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Km 2024-12-12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낙산1길 51
로카커피는 경북 청도군 각북면에 있다. 카페에서 팔조령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대표 메뉴는 크로플에 브라운치즈를 곁들여 먹는 브라운치즈크로플이다. 이 밖에 로카슈페너, 로카블랙, 로카브라운, 로카미드나잇, 바닐라라테, 더치커피 등을 판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있어 각종 단체 모임을 하기 좋고, 반려동물과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13.9Km 2025-03-06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낙산1길 51
군불로는 비슬산 자락에 자리 잡은 경북 지역 최대의 자연농원이다. 숙박시설로는 온돌 객실인 리조텔 객실과 단체 인원이 쓰기 적합한 독채형 펜션, 펜션형 객실이 있다. 이 외에도 참숯가마 찜질방인 군불로, 대운동장, 서바이벌 게임장, 수영장 등의 부대시설과 숯불구이 전문식당인 비슬 가든을 갖추고 있다. 관광 상품으로는 힐링 패키지가 있다. 1박 2일의 일정으로 진행되고 각 계절별 패키지의 주제가 바뀌어 계절마다 새로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봄 패키지의 경우 활기찬 봄을 맞이하여 에어바운스 체험도 하고 깡똥 열차를 타며 봄을 맘껏 느낄 수 있다. 겨울 패키지를 통해서는 신나게 눈썰매 타고 모닥불에 고구마를 구워 먹으며 가족들과 추억을 나눌 수 있다.
14.1Km 2025-06-30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청도로 105-11
밀양 숲속 마을은 밀양의 북서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맑고 조용한 마을로 알려져 있다. 보물인 소태리 5층 석탑, 박익선생 벽화묘, 남계서원, 인산리 지석묘 등 역사적 유물과 느티나무와 팽나무, 회화나무로 이루어진 당숲은 아름다운 마을 숲 우수상을 수상한 곳으로 아름드리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느낄 수 있는 마을이다. 숲속 마을은 워크숍과 가족단위의 휴양을 즐길 수 있는 힐링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주요 시설에는 청도어울림마당, 어린이 물놀이장, 바비큐장, 인조잔디구장, 강의실 등을 갖추고 있다. 밀양 숲속 마을의 주요 체험 종류에는 물놀이 체험으로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이 가능하다.
14.1Km 2025-03-12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봉의리
밀양과 청도의 경계를 이루는 구만산은 임진왜란 때 9만 명의 백성이 이곳으로 숨어들어 무사히 전란을 피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실제로 구만산 동쪽과 서쪽에 깎아지른 듯 가파른 암벽이 솟아 있어 사람의 발길이 닿기 어려웠을 좁은 협곡을 따라 구만계곡이 펼쳐진다. 총 길이 8㎞에 이르는 구만계곡은 워낙 골짜기가 좁고 길어서 마치 깊은 통과 같다고 하여 통수골로도 불린다. 구만산 주차장에서 출발해 계곡을 따라 1시간 정도 걸으면 구만폭포가 모습을 드러낸다. 높이만 42m에 폭포 아래에는 깊은 못이 자리해 과연 전쟁도 비껴갈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웅장한 바위틈을 따라 쏟아지는 세찬 물줄기는 한 폭의 동양화처럼 아름답다.
14.2Km 2024-02-21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로119길 13
가창닭갈비는 대구광역시 외곽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대표 메뉴는 닭갈비로 닭갈비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식사가 될 정도로 양이 푸짐하다. 라면과 달걀, 전을 직접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셀프바가 있는데, 라면은 테이블당 1개, 달걀은 1인당 1개씩으로 제한된다. 파동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워터파크 스파밸리가 있어 가족 나들이 장소로 좋다.
