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머금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미소머금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미소머금고

미소머금고

19.5Km    2025-01-07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소백로 1727
054-636-1599

영주의 미소머금고는 국내 최초로 고구마빵을 개발하여, HACCP 인증 시설에서 고구마빵을 제조하고 있다. 고구마빵은 밀가루와 설탕의 함량을 최소만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최소화 · 트랜스지방 제로인 저칼로리 식품이며,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아 건강한 빵을 맛볼 수 있다. 미소머금고 본사에서는 고구마빵에 사용되는 고구마를 직접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구마빵 제조 가공 · 판매 · 유통을 모두 책임지고 있다. 본사는 매장과 공장, 체험관이 같이 있어 고구마를 이용한 고구마케이크, 고구마쿠키, 고구마빵, 즉석빵 등의 다양한 먹거리를 맛볼 수 있으며 고구마빵 만드는 과정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어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게 견학 및 체험이 가능하다.

한국선비문화수련원

19.6Km    2024-11-27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806
010-7302-8484

경북 영주시에 위치하고 있는 한국선비문화수련원은 해동 유종으로 추앙받는 안향 선생의 정신이 깃든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 소수서원과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선비촌

19.6Km    2024-11-26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54-638-6444

영주 선비촌은 한국 유교 문화 발상지인 경북 영주 순흥 소수서원과 바로 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선현들의 학문 탐구의 장소 및 전통 생활공간을 재현하여, 우리 고유의 사상과 생활상의 체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설립되었다.

소수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소수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19.7Km    2025-07-09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1542년(중종 37년)에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안향(安珦)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가 1543년(중종 38)에 유생들을 교육하면서 백운동서원이라 하였다. 1550년(명종 5)에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의해 ‘소수서원’이라 사액을 받고 나라의 공인과 지원을 받게 되었다. 1544년(중종 39)에 안축(安軸)과 안보(安輔)를 제사 지냈고, 인조 11년(1633)에는 주세붕을 더하여 제사 지냈다. 서원의 건물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되었는데 일반적인 서원의 배치가 완성되기 이전인 초기의 서원이기 때문인 듯하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학생들이 머물며 공부하는 일신재와 직방재가 연속으로 있다. 서원의 일반 배치가 강당 좌우에 대칭으로 동·서재를 두는 것인데 비해 소수서원은 현판의 이름으로서 구분하였다. 사당은 명륜당의 서북쪽에 따로 쌓은 담장 안에 있다. 서원이 있던 자리에는 원래 통일신라시대의 절인 숙수사가 있었는데, 그 유적으로 당간지주와 초석 등이 남아있다. 소수서원은 조선시대 후기에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지금도 매년 봄·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조용한 영주의 서원과 고찰을 찾아서

조용한 영주의 서원과 고찰을 찾아서

19.7Km    2023-08-09

영주의 우리나라 최초 사액서원(임금이 현판 하사)인 소수서원과 순흥향교를 조용히 걸어보자. 체험활동처럼 떠들썩한 맛은 없지만 잔잔한 자연에 어우러진 선비의 정신을 온전히 느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한 여름에 방문하면 죽계구곡의 시원한 물소리에 더위를 잊는다.

선비촌

선비촌

19.7Km    2025-07-28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영주 선비촌은 한국 유교 문화 발상지인 영주 순흥 소수서원과 바로 접하여 위치한 곳으로 선현들의 학문 탐구의 장소 및 전통 생활공간을 재현한 곳이다. 또한 선비정신의 계승과 이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 역사관 확립을 도모하고자 설립된 체험 교육장이다. 우리 민족의 생활 철학이 담긴 선비정신을 거양하고,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 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병폐 현상을 해소시켜 보고자 충효의 현장으로 재현하게 된 곳이다. 또한 선비정신의 계승과 이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 역사관 확립을 위한 살아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각종 기획프로그램 (오감체험형 전시와 참여형 이벤트, 전통문화 체험 등)을 통해 옛 선비들의 당시 생활상을 체험함으로써 잊혀져가는 수준 높은 선비문화의 숨결을 느껴보실 수 있다.

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

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

19.7Km    2025-04-23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54-630-8708 054-639-6612

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는 선비정신의 본향 영주의 철학과 정서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 계승하여 선비문화와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축제이다. '선비의 온기, 만남에서 빚어진 향기'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전시를 통해 공동체의 가치를 회복하고 사람을 느낄 수 있는 축제로 진행된다.

소백산 자락길

소백산 자락길

19.7Km    2025-08-06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소백산자락길은 경상북도 영주시·봉화군, 충청북도 단양군, 강원특별자치도도 영월군의 3도 4개 시·군에 걸쳐져 있다.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문화생태탐방로’로 가장 먼저 이름을 올렸고, 2011년 ‘한국관광의 별’로 등극되었다. 영남의 진산이라 불리는 소백산자락을 한 바퀴 감아 도는 자락길로 전체 길이가 143㎞에 이른다. 총 열두 자락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락은 평균 거리가 12㎞ 내외이며, 약 3~4시간이 소요된다.

안빈낙도 새로보기·음미하기·유람하기

안빈낙도 새로보기·음미하기·유람하기

19.7Km    2025-07-09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02-737-6444

'영주 선비촌에서 만나는 리얼선비 풍류'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선비들의 '풍류와 놀이'를 직접 체험하며 전통문화의 가치를 현대적 방식으로 경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안빈낙도란 영주를 찾아온 손님을 편안하고 즐겁게 한다는 뜻이며, 행사가 진행되는 영주 선비촌은 오늘날 우리가 본받아야 할 선비들의 정신과 몸가짐을 새롭게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으로 활용하고자 영주 선비들이 실제 살았던 생활공간을 그대로 재현한 전통문화 테마파크입니다. 선비의 풍류와 놀이를 직접 체험하고, 영주의 특산품 및 영주 고유의 식문화를 체험하며, 선비촌만의 힐링 프로그램을 통해 마음의 휴식을 주는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순흥전통묵집

19.7Km    2025-03-13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순흥로39번길 21
054-634-4614

영주 부석사 근처 마을인 순흥에는 1970년대부터 전통 묵밥 한 가지만 만들어온 순흥전통묵집이 있다. 옛날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방법으로 메밀묵을 제조하며, 전통묵밥 단일 메뉴만을 판매하는 곳이다. 전통묵밥과 함께 제공되는 갖가지 반찬과 김치 또한 정갈하고 깔끔한 맛으로 손님들에게 인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