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암(고성)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수암(고성)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문수암(고성)

16.3Km    2025-03-21

경상남도 고성군 상리면 무선2길 808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쌍계사의 말사인 문수암은 고성군상리면 무선리 무이산에 있는 암자로서 신라 성덕왕 5년(서기 706년) 의상조사가 창건했다. 창건 이후 이 암자는 수도 도량으로서 많은 고승들을 배출하였고, 산명이 수려하여 삼국시대부터 해동의 명승지로 유명하였으며 특히 화랑도 전성시대에 국선 화랑들이 이 산에서 심신을 연마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중창 및 중건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현존하는 암자는 사라호 태풍 때 건물이 붕괴된 뒤에 지은 현대식 건물이고, 일반 신도들의 성금으로 1973년에 이 절에서 수도한 이청담(李靑潭)의 사리를 봉안하여 세운 청담 대종사 사리탑이 있다. 석벽에는 문수(文殊), 보현(普賢) 두 보살상이 나타나 있으므로 문수단(文殊壇)이라 이름지었다. 문수보살(文殊菩薩)은 석각이고, 관세음보살상(觀世音菩薩像)은 두자 일곱치 크기의 목각으로 되어 있다. 기암절벽이 암자 뒷편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산정에 오르면 남해안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이 마치 군산봉처럼 부침하고 있는 절경을 조망할 수 있어 등산객과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질 않고 있는 신라의 고찰이다. 인근에 수태산 보현사가 자리잡고 있으며 사천공항에서 버스편으로 30분 가량 소요 되고 문수암 입구까지 도로가 포장되어 승용차로 산 허리를 감고 돌아 문수암 조금 아래에 있는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걸어서 10분 쯤 가면 문수암이 나타난다. 창건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하고 있다.의상조사가 남해보광산(지금의 금산(錦山))으로 기도하러 가던 길에 상리면 무선리 어느 촌락에서 유숙하게 되었는데 비몽 사몽간에 한 노승이 나타나서 “내일 아침에 걸인을 따라서 보광산보다 무이산을 먼저 가보라”고는 홀연히 사라져 잠을 깨니 꿈이었다. 날이 밝아 과연 한 걸인이 나타났는데, 급히 밥상을 갖다주며 무이산의 주소를 물었더니 무이산에 간다 하기에 함께 동행하게 되었다. 걸인을 따라 무이산 중턱에 오르니 눈앞에 수많은 섬들이 떠있고, 동.서.남.북 그리고 중앙에 웅장한 다섯개의 바위가 오대(五臺)를 형성하고 있어 마치 오대산의 중대를 연상하게 하였다. 이때 그 걸인이 중대를 가리키며 “저곳이 내 침소다”라고 말하자 한 걸인이 또 나타나서 두 걸인은 서로 손을 잡으며 바위 틈새로 사라져버렸다. 의상조사는 석벽 사이를 살펴보았으나 걸인은 보이지 않았고, 이상하게도 석벽 사이에는 천연적인 문수보살상만이 나타나 있는 것을 보고 의상조사는 홀연히 깨달은 바, 꿈속의 노승이 관세음보살이고 두 걸인이 문수와 보현 보살임을 깨달았고 의상조사는 무이산을 두루 살펴보고는 “이곳은 족히 사자를 길들일 만한 곳이며 이곳 이야말로 산수 수도장이다” 라고 예찬하고 문수단을 모아서 문수암을 세우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데 지금도 석벽 사이에는 천연의 문수상이 뚜렷이 나타나 보인다.

