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중앙시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진천 중앙시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진천 중앙시장

13.1Km    2024-08-26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중앙동6길 23
043-533-8966

진천 중앙시장은 1950년 1월에 개설되었으며 점포 53개 이상이 운영 중이다. 경영 현대화 사업을 통해 시장 활성화와 군민의 농산물 거래 및 생필품 구매에 활용되고 있다. 옛 양조장 골목으로 불렸던 진천군의 재래시장으로 진천읍 중심가에 있어 이용객의 접근성, 가시성 및 대중교통 환경이 매우 좋고, 이용객에게 좋은 시장으로 호평받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들로 형성되어 있어 생활용품 구매가 편리하고, 대형할인점과의 경쟁력을 잃어가는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자 시설 현대화와 각종 이벤트를 해마다 개최한다. 손 만두와 생거진천 떡 등 유명한 먹거리로 고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매달 5일과 10일 오일장이 서기도 하여 먹거리뿐만 아니라 볼거리가 더 다양해진다. 고객지원센터 건물 신축과 골목형 시장 육성 사업을 통해 지역 특화시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고, 시장 장보기 도우미 및 배송 서비스, 고객센터 운영 등으로 고객의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시장이다.

생거진천 전통시장

생거진천 전통시장

13.2Km    2025-06-16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
043-539-3376

1976년 진천에 흩어져 있던 노점들을 하나로 모으면서 생긴 생거진천전통장은 진천대교를 건너 백곡천 둔치 주변과 진천시장 동쪽 장터에서 활발히 열린다. 장날이 되면 상인들은 물론 시골 할머니들이 산이나 들에서 직접 캐온 봄나물을 들고 찾아든다. 구경하는데 2시간 정도는 걸리며, 충청도의 특산물이라는 올갱이(다슬기)도 볼 수 있다. 잡곡시장에는 여러가지의 곡식 보따리가 펼쳐져 손님을 맞이한다. 장터 한쪽면으로는 순대국밥 등 먹을거리가 늘어서 있다. 주차장과 화장실 등 각종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이용에 불편함이 적고 다양한 품목들을 판매하고 있어 구경하기에도 좋다.

입장꽃게장

입장꽃게장

13.2Km    2025-06-27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진로 974

입장꽃게장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기로리에 있는 가정식 백반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간장게장, 양념게장, 알탕을 한꺼번에 맛볼 수 있는 꽃게장 정식이다. 쌀이 좋아 밥이 찰지고 밑반찬도 깔끔하다. 이 밖에 닭게탕, 왕냉면 등이 준비되어 있다. 북천안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청룡사와 천안 천흥사지 오 층 석탑이 있다.

연곡계곡

연곡계곡

13.2Km    2025-03-16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진천군의 만뢰산에서 발원한 맑은 물이 이어지는 10km 정도의 계곡이다. 연곡저수지를 지나 맑은 물이 흐르고 숲이 우거져 있는 계곡은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이다. 시원한 계곡바람이 불어와 여름에는 진가를 알 수 있는 곳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흠뻑 느끼기에도 좋다. 여름휴가철 가족단위 관광지로 손색없는 곳이다.

진천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진천 향토민속자료전시관

13.4Km    2025-07-03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진로 1323

진천 향토민속자료전시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콘크리트조 기와집으로 지어졌으며 1996년 5월 2일 개관하였다. 조상의 얼이 담긴 각종 문화 유물과 생활민속 자료를 중심으로 전시하여 군민과 자라나는 학생들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함은 물론, 진천군 고유의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고 군민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시키고자 건립했다. 제1전시실은 역사전시실로, 진천의 역사와 문화유적을 알아볼 수 있도록 지형도, 연표, 문화유적 분포도를 제작 전시하고 있다. 또한 선사시대로부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와 백제 토기가마터의 발굴 당시 모습 그리고 고려, 조선시대의 자기를 중심으로 기형과 문양을 알아볼 수 있도록 전시하였다. 제2전시실은 민속자료전시실로, 우리의 선조들이 사용하던 의·식·주 생활용품과 농악기, 길쌈도구, 농기구 등을 기능별로 분류·전시하고 있으며, 야외전시는 조선시대 비의 건립 양상을 알 수 있도록 진천 역대 현감선정비를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13.4Km    2025-03-06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김유신길 170-4

