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Km 2025-08-22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02-779-7902~4
서울을 한 바퀴 휘감는 총연장 156.5㎞의 서울둘레길은 21개 코스로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 생태 등을 스토리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도보길이다. 둘레길 곳곳에 휴게시설과 북카페, 쉼터를 만들어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고, 전통 깊은 사찰과 유적지를 연결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자연 생태를 곳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했다. 5코스인 아차산코스는 사람과 역사를 잇는 길이라는 테마를 가졌으며 아차산은 정비가 잘 되어있는 편안한 트래킹이 가능하다. 전망이 뛰어나고 역사와 문화자원이 풍부하다. 또한 아차산 생태공원으로 인해 볼거리가 다양하다는 특성이 있다. 지하철 사가정역, 광나루역과 인접하다. 총 4.6㎞이며, 약 2시간 10분이 소요된다.
7.9Km 2025-03-20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70길 118 (망우동)
1983년 용마산 끝자락에 사설 놀이공원 용마랜드가 개장하여 운영되었는데, 2011년 문을 닫았다가 지금은 시설은 그대로 둔 채 추억의 폐놀이공원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크레용팝의 <빠빠빠> 뮤직비디오 촬영지로 명성을 얻기 시작면서 CF 촬영, 예능프로그램 촬영과 웨딩 포토 촬영 등 사진 찍기 좋은 장소로 유명한 곳이다. 촬영 및 대관 중일 때는 입장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확인하고 가야 한다. 경의중앙선 망우역 1번 출구 봉화중학교 옆에 있다.
7.9Km 2025-08-19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인 나만갑((羅萬甲, 1592~1642)의 행적을 기록한 비이다. 본관은 안정(安定)이고 호는 구포(鷗浦)이다. 인목 대비의 서궁 유폐 사건(西宮幽閉事件)이 일어나자 낙향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단신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갔으며, 관향사(管餉使)가 되어 군량 공급에 큰 공을 세웠다. 신도비는 사각형 받침돌 위에 비신(碑身 ; 글씨를 새기는 부분)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린 방부개석(方趺蓋石) 양식을 갖추고 있다. 비문은 김상헌(金尙憲)이 글을 짓고 송준길(宋浚吉)이 글씨를 썼으며 전액(篆額 ; 전서체로 비석의 이름을 새긴 부분)은 김수항(金壽恒)이 썼다. 비문에는 가계(家系)와 청년 시절, 관직 생활, 교유 관계, 자손 현황 등을 기록하였다. 1658년(효종 9)에 건립하였다. (출처 : 국가유산청)
7.9Km 2024-11-11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70길 103
충익공신경진묘역은 조선시대 신경진(1575~1643)의 묘와 신도비가 있는 곳이다. 1995년 1월 2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중랑둘레길 스탬프투어 코스에 포함된다. 신경진은 임진왜란 때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적과 싸우다 전사한 신립 장군의 아들로 태어나 김장생의 문하해서 수학했다. 장성한 뒤 선전관을 지내다가 인조반정 때의 공로로 벼슬에 올라 훈련원 삼대장을 겸하고 평성군으로 봉해졌다. 정묘호란에는 왕을 호위하는 공을 세워 부원군에 봉해지고, 병자호란 때는 선봉대에 서 왕이 남한산성으로 피난 갈 시간을 벌었다. 이후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42년(인조 20) 영의정에 이르렀다. 신도비는 조선시대 왕이나 이품 이상의 공신들의 무덤 앞이나 무덤으로 가는 길에 세워 죽은 이의 공적을 기리는 비석이다. 화강암에 조각된 거북 위에 새겨져 거북비라고 불렀는데, 비의 주인공이 신경진임이 밝혀져서 신경진신도비가 되었다. 이 비는 우암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박태유가 글씨를 썼다. 비 건너편에는 신경진의 묘가 자리하고 있다.
7.9Km 2025-03-20
서울특별시 중랑구 송림길 156 (망우동)
2006년 개관한 서울시립망우청소년센터는 2016년부터 서울 YMCA가 위탁받아 지역과 함께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생명과 평화의 가치를 배우며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열린 교육의 장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정진하는 데에도 힘쓰고자 한다. 서울시립망우청소년센터는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이곳은 청소년들의 진로 탐색, 문화 활동, 체험 학습 등을 통해 자기 개발과 사회성 향상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다양한 봉사 활동과 사회적 참여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미래를 준비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센터이다.
