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Km 2024-07-30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원곡1길 106-43 (교방동)
창원시 마산합포구 무학산 서원곡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한국 불교 태고종 원각사는 근대 마산 지역의 중심적 사찰 가운데 하나로 1912년에 창건되었으며, 서원곡 일대에 산재해 있는 많은 사찰 가운데 가장 일찍 만들어졌다. 무학산은 마산을 둘러싼 모양새이며 크고 작은 능선과 여러 갈래의 계곡으로 이루어진 수려한 산이다. 이 무학산에 위치한 원각사는 봄에는 만개한 벚꽃과 진달래로 아름다운 사찰이며 원각사에 이르는 길은 추억의 만화를 그린 벽화로 꾸며져 있다.
13.2Km 2024-06-12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
서원곡유원지는 무학산이 길게 뻗어 내린 사이에 깊은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고, 계곡 양쪽은 울창한 숲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연유원지이다. 하얀계곡 바위 사이로 맑은 물이 흐르고 있으며, 사시사철 많은 사람들이 찾는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서원곡유원지에는 회원서원에 있던 관해정이 자리 잡고 있으며, 옆에는 440여 년 된 은행나무가 있다. 무학산의 대표적인 등산로 입구로 알려져 있으며, 팔각정, 백운사, 서학사, 원각사, 사방댐, 석봉암, 용주암, 석불암 등이 있는 관광지역이다.
13.2Km 2025-03-15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원곡1길 19 (교방동)
씨름의 도시인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한 서원곡씨름장은 씨름부의 연습장으로 쓰일 뿐만 아니라 매주 일요일엔 생활 체육 시민을 위한 자유 체험이 가능한 곳이다. 마산 씨름의 역사적 의미가 있는 시설물로써 전국 최고의 씨름선수 전지훈련 메카로 각광받고 있다.
13.3Km 2025-03-19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 산 88
2005년 7월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봉암수원지는 일제강점기 시절 마산에 거주하던 일본인과 부역자들에게 식수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저수지다. 상수도 사업으로 인해 저수지의 기능은 폐쇄했지만, 자연친화적인 탐방로와 휴게시설, 산책로 조성 및 데크로드 등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힐링스폿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봉암수원지의 둘레는 약 1.5㎞로 길이 고르고 그늘져 있어 고요히 경치를 즐기며 부담 없이 산책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 없으며, 어린이 놀이터, 숲속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13.3Km 2024-02-19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신감길 13-14
경상남도 창원시 신감마을회관 인근에 위치한 고유커피는 전문 로스터가 직접 로스팅한 다양한 종류의 원두가 있는 카페이다. 본관과 별채, 야외 마당으로 이루어진 고유커피는 파라솔, 넝쿨, 빈티지 가구 등을 배치하여 한옥의 멋과 세련된 공간을 연출해 어디든 포토존이 된다. 특히 별채 통창으로 덩굴식물이 돌려져 있는 원형 테이블은 베스트 포토존이다. 고유커피의 시그니처 메뉴는 스윗시나몬크림과 에스프레소가 들어간 신감리라떼와 각 시즌별로 맛과 향이 좋은 신선한 원두로 내린 필터커피, 시그니처메뉴 흑임자크림과 에스프레소와 우유가 들어간 흑임자라떼, 시그니처 우유 아이스크림과 에스프레소가 들어간 아이스크림 라떼가 있다.
13.4Km 2025-03-16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동읍로359번길 27
전국 최대의 단감 생산지이자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단감을 재배한 창원단감의 역사적 가치를 홍보하기 위해 조성한 농촌테마공원이다. 단감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는 홍보관과 100년 창원 단감의 역사를 증명하는 시배목, 가족들과 전통놀이를 즐기며 휴식할 수 있는 잔디광장과 초가집, 감식초 체험장과 단감 과수원 등에서 농촌의 정취와 풍경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숨은 5감 찾기’를 주제로 사랑, 행복, 행운, 건강, 장수를 테마로 한 공원 내 보물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주변에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주남저수지와 빗돌배기, 다호리 고분군 농촌체험마을 등이 있다.
13.4Km 2025-03-16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신암로 209
안군 가야읍 신음리에 있는 신암서원은 1780년(정조 4)에 안관(1491~1553) 선생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안관은 경상남도 함안 출신으로,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크게 통탄하고 벼슬길을 멀리하였다. 1519년(중종 14)의 기묘사화와 1521년(중종 16)의 신사무옥이 발생하자 1523년(중종 18)에 함안의 여항산에 은거하였다. 학문 탐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많은 저서를 남겼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1780년(정조 4)에 영남 사림에 의해 사와 서원 강당이 건립되었고, 1784년(정조 8)에 서원으로 승격하였다. 1823년(순조 23)에 강당을 이건 하고, 1850년(철종 원년) 중건했지만 1868년(고종 5)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한동안 복원하지 못하다가 1990년 신암 서원 복원 추진 위원회가 결성되어 경상남도 함안 지역의 유림과 후손의 지원으로 1993년 10월에 준공하였다. 서원은 신암재로 편액을 바꾸었다. 중앙은 마루 2칸이고, 동편 2칸과 서편 1칸은 방이다. 신암재 좌측에는 정면 5칸, 측면 3칸, 목조 와가 팔작지붕으로 신축한 신암서원이 있다. 경내에는 사우 및 별묘를 비롯하여 동재, 서재, 장판각, 외삼문 등이 있다. 신암서원 내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인 고려 후기 안축 근재집 목판 93매가 소장되어 있다. 향사일은 매년 3월 상정과 9월 상정이며, 순흥 안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