이곳은 흥무왕 김유신 장군이 탄생한 곳으로 가락국의 시조 김수로왕의 13 세손이다. 김유신 장군은 만노군 태수(萬弩郡 太守, 만노: 진천의 옛 이름) 김서현(金舒玄) 장군의 아들로 진평왕 17년(595년) 진천읍 상계리 계양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나이 15세 되던 609년(진평왕 31년)에 화랑이 되고 낭비성 싸움에 공을 세워 압량주 군주가 되었다. 선덕여왕 때 상장군(上將軍), 무열왕 7년(660년) 상대등(上大等)이 되어 당군(唐軍)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후 나당연합군의 대총관(大摠管)이 되어 고구려를 정벌(668년)하고 태대각간(太大角干)이 되었으며 한강 이북의 고구려 땅을 다시 찾아 삼국 통일의 대업을 완수하여 흥무대왕으로 추봉 되었다. 지금의 계양(桂陽) 마을 입구에 장군터(태수 관저가 있던 곳)라 불리는 곳에 1983년에 유허비(遺墟碑)를 건립하였으며, 이곳에서 북서 방향 2㎞ 지점에는 태수 관저에서 사용했다는 우물터 연보정(蓮寶井)이 현존하고 있으며, 무술 연습을 했다고 전해오는 투구바위와 치마대가 있다.

진천의 문화유산을 찾아 떠나다

진천의 문화유산을 찾아 떠나다

13.4Km    2023-08-10

진천은 삼국통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낸 김유신 장군의 탄생지가 있는 곳이다. 보탑사의 목탑도 이곳에 오면 한번쯤은 봐야할 유적지고, 국내 유일의 종박물관도 볼만하다.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출처 : 머물수록 매력있는 충청

진천 덕산양조장

진천 덕산양조장

13.5Km    2025-03-18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초금로 712

1929년 덕산양조장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이곳은 80년이 넘은 전통의 양조장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 중 하나이며 진천 덕산 막걸리를 양조하는 곳이기도 하다. 양조장 입구를 들어서면 고객 대기실이 있으며 이곳에는 8, 90년대 물품들이 장식되어 있어 예전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이곳에서 생산되는 막걸리와 다양한 제례주들도 시음해 볼 수 있다. 양조장 건물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전통 막걸리에서 세계시장을 겨냥한 곡물 와인까지 20여 가지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한 제품들의 판매도 이루어지는 곳이다. 3대째 가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허영만 만화 식객에 등장하기도 하였다.

호텔 에이치

13.5Km    2025-06-17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주로 268-2

호텔에이치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에 있는 호텔이다. 경기도, 충청도에 있는 많은 골프장과 가깝다. 총 40개의 객실이 있으며, 침실 35개와 한실 5개로 구성되어 있다. 객실 타입은 스탠더드 디럭스, 스탠더드 트윈, 시그니처 디럭스, 온돌방, 로열 스위트룸이 있다. 전 객실에 초대형 TV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하 암반수를 이용한 스파를 즐길 수 있으며, 고급 입욕제를 무료로 제공한다. 호텔 앞에 주차 공간이 있다.

진천향교

진천향교

13.6Km    2025-03-17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화5길 30

진천향교는 조선 태조(재위 1392∼1398) 때 지은 것으로 순조 4년(1804)에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고치고 풍화루를 지었다. 1816년에는 대성전을 고쳤으며 그 후 여러 차례의 수리가 있었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대성전·동무·서무·명륜당·풍화루 등과 부속건물들이 남아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곳으로 동무·서무와 함께 제사공간을 형성한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공부하던 강당으로 이것을 중심으로 배움의 공간이 이루어진다. 풍화루는 학생들의 휴식공간이면서 누문의 기능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책·노비 등을 지급받아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에는 교육적 기능은 사라지고 봄·가을 2차례에 걸쳐 제사만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