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Km 2024-01-19
대구광역시 수성구 상록로2길 45
다이닝슬로우라이프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15석의 좌석이 있으며, 단체석으로 활용할 수도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직접 반죽한 감자 뇨키, 트러플 크림, 포르치니버섯, 시금치가 어우러진 트러블 감자뇨끼다. 허브 마리네이드를 가미해 숙성한 숙성 채끝 스테이크, 신선한 제철 과일과 채소에 리코타치즈를 곁들인 시즈널 스타터 샐러드도 인기다. 이 밖에 가지 멜란자네, 부라타치즈 카프레제 등도 맛볼 수 있다. 대구 지하철 2호선 범어역과 북대구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관덕정 순교기념관이 있다.
7.8Km 2025-06-13
경상북도 경산시 계양동
경산시청 옆에 위치한 남매공원은 남매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시민공원으로 2.4㎞의 수변 산책로와 운동시설, 자전거 트랙, 어린이 물놀이시설, 연꽃 식물원, 관찰학습원, 음악 분수, 연못 안 수상광장이 구성되어 있어 경산시민의 산책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하절기에는 어린이를 위한 물놀이공원과 미니수영장을 개장한다. 규모는 작지만 시설은 워터파크 못지않은 물놀이 기구들이 있고, 야간에는 호수 중앙에서 레이저와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분수쇼를 볼 수 있어 더운 여름밤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는 곳이다. 경산우체국에서 관리하는 ‘느린 우체통’과 수생식물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는 관찰학습원, 시화전, 사진전 등 개최하여, 시민들의 문화활동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구성되어 있다.
7.9Km 2025-01-20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1334
커들포드는 대구광역시 동구 진인동에 있는 베이커리 카페다. 모던한 느낌의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2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테라스가 있는 2층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14세 이하는 입장할 수 없는 노키즈존으로 운영된다. 외부에 마련된 정원에는 모래 놀이터가 있다. 대표 메뉴는 에스프레소다. 이 밖에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바닐라라떼, 아몬드라떼, 인도네시아 만델링 등을 맛볼 수 있다. 파군재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팔공산도립공원, 신숭겸장군유적지, 대구섬유박물관이 있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8.0Km 2025-04-02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305
053-742-0001
대구그랜드호텔은 대구 교통과 비즈니스의 중심지인 수성구 범어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초현대적 시설과 화려한 장식을 갖춘 대구 제일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한식, 일식, 중식, 뷔페식당 그리고 남녀 사우나, 헬스클럽, 골프연습장 등과 예식 및 다양한 연회행사를 위한 다목적의 대·중·소 연회장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최고 수준의 서비스와 요리를 제공함으로써 대구 경북 최고의 비즈니스, 관광 명문호텔로서 선도적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내고 있으며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명문호텔로 인정받고 있다.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주는 인테리어와 최고급 가구 및 집기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 집처럼 편안한 휴식과 업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비즈니스맨에게 적합하도록 설계된 객실을 갖추고 있다. 비즈니스센터는 고객의 비즈니스 업무가 호텔 내에서 보다 편리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고 최신형 개인 컴퓨터와 프린터, 복사기 등 사무기기가 갖추어진 워크스테이션을 통해 고객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약속한다. 대구그랜드호텔은 최고의 고객서비스 만족호텔을 지향하며 거듭나기 위해 장기적인 시설투자와 원칙적인 경영 그리고 끊임없는 창조와 변화의 노력을 계속해 나가가고자 한다.
8.0Km 2025-03-18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
이 서원은 조선조 대학자였던 모당(募堂) 손처눌(孫處訥)(1553~1634), 사월당 류시번(柳時藩), 양계(暘溪) 정호인(鄭好仁), 모당의 6대 조인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 네 분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모당 손처눌의 자는 기도(幾道)이며, 한강(寒岡) 정구문하(鄭逑門下)에서 사사(師事)하여 학행과 효우로 스승에게 인정받았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였다. 난리(亂離) 중 부모상(父母喪)을 당하였으며, 이를 옳게 못 모신 것을 한탄하면서 임진왜란이 평정되자 종신여모(終身廬慕)한다는 뜻에서 자기 거처를 영모당(永慕堂)이라 하였다. 난(難) 후 그는 후진 양성에 전념하여 영모당은 언제나 문전성시(門前盛市)를 이루었고 '영모당통강제자록(永慕堂通講諸子錄)'에는 제자 202명의 명단이 적혀 있어 당시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마을 앞에 청호지(靑湖池)를 만들어 영농에도 힘썼으며, 조정에서의 논공행상도 사양하였으며 다만 대구향교의 최고 책임자인 도유사(都有司)를 12년간 맡았다. 손조서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대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한림학사로서 필재(畢齋)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고 단종 때 봉산군수(鳳山郡守)로 있다가 단종의 참사 소식을 듣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이라 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밀양)으로 내려가 후학 교육에 전념하였다. 청호서원 역시 1864년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1947년경 강당만 세웠다가 1968년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969년 강당과 위패를 모신 상인사(尙仁祠)를 중건한 것이다. 서원 입구에 모당선생 유허비(遺墟碑)도 세웠다. (출처 : 행복수성 문화관광)
8.0Km 2025-08-26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50길 121-7
수성구민운동장은 구민 건강의 지킴이 역할을 하는 운동장이다. 2001년 7월 천연 잔디와 특수조명시설, 샤워장, 탈의실 등의 부대시설 공사를 마치고 2002년 월드컵 축구 공식연습구장으로 사용되었고 2003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경기장으로도 지정되었다. 운동장 내 수성구생활체육협의회를 비롯한 다섯 개 단체의 사무실과 게이트볼장이 있으며 인근에 어린이회관, 궁도장, 범어공원 내 문화산책로 등이 있어 시민들의 체력증진 및 각종 생활체육 행사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