보현암

보현암

16.3Km    2024-06-28

경상남도 고성군 무선2길 1039

보현암은 경남 고성군의 수태산에 있는 사찰로 13m 높이로 우뚝 솟은 금동 약사여래 대불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산 중턱에 있어 경치가 좋고, 사찰 뒤쪽으로는 바다도 보인다. 특히 가을에는 산을 물들인 알록달록한 단풍이 커다란 불상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해동 제일 기도 도량’이라고 쓰여있는 일주문을 통과하면 사찰 건물이 보인다. 건물은 총 3층이며, 1층에는 불자들을 위한 염주 등을 판매하고 2층에는 법당이 있으며, 3층으로 올라가면 비로소 약사여래불 불상을 마주할 수 있다. 약사여래불은 중생의 아픈 몸과 마음을 치유하여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베풀어주는 불상으로, 가족과 주변인들의 건강을 빌기 위해 오는 사람들이 많다. 차로 3분 거리에 역사가 깊은 문수암이 있어 함께 여행하기에도 좋다.

하동 옥종딸기마을

하동 옥종딸기마을

16.4Km    2025-01-14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북방우회길 7-4

옥종딸기마을은 옥종면 북방리 면 소재지에서 6km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산자락의 기름진 땅과 맑은 공기, 풍부한 햇볕, 맑은 물로 당도가 높은 딸기를 생산하고 있는 마을이다. 마을 주변으로 흐르는데 동으로는 덕천강이 흐르는데, 강 건너는 진주시 수곡면 원외리이며, 남으로는 사천시 곤명면 완사와 마곡, 북쪽으로는 대곡리이고 서로는 정수리와 접하고 있다.

루디아공예원

16.4Km    2023-08-31

경상남도 사천시 벌리5길 12-12
055-833-0524

루디아공예원은 경남 사천에 위치한 도자기 공방으로 청소년 문화센터 골목 내에 위치하였다. 이곳은 원데이클래스를 체험할 수 있고 흙으로 직접 만들고 그림도 그리며 나만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부모님에게는 여행의 휴식처로 자녀에게는 멋진 추억을 담아가는 체험의 장소이다.

실안장어촌

실안장어촌

16.4Km    2024-12-20

경상남도 사천시 해안관광로 28-5
055-835-3735

“먹으면 장작을 패고 싶어진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장어는 스태미나 보양식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음식이다. 그중에 경남의 사천 장어는 그 육질이 부드럽고 고소하기로 유명한데 남해 바다를 벗 삼아 막걸리 초장에 찍어 먹는 이 집의 장어회 맛은 가히 일품이라 손꼽을 수 있다. 먹기 위해 쉬어 간다고 하는 사천에서의 장어 맛. 이곳 실안장어촌에서 맛볼 수 있다.

조선비 숯불갈비

16.4Km    2024-12-26

경상남도 사천시 벌리7길 7
055-832-9929

삼천포에는 벌리동이라는 음식점이 밀집한 지역이 있다. 일명 먹자골목으로 불리는 곳인데, 이곳에서 가장 유명한 돼지갈빗집을 찾으면 이구동성으로 조선비숯불갈비를 꼽는다. 손님을 선비처럼 모신다는 뜻으로 2000년에 영업을 시작하였다.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이곳의 변함없는 자랑은 주인이 직접 여러 곳을 찾아다니면서 찾아낸 연하고 육질이 좋은 쇠고기와 돼지고기이다. 그다음으로는 직접 개발해서 만든 갈비양념과 양파소스이다. 비법의 양념이 쏙쏙 배인 돼지갈비를 특제소스에 담겨 나오는 양파와 함께 쌈을 싸 먹으면 연하면서도 감칠맛이 난다. 소갈비와 삼겹살 역시 맛이 좋다.

