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Km 2024-11-13
대구광역시 달서구 문화회관길 160
달서구문화원은 지역문화의 계승과 진흥 및 발전을 목적으로 2000년 5월 12일 개원하였다. 달서구는 선사시대 유적과 현대의 문화유적이 병존하는 문화의 뿌리가 깊은 지역으로 달서구문화원에서는 이러한 달서구에 대한 지역민의 자긍심과 문화욕구를 고취 시키고자 문화유적 탐방과 문화예술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구민 화합을 도모하고자 베란다 힐링 콘서트를 개최하고 있으며, 사진공모전 입상자와 공모전에서 배출된 초대작가회원의 작품을 전시하여 지역 사진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전통문화 계승과 진흥을 위해 더욱 힘 쓰고 있다
11.5Km 2024-06-12
대구광역시 달서구 문화회관길 160
지역민의 문화 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건강하고 여유로운 삶을 위한 문화 예술복합시설로 2004년 4월 최초 개관하였으며, 2014년 4월 (재) 달서 문화 재단으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주요 시설로는 공연장인 청룡 홀 455석, 와룡 홀 212석, 야외공연장(1,200㎡)과 두류 갤러리(335㎡), 작은 도서실, 컴퓨터실(35대), 예술아카데미 10개 강의실, 수영장(25M, 6레인) 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기존 웃는 얼굴 아트센터에서 달서 아트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12.21)
11.5Km 2025-04-08
대구광역시 달서구 문화회관길 160
053-582-1900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에 있는 달서아트센터 내 1층에 위치한 수영장으로 한적하고 넓은 공간을 자랑한다. 특히, 수영장이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영장이 큰 투명 유리창로 되어 있어 수영을 하면서 밖의 경치를 즐길 수 있어 이용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시설이다. 이곡장미공원이 가까운 거리에 있어 수영 후 산책도 즐겨 봄 직하다.
11.5Km 2024-01-23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64길 49
드라이에이징 비프다이닝 더우는 건식 숙성 한우를 테마로 오마카세와 다이닝을 선보인다. 20여 년 한식 경력의 오너셰프가 계절별로 차려내는 ‘한식코스’를 맛볼 수 있다. 전남 고흥 농장에서 재배한 제철 식재료를 이용하여 드라이에이징 한우와 가장 잘 어울리는 한식 코스를 선보인다. 계절과 식재료 수급에 따라 메뉴가 달라지기도 한다. 전석 룸으로 이루어져 있어 프라이빗하게 식사할 수 있다.
11.5Km 2023-03-21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70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동에 있는 남문시장은 반월당역과 350m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2021년 10월 현재 230여 개 상점이 성업 중이다. 규모로 따지면 서문시장, 칠성시장, 관문시장, 대명시장 등 대구에서 잘 알려진 큰 시장과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시장과 함께 한 상인들은 오랜 세월 중구를 지켜온 터줏대감이라 할 수 있다. 남문시장에는 횟집과 식당이 있지만, 유명한 떡집 3곳이 있다. 서울떡집, 경남떡집, 낙원떡집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매일 이른 새벽부터 떡을 만들고 직접 포장까지 하니 단골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백설기, 인절미, 약밥 등 먹음직스러운 떡이 진열대에 줄을 서 있다. 그중에서도 남문시장 떡집에서 유명한 떡은 '콩떡'이다. 남문시장은 어린시절 보았던 시장통이 생각나게 하는 오래된 전통시장이다.
11.5Km 2024-02-26
대구광역시 달성군 음동길 130-15
도케비커피 본점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에 있다. 고급스러운 느낌의 외관,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 자연 친화적으로 꾸민 외부 공간이 돋보인다. 내부에는 좌식, 입식 테이블이 있고 통창이어서 밖의 나무들과 자연경관을 감상하기 좋다.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스페셜티 핸드드립이다.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땅콩크림라떼, 에스프레소, 밀크티 등도 맛볼 수 있다. 북 현풍(하이패스)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달성 노을공원, 세계문화유산 도동서원이 있어 들러보길 추천한다.
11.5Km 2024-03-19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용리
크게 보고, 크게 느끼고, 크게 깨우친다는 뜻을 담고 있는 대견사는 대구광역시 비슬산 정상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동화사의 말사이다. 대견사는 신라 하대 초기인 헌덕왕 때에 창건된 신라 천년 고찰이다. 이 절을 창건한 주체는 헌덕왕과 왕비였던 것으로 보이며, 삼국유사를 집필한 일연 스님이 1227년 승과에 22세 나이로 장원급제하여 초임 주지로 온 이래, 22년간 주석하여 삼국유사 자료수집 및 구상을 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사찰 역시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폐사되었다가 광해 3년인 1611년과 인조 11년 두 차례에 걸쳐 크게 중창되면서 전성기를 맞이한다. 그러나 18세기 들면서 다시 폐사의 길로 접어들었으며 1900년 영친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하여 이재인이 중창하였으나 1908년 허물어지기 시작하여 1917년 6월 『조선 총독부 관보』에 ‘대견사를 폐지한다’고 공시하면서 그 터만 남게 되고 폐사지에는 삼층석탑만이 위태롭게 자리를 지키고 있어 한 때는 ‘대견사지’라고 불리었다. 그러다 달성군과 조계종 동화사에 의해 2011년 11월 대견사 재건 공사가 착공되어 2014년 3월 적멸보궁, 요사채, 산신각, 목조 와가 등 건물 4동이 완공되었다. 이로써 대견사가 폐지된 지 100여 년 만에 다시 복원되었다. 설악산봉정암, 지리산법계사와 더불어 1,000m 이상에 자리 잡은 사찰 중 한 곳이며, 불상이 아닌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어 적멸보궁이라 한다. 대견사에 봉안한 진신사리는 2013년 11월 동화사가 스리랑카 쿠루쿠데사원에서 모시던 부처님 진신사리 1 과를 기증받아 이운 한 것이다. 이 진신사리는 서기 103년부터 스리랑카 도와 사원에서 보관해 오다 1881년부터 쿠루쿠데 사원에 모셔진 사리 4 과 중 하나다. 요즘에는 금강계단에서 보살계 수계법회가 봉행(2023년 4월 16일)되기도 하였으며, 비슬산 정상에 위치하여 비슬산 자연휴양림을 품고 있으며 봄이면 비슬산 참꽃 군락지에 진달래가 만발하여 장관을 이룬다.
11.6Km 2025-08-12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4가
한영아트센터는 합리적인 인프라 전문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내실 있는 공연, 다채로운 전시,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는 대구를 대표하는 아트센터이며 풍성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에게 문화 예술로 행복을 선사하고 있다. 대구의 대동맥인 달구벌대로 수성네거리에 위치해 외곽에 위치한 다른 문화 공간과는 다르게 시내 중심에 있어 편리한 교통과 뛰어난 접근성이 장점이다. 고품격 복합문화 예술공간을 지향하며 연주자의 섬세함까지 객석에 전달되는 200석 규모의 콘서트홀부터 연회장, 갤러리, 축음기박물관, 종박물관 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감상하며 커피 한 잔을 즐길 수 있는 카페도 있어 도심 속에서 문화를 보다 편리하고 편안하게 즐기기 좋은 장소이다. 또 연회장인 화영홀은 리셉션 홀로 각종행사나 모임장소로도 대관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