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Km 2024-12-02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시장1길 5
054-974-1312
대구 공업지대의 원심적인 확산으로 공장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비하여 왜관공업단지가 조성되었다. 낙동강변의 범람원상에 사과 과수원이 많고 교통이 편리하여 성주군과 칠곡군 일대의 농산물 집산지를 이룬다. 왜관장에서는 시장 내 농협공판장에는 참외, 수박, 오이 및 각종 과일을 염가에 구입할 수 있고, 시장사거리 도로변에는 노점상에서 싸고 싱싱한 야채를 구입할 수 있다.
19.4Km 2025-03-13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로 3167-11
성주역사테마공원은 성주의 옛 모습을 재현한 공원이다. 성주읍성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임정사 앞 동북쪽 성곽의 흔적만 일부 남게 되었는데 2020년 10월에서야 재건하였다. 산책로에 조성된 비석들은 조선 시대에 성주 곳곳에 세워져 있었지만 도로 개설 등의 이유로 이곳으로 이전되어 그 뜻을 이어가고 있다. 각 시설은 각종 문헌과 관련 전문가들의 고증을 거쳐 복원해 지역문화유산의 역사와 가치를 재조명했다.
19.4Km 2025-03-06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순환로 271-9
2024년 신규 개관한 성주 과일 어린이 과학체험관은 성주를 대표하는 과일인 참외를 포함한 여러 과일과 관련한 교육, 체험, 놀이공간 등이 갖추어진 체험관으로 매월 ‘이달의 과학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체험관은 '과일이 알려주는 과학 이야기'를 주제로 실내 놀이공간과 실험공간 등이 있으며, 경북 어린이 교육 전문 기관인 아이나라 유아 교육센터와 연계하여 여러 가지 과학 놀이와 실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어린이들이 놀이와 체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만든 공간으로, 이곳에서 어린이들은 과일이라는 친숙한 소재를 통한 과학을 더욱 가까이할 수 있다. 관람객은 사전 예약접수를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현장 방문의 경우에는 선착순으로 명단을 작성 후 대기할 수 있다.
19.5Km 2025-03-06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5길 12-6
이 건물은 조선시대 소과에 급제한 생원 및 진사들이 모여 선현(先賢)을 숭모(崇慕)하고 서로 면학을 격려하는 장소인 사마소(司馬所)에서 비롯된 것이다. 선조 21년(1588)에 성주성(星州城) 서문 밖에 처음 건립되었으나, 그 후 건물이 많이 낡아 후손들이 계를 조직하여 철종 11년(1860)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우고 이름을 연계당이라 하였다. 건물은 경사대지 전면에 봉하문(鳳下門)을 내고, 연계당, 관리사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맞배집이고, 중앙마루 2칸을 중심으로 양측칸에 온돌방 1칸씩을 배치한 중당협실형으로 되어 있다. 온돌방 뒷벽에는 수장공간인 벽장(壁欌)이 있고, 온돌방 앞면과 마루 뒷면에는 각기 쪽마루를 두어 사용하고 있다. 기단은 자연석을 쌓았고 자연석 초석에 민흘림기둥을 세웠다. 1992년에 신축한 관리사는 정면 6칸·측면 1칸의 맞배집이고, 대문칸은 정면 2칸, 측면 1칸의 맞배집이다. 연계당에 보관되어 있는 「연계소영일기」는 1860년 이건 공사를 날짜별로 기록하고, 특히 건축 자재의 매입 및 가격, 목수, 토공(土工) 등의 수와 급료 등을 기록하고 있어 당시 건축공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책자는 가로 22㎝, 세로 34㎝이며 1쪽에 9줄씩 모두 30쪽 분량으로 필사본(筆寫本)이며 표지는 「연계소영건일록(蓮桂所營建日錄)」이라 적혀 있다.
