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Km 2025-07-08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로61번안길 20
042-862-0065
모밥은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이곳은 홍어삼합, 수육, 굴, 해물파전 등의 해산물과 닭, 오리백숙 등을 함께 취급하는 종합 한식 전문 음식점이다. 이름처럼 어머니의 마음으로 요리하는 정신을 내세우고 있으며, 주택가 및 연구소 밀집 지역에 위치하여 지역 주민과 직장인들이 많이 찾고 있다. 모밥 주변에는 자운대, 수운교도솔천, 대전시민천문대, 지질박물관 등이 있다.
15.5Km 2025-09-15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로148번길 39-23 (지족동)
연선흠베이커리카페는 대전시 유성구 지족동에 자리 잡고 있다. 매장 외관과 내부의 깔끔함이 돋보이는 제과점이다. 대표 메뉴는 고구마 브리오쉬이다. 이 밖에 몽블랑, 소금빵, 블란서바게트, 대파크림치즈 베이글 등을 판다. 제과점은 지하철 지족역과 노은역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다. 주변에는 국립대전현충원이 있다.
15.5Km 2025-08-27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로 69 (신성동)
음식이있는풍경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에 있는 양식 전문 레스토랑이다. 이국적인 멋을 풍기는 외관과 모던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소꼬리찜 리조또와 트러플 파스타, 채끝 스테이크 등이 인기 메뉴로, 식재료의 신선함과 조화로운 맛이 특징이다. 유성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유성온천, 대전시민천문대가 있다.
15.5Km 2025-07-09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로84번길 18 (신성동)
숯골원냉면 본점은 평양 출신 피란민이 개업해 4대째 이어지고 있는 음식점이다. 대표 메뉴는 닭 국물과 동치미로 맛을 낸 육수와 메밀면이 주재료인 물냉면과 비빔냉면이다. 이 밖에 평양식 왕만두, 토종닭 백숙 등을 맛볼 수 있다. 이곳은 TV 예능 프로그램 ‘맛있는 녀석들’에 출연하기도 했다. 음식점 주변에는 엑스포 과학공원, 한밭수목원이 있어 연계 관광지로 삼기 좋다.
15.5Km 2025-06-11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070-7209-3770
백제문화유산의 향연으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공주‧부여‧익산에서 「백제문화유산주간」 개최한다. 「백제문화유산주간」은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문화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다양한 문화 체험 제공 및 백제문화유산을 홍보하고자 백제왕도인 공주 ‧부여 ‧익산에서 8개의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해마다 일주일 간 개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이다. 본 행사는 국가유산청 역사문화권과,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 (재)백제세계유산센터로 총 9개 관련기관(국가기관, 관련 지자체, 재단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며, 문화향유의 기대를 충족할 수 있는 역사 교육 현장이자 고품격 문화공간의 장이 될 것이다.
15.6Km 2025-04-28
충청남도 공주시 효심1길 12-1
곡물집은 토종 곡물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쇼룸이자 그로서리 카페다. 지역 농부들에게 공급받은 작물을 활용해 곡물을 블렌딩한 커피와 우리 곡물로 만든 다양한 음료와 디저트를 선보인다. 다양한 곡물과 책 그리고 커피가 한 곳에 조화롭게 진열되어 있다. 그 뿐 아니라 산지의 매력을 탐구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해 지속 가능한 미식 경험을 디자인하는 등 도시와 농촌을 잇는 일을 하고 있다. 지역 장인이 로스팅한 원두에 곡물 가루를 블렌딩한 커피 티백과 선비잡이콩, 등틔기콩, 아주까리밤콩으로 만든 미수(미숫가루)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보이고 있다.
