부, 문어무침, 제육볶음, 순두부 등 다양한 식사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오전 일찍 영업을 시작하여 아침식사를 하기에도 좋다. 반려견 동반도 가능하며, 주차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9.7Km 2025-01-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대로 445-1
금천칼국수는 강릉시에 있는 장칼국수 맛집이다. 대로변에 있는 상가에 있어 별도의 주차장은 없다. 근처 도로변에 주차하거나 건너편에 있는 유료 주차장이나 강릉시립도서관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메뉴는 간단하게 장칼국수이다. 여기에 옹심이를 넣은 것도 있다. 매운맛은 주문할 때 조절할 수 있다. 부모님과 함께 온 어린이들이 매운 장칼국수를 먹지 못한다면 영양 주먹밥을 주문할 수 있다. 여름에는 쥐눈이콩으로 만든 냉콩국수도 맛볼 수 있다. 반찬은 배추김치와 깍두기로 단출한데 식탁에 김치 항아리를 두고 접시에 양껏 덜어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대기가 많은 식당이니 방문 시 확인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