삼천포돌게장

삼천포돌게장

16.4Km    2024-02-19

경상남도 사천시 벌리로 41

사천시 삼천포터미널 근처에 있는 삼천포돌게장은 가성비가 좋다고 알려진 간장게장과 생선구이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게장정식으로 꽃게 된장찌개, 간장게장, 양념게장, 가마솥 밥이 나오는데 간장과 양념게장 중 하나만 골라 1회 리필이 가능하다. 간장게장은 짜지 않아 양껏 먹을 수 있고 양념게장은 양념이 잘 되어 있어 밥과 김 가루와 비벼 먹다 보면 공깃밥 추가는 기본이다. 정식 메뉴에 나오는 된장찌개에는 오동통한 꽃게가 들어있어 끓일수록 깊은 맛이 나고 살을 발라 먹는 재미가 있다. 내부로 들어설 때는 신발을 벗고 들어가며 입식과 좌식 테이블이 골고루 있고 단체 룸도 준비되어 있다.

대영장어

대영장어

16.6Km    2024-12-23

경상남도 사천시 숲뫼1길 41
055-832-3188

경남 사천시 향촌동에 위치한 장어 전문 식당 대영 장어는 삼천포항에서 잡은 싱싱한 바다 장어로 요리한다. 메뉴는 장어구이와 영양 돌솥밥뿐이지만 그 맛이 깔끔하고 좋아 지역주민들의 방문이 끊이질 않는다. 다양하고 정갈한 밑반찬과 찌개 또한 맛이 일품이다.

J글램핑

J글램핑

16.6Km    2025-01-16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거북길 468-116

제이(J)글램핑은 바닷가 앞에 위치해 푸른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자랑거리이다. 특히 노을이 질 때나 삼천포대교에서 펼쳐지는 일출을 볼 때 더욱 아름답다. 또한, 하동 금오산에서도 아름다운 석양을 볼 수 있으니 산과 바다 모두 제이(J)글램핑에서 조망할 수 있다. 텐트는 크기에 따라 싱글 텐트와 트윈 텐트로 나뉘며, 크기에 상관없이 편안한 잠자리와 캠핑 도구를 모두 갖추고 있어 장비 없이 몸만 떠나면 된다. 특히 편안한 휴식을 위해 침구도 신경 써서 마련한 점이 보인다. 독립된 바비큐를 즐길 수 있으며, 특히 BBQ 무한리필 세트가 있어 BBQ 셀프바와 조식을 즐길 수 있다. 일반 수영장은 물론 온수 수영장도 마련되어 있어 날이 추운 계절에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감성 캠핑을 위한 빔프로젝터를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니 낭만적인 글램핑을 꿈꾸는 이들에게는 딱 맞는 캠핑장이다.

저도(딱섬)

16.6Km    2024-04-24

경상남도 사천시 저도길 17-11

한지를 만들던 닦(닥)나무가 많았다 하여 붙여진 섬 저도(楮島)에는 섬 사람들의 애환과 삶을 맛볼 수 있는 전형적인 어촌 섬 마을로 죽방렴과 함께 바지락으로 유명한 곳이다. 전체 해안선 길이 1.2km의 작은 섬이며, 사천항에서 북서쪽 방향에 위치하며, 가까이에 마도와 늑도가 자리한다. 해안에는 해식애가 발달되어 있고, 섬 전역에 난대림이 우거져 있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속하는 곳이다. 사천 실안 선착장에서 불과 700m가량 떨어진 저도는 배로 5분이면 닿는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고, 섬의 남쪽 해안에 있는 즉동방파제에는 잔교처럼 보이는 유료 낚시터가 있으며 감성돔, 볼락 등이 많이 잡혀 낚시꾼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저도와 실안마을 사이에는 봄부터 가을까지 어획이 가능한 죽방렴이 모두 4곳이 있으며, 저도의 바다는 유속이 매우 빨라 수백 년 전부터 전통적으로 물고기를 잡는 방식인 죽방렴 어업이 이어져 온 곳으로 인근 지족 죽방렴과 함께 유명한 곳이다. 저도는 죽방렴과 함께 바지락도 유명한데, 저도 주민들은 하나같이 맛이 좋은 [딱섬 바지락]을 내세우고 있다. 청정해역에서 나오는 저도 바지락은 한번 먹어본 사람은 반드시 찾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