15.6Km 2025-03-12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조선시대 충청도 관찰사가 공무를 집행하던 곳이다. 도내의 일반 행정·군사·조세 및 중요한 재판이 행해졌다. 원래 태조 4년(1395)에 충주에 설치되었으나 선조 35년(1602)에 공주로 옮겨와 충청도 전체를 관장하는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여지도서』에는 선화당을 비롯하여 50여 채의 건물과 칸수를 기록하고 있으나, 지금은 선화당과 포정사 및 삼문, 부속건물 1채만 남아있다. 지금의 선화당 건물은 순조 33년(1833)에 지은 것으로, 원래는 공주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자리에 있었으나 1932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지었다. 앞면 8칸·옆면 4칸의 규모인데, 원래는 앞면 9칸·옆면 5칸이었던 것이 옮기면서 축소되었다. 지붕의 옆선이 여덟 팔 (八) 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내부는 칸을 막지 않고 전체를 통칸으로 하여 넓은 공간을 마련하였고 2열로 기둥을 세웠다. 중앙은 우물 정(井) 자 모양의 천장으로, 주위의 툇간은 서까래가 드러난 연등천장으로 꾸몄다. 임금의 덕을 드러내어 널리 떨치고 백성을 교화하는 건물임을 뜻하는 ‘선화당(宣化堂)’이라는 현판을 앞면 중앙에 달았다. 조선 중기의 수법이 남아있는 조선 후기의 관아 건축으로 웅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15.6Km 2025-04-04
충청남도 공주시 왕릉로 37 (웅진동)
사적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백제 웅진시기(475~538년) 왕들의 무덤이 모여있는 곳이다. 무령왕릉을 포함한 이 일대의 고분들은 모두 7기가 전해지는데, 금강의 남쪽 구릉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무령왕릉과 5호분과 6호분이 있고, 동북쪽에는 1∼4호분이 있다. 1∼6호분은 일제 강점기에 조사되어 고분의 구조와 형식이 밝혀졌고, 무령왕릉은 1971년 5호분과 6호분의 보수공사 때 발견되었다. 1~5호분은 백제의 대표적 무덤 양식인 돌로 만든 굴식돌방무덤이고, 6호분과 무령왕릉은 당시 중국에서 널리 유행하던 무덤 양식인 벽돌무덤이다. 벽돌무덤은 백제에서 이전에 찾아볼 수 없던 새로운 양식의 무덤으로, 이는 백제가 중국 남조 양나라와 활발히 교류를 했다는 증거이다. 특히 무령왕릉에서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석수와 도자기를 비롯하여 일본산 금송으로 만든 목관, 태국 및 인도와의 교류를 의미하는 장신구 등이 발견되어 백제의 수준 높은 국제적 문화교류 역량을 엿볼 수 있다.
15.6Km 2025-07-09
충청남도 공주시 왕릉로 37 (웅진동)
웅진백제역사관은 공주시 웅진동 무령왕릉, 송산리 고분군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원래 2013년에 개관했다가 2020년에 전시실을 전면 개선하여 재개관하였다. 전반적으로 웅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주는 방향으로 꾸며졌으며, 백제의 공주 천도 이전과 이후에 대한 이야기들도 함께 담겼다. 크게 3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었으며, 1실은 (왕도 웅진)을 주제로 왕도 웅진이 건설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만화영상과 웅진도읍기 왕들의 초상화, 그리고 그들의 업적을 보여준다. 2실은 (갱위강국)을 주제로 웅진에 도읍하고 다시금 강국으로 부활한 백제의 모습을 소개하고 있다. 3실은 (문화강국)을 주제로 백제의 활발했던 국제 교류와 이를 바탕으로 피어난 화려한 백제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그 외에는 북카페와 휴게공간을 마련하고, 로비와 복도 곳곳에 웅진 백제의 문화를 반영한 콘텐츠들을 배치하였다. 웅진백제역사관은 국도 40호선 왕릉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주변에는 또한 공주문예회관, 황새바위성지, 공산성 등이 있다.
15.6Km 2025-09-10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청로 9 (신탄진동)
11시들쌈밥 신탄진대청댐본점은 대전 대덕구 지역 맛집으로, 매콤한 낙지볶음과 연탄불고기, 철판치즈불고기가 인기 메뉴이다. 숙성된 특제 고추장 소스로 깊은 매운맛을 자랑하며, 특허받은 연탄구이기계로 불맛을 가득히 입혀 감칠맛을 한층 더한다. 매장이 넓고 주차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가족 모임이나 단체 방문에도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