7.9Km 2025-08-20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48번길 15 (감북동)
소박사 서하남 IC점은 서하남 IC 입구에 있다. 9호선 둔촌동 오륜역에서 1km 떨어져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가기에도 편리하다. 자차 이용 시에 가게 앞에 주차장이 있어 주차도 편리하다. 정육 식당이어서 고기가 신선하고 가성비가 좋다. 직접 농사짓는 밭에서 수확한 야채를 쌈 채소로 제공하고 배추로는 김치도 직접 담근다. 각종 부위별 소고기와 돼지고기가 있고 직접 담근 김치와 된장으로 만든 김치찌개와 된장찌개도 점심 식사로 인기이다.
7.9Km 2025-08-18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안로 30 (성내동)
호원아트홀은 호원대학교 취업지원센터 건물에 위치한 공연장이다. 대극장, 소극장, 스튜디오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극장의 경우 총 462석의 계단형 공연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극장은 지하에 자리 잡고 있으며 100석의 계단형 공연장이다. 스튜디오는 블랙박스 형태의 공연장으로 2층에 OP석이 있다. 호원대학교 학생들의 졸업 공연이 주로 열리며 실감 나는 학생들의 연기를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이다. 호원아트홀은 둔촌동역 3번 출구에서 약 7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7.9Km 2025-08-21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 15 (감북동)
장어의꿈은 하남시 감북동에 있는 장어 직판 식당이다. 지하철 9호선 둔촌 오륜역에서 700여 m 떨어져 있어 대중교통으로 접근성이 좋다. 주차는 식당 건물 옆쪽으로 커다란 주차장이 있어 편안하게 할 수 있다. 이곳은 정육 식당처럼 식당 입구에 있는 장어 직판장에서 포장된 장어를 선택해서 선불로 계산하고 식당으로 가서 상차림 가격을 내고 먹는다. 장어 직판장이라 kg당 가격이 시장 가격으로 변동된다. 식당 건물 입구에 매일 가격을 고지한다. 반찬은 무한 셀프 리필해서 먹을 수 있다. 점심시간에는 점심 특선 식사인 장어탕, 초당 순두부 등을 먹을 수 있다.
8.0Km 2025-06-24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수레로661번길 174
묘적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가사 창건했다고 전해지지만, 이를 고증할 만한 기록이나 유물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묘적사에 관한 문헌기록으로는 『세종시록』, 『연산국일기』,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이 있으며, 이 문헌들에 묘적사는 조선 초기에는 그 사격이 유지되고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대웅전 앞의 팔각칠층석탑 또한 그 시대의 유물로 추정되고 있다. 묘적사는 창건 뒤 조선 초기까지 폐허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는데, 세종 때 학열스님이 180여 칸을 지으며 중창하였고, 남북 군영을 세워 무과 시험장으로 쓰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절에서 내려오는 말에 의하면 묘적사는 본래 국왕 직속의 비밀 기구가 있던 곳으로, 이곳에 일종의 왕실 신하 비밀요원을 훈련시키기 위한 사찰을 짓고 선발된 인원을 승려로 출가시켜 승려 교육과 아울러 고도의 군사훈련을 받도록 했다는 말도 전해진다. 그래서 임진왜란 때 일본군의 집중 공격을 받게 되었는데, 그 가운데 두 차례는 잘 막았으나 마지막 한 번의 공격을 막지 못하고 완전 폐허가 되었다고 한다. 대웅전에서 동쪽으로 약 20m 떨어진 곳에는 이제면이라는 사람의 묘와 묘비가 있어 이를 통해 묘비가 세워졌던 1720년(숙종 46) 무렵에는 절이 거의 페허화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후 묘적사가 다시 중건되는 시기는 19세기로 절에 남아 있는 기록 중 『묘적산산신각창건기』에 따르면 1895년(고종 32)에 규오 법사가 산신각을 중건했다고 한다. 그 뒤 1969년에 화재로 대웅전, 산신각 등이 소실되었다가 1917년 자신스님에 의해 대웅전과 요사가 중건되었다. 이후 1976년에 다시 대웅전을 비롯해 관음전과 마하선실을 중건하고, 1979년과 1984년에는 나한전과 산령각을 각각 건립했다.
8.0Km 2025-08-20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 24 (감북동)
팔복도가니탕은 서하남 IC 입구 근처의 감북동에 있다. 큰길 옆 커다란 입간판이 세워져 있어 찾기 쉽다. 9호선 둔촌오륜역에서 도보로 10여 분 거리에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좋다. 주차는 건물 앞에 커다란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100% 도가니만 사용하는 도가니탕이 대표 메뉴이고 진한 사골 진국에 담아낸 도가니와 살코기가 어우러진 모둠 설렁탕과 피부와 기력 회복에 좋은 건강 보양식인 우족탕이 있다. 자체 인터넷 주문 사이트도 있어 집에서 배달해서 먹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