14.2Km 2025-08-13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두곡3길 43-16
청도면 두곡리 쌍수당 경내에 있는 남계서원은 1704년(숙종 30) 고려 중기에 평장사를 지낸 김지대의 충효쌍수의 위업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김지대(1190∼1266)는 고려 고종 때 문신으로 청도 김씨의 시조이다. 1217년(고종 4)에 거란이 침입하자 병환 중인 아버지를 대신하여 나가 싸워 충과 효를 동시에 이루기도 하였다. 처음에 사당의 이름을 ‘충효사’라 하였고 강당을 ‘쌍수당’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영헌공이 그의 아버지를 대신하여 종군하면서 지은 시에 ‘국충신지환 친우자소우 충효가쌍수(國忠臣之患 親憂子所憂 忠孝可雙修)’라고 한 데서 따온 이름이다. 그 후 남계서원은 1868년(고종 5)에 내려진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으나, 자손들이 강당을 보수하며 내려오다가 1907년(순종 1)에 와서 낡은 강당을 철거하고 새로운 강당을 지었다. 1954년도에 후손들이 다시 대대적으로 출연하여 재차 강당을 철거하고 지금과 같이 쌍수당으로 확장 중건하였다. 완만한 구릉지에 위치하는 남계서원은 사당인 충효사 우측에 강당이 놓인 좌묘우학의 배치형태로, 제향 기능을 중시하는 조선후기의 사우형 서원에 속한다. 강당 앞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마주 보며 배치되고, 그 앞쪽에 소슬대문이 자리 잡고 있다. 강당은 정면 6칸, 측면 1칸 반으로 가운데 2칸 마루를 두고 좌우에 각각 온돌방을 두었다. 상부구조는 5량가이며, 정면만 소로를 사용하여 수장하였다. 동재와 서재는 모두 정면 3칸의 작은 건물이다. 충효사는 영헌공 김지대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으로 쌍수당 우측에 위치한다. 1987년에 신축한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이익공계 건물로 익공 위에 봉두를 조각했다. 기둥에는 주칠을 했으며 기둥 상부와 창방․도리․보 등에 모로단청을 베풀었다. 충효사는 내삼문인 대보문을 통해 출입한다.
14.3Km 2024-06-13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단산1길 47-1
대구 인근 가창면에 위치한 글램핑장으로, 나무들로 둘러싸인 총 17채의 글램핑과 독채 펜션 2채가 있으며, 20년에 신설하여 시설 및 집기가 깨끗하고 관리가 잘되어 있다. 각 글램핑 내부에는 개별 화장실은 물론 티브이와 에어컨 등도 구비되어 있어, 편리하다. 부대시설로는 물놀이장과 산림욕 가능한 황톳길 체험장이 운영되고 있다. 가을이면 글램핑장 옆 밤나무 숲에서 밤 줍기 체험도 가능하고, 도보 10분 거리의 전 평지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14.4Km 2024-12-02
대구광역시 달성군 주리2길 104
오퐁드부아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에 있다. 외관은 한옥으로 지어져 고풍스러운 멋을 풍긴다. 내부는 한옥 양식과 현대적인 인테리어가 공존하고 있으며, 단체석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외부 널찍한 정원에는 프라이빗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대표 메뉴는 에스프레소다. 이 밖에 바게트, 깜바뉴, 감자크림 치아바타, 발로나 쇼콜라 파운드 등도 맛볼 수 있다. 파동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워터파크 스파밸리가 있다. ※반려동물 동반 가능(목줄, 배변봉투 지참)
14.5Km 2024-08-05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엄광길 103-16
마이웨이 리조트 관광농원은 조용한 숲속의 울창한 소나무들로 둘러싸여 있는 한적한 캠핑장이다. 글램핑, 펜션, 야영장이 함께 있으며, 글램핑 14동, 펜션 4동, 야영장 사이트 7개를 가지고 있다. 글램핑은 잔디동과 수령 50년이 넘는 소나무가 빼곡한 대자연의 품속에서 안락하게 쉴 수 있는 숲속 글램핑동과 그 외 하늘동, 수영장동 등이 있다. 캠핑장에는 연못과 넓은 잔디 마당이 있어 어린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다. 여름에는 넓고 긴 수영장이 있어 물놀이를 할 수 있다. 글램핑 안에 화장실과 욕실이 있어 편리하며 개별 테라스가 있어 바비큐 파티도 할 수 있다. 캠핑장 사이트 공간이 여유로워 편안하게 텐트를 칠 수 있다. 주변관광지로 표충사, 밀양 얼음골, 호박소, 영남루, 얼음골케이블카, 청도프로방스 등이 있다.
14.5Km 2024-07-08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봉의로 223-6
경남 밀양시 산내면에 위치한 구만산장캠핑장은 영남 알프스의 마지막 자락인 구만산에 자리 잡고 있다. 펜션과 가든, 야영장이 함께 있는 복합캠핑장으로 특히 건강에 좋다는 황토방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또한 캠핑장 바로 옆으로 맑은 계곡물이 흐르고 있어 무더운 여름날 물놀이 장소로 제격이다. 또한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트램펄린과 미끄럼틀이 있는 대형수영장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충분한 규모이며, 수영장 옆에 평상을 설치해 보호자들이 휴식을 취하며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물놀이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대형 연회장과 가든이 마련돼 있어 워크숍이나 단체모임 등의 이용도 가능하며, 가든에서는 촌닭한방백숙, 촌닭옻닭 등의 보양요리를 맛볼 수 있다. 캠핑장 내 모든 편의시설들이 깨끗하게 정리 정돈되어 있으며, 어린이 전용화장실까지 별도로 구비돼 있다. 캠핑장 산책길로 올라가다 보면 구만폭포가 나온다. 절경이 이런 거구나 싶을 정도로 감탄이 나오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