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동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안동집

안동집

12.0Km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14-6
054-843-0054

한국의 전통가옥 양식 중의 하나인 온돌에서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간고등어 정식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청기와민속식당

청기와민속식당

12.0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14-6
054-852-8361

찜닭 외에도 해물파전이 맛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안동찜닭이다.

이화식당

이화식당

12.0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14-6
054-842-3456

하회마을 근처에 위치한 안동찜닭 맛집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안동찜닭이다.

부네식당

부네식당

12.0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14-6
054-821-2738

안동의 대표음식 안동찜닭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비빔밥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하회민속식당

하회민속식당

12.0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14-6
054-853-0521

하회마을 매표소 근처에 위치한 식당이며 찜닭과 간고등어구이, 안동식혜 등 안동 특산물 음식을 한 번에 먹을 수 있다.

하회 솔밭식당

12.0Km    2024-01-08

경상북도 안동시 전서로 214-6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장터에 위치한 하회 솔밭식당은 하회별신굿 탈놀이 공연장 및 하회마을 도보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관광지 접근성이 좋다. 안동찜닭, 간고등어정식 등 안동 대표음식을 판매하고 있으며, 간고등어정식을 주문하면 10가지 이상의 다양한 밑반찬이 함께 제공된다. 찜닭과 간고등어정식을 한 번에 맛볼 수 있는 세트메뉴를 판매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파전, 감자전, 묵무침 등 안주류도 맛볼 수 있다.

타양서원

타양서원

12.2Km    2024-11-04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조탑본길 55-11

타양서원은 영조 17년(1741)에 정평공 손홍량, 상촌 김자수, 파산 류중엄 선생을 제향 하기 위해 설립된 서원이다. 대원군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어 일직 송리 뒷산에 단을 쌓아 제향해 오다가 1984년 사림에 의해 복설 되어 매년 3월 중정일에 제향하고 있다. 사당은 상현사, 당은 성경당, 동재는 진수재, 대문은 경앙문이다. 서재는 마련되지 못했다.

풍송재

풍송재

12.3Km    2025-01-20

경상북도 안동시 한옥마을1길 53-4
010-2389-1054

경북 안동 한옥마을에 위치한 풍송재는 봉화의 질 좋은 육송으로 지어진 한옥스테이다. 전통미는 살리면서도 객실마다 화장실을 두어 편의성을 높였다.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푸른 잔디마당이 펼쳐져 있고, 풍송재의 핵심 공간 누마루에서는 고풍스러운 한옥 건물과 담장 너머로 쭉 뻗은 소나무 숲이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객실은 총 3개로 사랑방과 송실, 그리고 취사가 가능한 풍실로 구성되어 있다. 인근에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이 있다.

근성서원

근성서원

12.3Km    2024-11-05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긴대골길 10

1812년(순조 12) 의성군 안평면 하평리에 조선 개국공신인 김인찬(金仁贊)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해 이곡서원(尼谷書院)으로 창건하였고, 의성군 비안면으로 이건 했다가 대원군 서원철폐령으로 인해 훼철되었다. 그 뒤 1926년에 현 위치에 복설, 근성(芹城)으로 서원명을 고쳤다. 경내의 건물은 사우와 강당, 전사청, 내외삼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담장을 둘렀다. 서원의 경내는 매우 경사져서 강당과 사당의 고저차가 많이 난다. 구성은 외삼문을 들어서면 숭의당(崇義堂)이라고 현판을 단 강당이 전면으로 보이고, 강당 뒤쪽으로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사당영역에 이른다. 한편 강당 우측방 입구 위에는 양직재(養直齋)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사당에는 원훈사(元勳祠)라는 현판이 걸려있으며, 사당영역의 담장 밖 우측에 전사청이 자리하고 있으며, 동서재는 따로 없다.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12.3Km    2023-09-07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안동 조탑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전탑으로 화강암 석재와 벽돌을 혼용해서 만든 특이한 탑이다. 우리나라 전탑에는 거의 모두 화강암을 혼용하고 있으나 이 전탑에서는 그러한 의도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타나 있다. 탑은 현재 화강석의 석축을 가진 방형 토축 기단 위에 서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이런 형태의 기단이 있었던 것은 아니며, 일제강점기 이후 조사 당시에는 주변보다 약간 높은 나지막한 언덕 위에 탑이 서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처음에는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과 마찬가지로 기단부가 없이 지대석을 놓고 그 위에 바로 탑신을 올렸을 가능성도 있다. * 오층전탑의 형태에 대하여* 탑의 형태를 살펴보면 기단은 흙을 다져 마련하고 그 위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화강석으로 5∼6단을 쌓아 1층 몸돌을 이루게 하였다. 남면에는 감실을 파서 그 좌우에 인왕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1층 지붕부터는 벽돌로 쌓았는데 세울 당시의 것으로 보이는 문양이 있는 벽돌이 남아 있다. 2층 이상의 탑신에는 2층과 4층 몸돌 남쪽 면에 형식적인 감실이 표현되어 있고, 지붕돌에는 안동에 있는 다른 전탑과는 달리 기와가 없다. 이 탑의 체감 비율은 지붕보다 몸돌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했는데, 1층 몸돌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은 점과 5층 몸돌이 너무 큰 것이 그것이다. 여러 차례 부분적인 보수를 거치는 동안 창건 당시의 원형이 많이 변형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