19.5Km 2025-03-06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순환로1길 17-13
어린이 공공놀이터인 놀벤져스는 아이들의 모험심과 창의성 계발을 위해 안전성을 고려하여 아동전문기관인 세이브더칠드런과 성주군이 함께 조성한 어린이 공공놀이터이다. 당초 성주군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로 마련된 이곳은 입소문을 통해 인근도시 어린이들의 핫플레이스로 등극, 2호점, 3호점의 연이은 개장과 함께 가족 단위 방문객들의 새로운 놀이 문화 쉼터로 인기몰이 중이다. 스카이워크, 짚라인, 월훌라, 트램펄린, 모래놀이 등 다양한 신체활동이 가능한 시설을 통해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19.7Km 2025-03-06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심산로 95-6
이 건물은 조선시대 성주목 관아(官衙) 건물의 하나이다. 처음 건립된 성주목의 관아는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으며, 선조 41년(1608)에 목사 송영구(宋英耈)가 지금의 성주초등학교 동북쪽에 사시헌(四時軒, 목사의 관사)과 함께 건립하였다. 효종 8년(1657)에 목사 최계훈(崔繼勳)이 지금의 군청자리로 이건 했고 여러 차례에 걸쳐 개수(改修)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관아 건물은 없어지고 현재의 건물만이 남았으며, 1994년 현 군청사 신축공사로 인해 군청사 뒤편 현재의 자리로 이건 하였다. 대청에는 성산관(星山館)을 현판 하고, 대청 안쪽으로 절제아문(節制衙門), 사시헌(四時軒)을 현판 하였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 기와 건물로 오른쪽에 2칸의 온돌방이 있고, 나머지는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다. 이 건물의 정면은 주춧돌을 높게 하여 기둥모양으로 나열시켰고 마룻바닥이 지면에서 높이 올라와 있는 것이 특색이다. 흔히 고상식(高床式)이라고 불리는 이런 구조는 마루를 주로 이용하는 남방건축에서 지면의 습기를 피하기 위해 짓는 방법으로 상주의 양진당(養眞堂)에도 같은 구조가 남아 있어 서로 비교가 된다.
19.7Km 2025-01-13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로 3204
성주문화원은 1968년 설립되어 지역의 전통문화 계승 발전과 문화예술의 저변확대를 통하여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각종 향토 사료집의 발간과 전통 예술축제 및 문화학교를 개설하여 잊혀 가는 조상들의 발자취를 재조명하고 온고지신의 정신으로 현대 문화와 조화되게 함으로 지역문화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19.9Km 2025-07-29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길 17
별고을시네마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에 위치한 작은 영화관으로, 성주창의문화센터 내에 자리하고 있다. 1관과 2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신 영화를 상영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생활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19.9Km 2024-01-18
경상북도 김천시 아랫장터5길 15
명희네집은 경상북도 김천시 용두동에 있다. 업종이 한식이지만 중국 요리를 판다. 대표 메뉴는 매운맛이 일품인 해장짬뽕이다. 배추, 양파, 숙주나물, 오징어, 새우 등을 푸짐하게 넣었다. 해장짬뽕 외에 탕수육처럼 생긴 고기튀김도 인기다. 김천 IC와 가깝고, 인근에 금오산도립공원과 금오랜드가 있다.
19.9Km 2025-03-06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성주읍 서문고개 성주여고 입구 맞은편에 있는 쌍충사적비는 임진왜란 때 영남지방에서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우다가 성주성(星州城) 싸움에서 전사한 제말(諸沫) 장군과 진주성(晋州城) 싸움을 돕기 위해 출전하다가 전사한 조카 제홍록(諸弘祿)의 업적을 새겨 정조 16년(1792)에 세운 비이다. 제말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웅천(熊川)·김해(金海)·의령(宜寧)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공을 세웠으며 성주성 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제말의 조카인 제홍록은 숙부와 더불어 큰 전공을 세웠으며, 이순신 장군 휘하에 있다가 정유재란 때 전사했다. 비는 전체 높이가 325㎝이며 높이가 216㎝·너비 79㎝·두께 37㎝ 규모의 비신을 받침돌 위에 올리고 이수를 얹은 모습이다. 이수에는 서로 엉킨 두 마리의 용이 머리를 맞대고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있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조각되어 있다. 비문은 서유린(徐有隣) 이 글을 짓고 이병모(李秉模)가 글씨를 썼으며, 성주목사를 지냈던 조윤형(趙允亨)이 전서했다. 쌍충사적비는 처음에는 지금의 성주초등학교 앞 길가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일본 관헌들에 의해 비각이 헐리고 비가 방치되었던 것을 1940년 경에 도로 확장공사를 하면서 지금의 자리에 옮겨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