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아틀리에젠즈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아틀리에젠즈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주)아틀리에젠즈

(주)아틀리에젠즈

14.6Km    2024-04-24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68길 23, 1층

-

삼청동거리

삼청동거리

14.6Km    2025-06-18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56 (삼청동)

삼청동의 지명은 산과 물이 맑고 인심 또한 맑고 좋다고 하여 삼청(三淸)이라 불리어졌다는 설과 도교의 태청(太淸), 상청(上淸), 옥청(玉淸) 3위(位)를 모신 삼청전(三淸殿)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삼청동거리는 예스러움을 간직한 한옥건물의 전통미와 갤러리, 카페의 현대미가 조화되어 삼청동만의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는 곳으로써 호젓한 산책로와 화랑, 박물관, 골동품 가게가 골목 사이에 숨어 문화향기가 가득하다. 도심의 분주함을 피해 한옥들 사이로 난 폭좁은 인도를 따라 걸으며 옛 정취를 느낄 수 있으며, 전통 한옥의 빛깔과 이국적인 현대 미술의 강렬한 색감이 공존하는 거리다.

북촌의 날

북촌의 날

14.6Km    2024-12-27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02-741-1033

<2024 북촌의 날>은 북촌의 이웃과 문화자원을 연계한 지역문화축제로서 지역성, 역사성, 주체성이 다양하게 엮이는 오늘날의 역사문화관광 거점인 북촌을 무대로 10/11(금)부터 10/20(일)까지 열흘 동안 진행된다. 작년 엔데믹 이후로 더욱 활발해진 지역 간 이동과 교류는 북촌을 더욱 약동시키고 있다. 특히 한국문화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백년전통을 다져온 북촌한옥마을의 곳곳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북촌에 거주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이곳을 방문하는 소비와 관광의 주체들 또한 지역문화의 중심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거주민의 정주권과 환경 문제 또한 대두되고 있다. 날마다 수많은 관광객이 오가며 다양하게 엮인 문화자원들과 이를 통해 지역사회가 외치는 K-문화의 부흥을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시켜야 할지 고민과 성찰이 필요하다. 서울공공한옥의 연간 최대 축제인 <북촌의 날>은 이와 같은 지역 이슈를 함께 생각하는 축제로서 고민과 성장을 시도하고 있다. 이번 축제의 다양한 주체들과 프로그램은 한국적 고유성에 드나드는 여러 가지 문화를 더욱 배려하고 포용하는 다문화주의적 사고를 지향한다. 이를 통해 전통의 변용가능성을 발굴하고, 한옥을 거점으로 남녀노소와 내외국인 누구나 주체가 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남양주 광릉(세조·정희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양주 광릉(세조·정희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4.6Km    2025-07-07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354

광릉은 조선 7대 세조(재위 1455~1468)와 정희왕후 윤씨(1418~1483)의 능이다.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식으로 조선왕릉 중 최초로 조성된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세조, 오른쪽 언덕(동쪽)이 정희왕후의 능이다. 1468년(예종 즉위)에 세조가 세상을 떠나자 현재의 자리에 조성되었다. 본래 이 자리는 동래 정씨 정창손의 선대묘역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릉이 조성되면서 동래 정씨 묘역은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되었다. 세조는 “내가 죽으면 속히 썩어야 하니 석실과 석곽을 사용하지 말 것이며, 사대석(병풍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 유언에 따라 능 내부의 방을 석실 대신 회격(灰隔)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왕릉 공사에 드는 비용과 인원을 감소시켰다. 이 방법은 광릉 이후에 조성된 왕릉에 모두 적용되었다. 또, 병풍석이 생략되면서 병풍석에 새기는 십이지신상을 난간석에 새겼다. 이후 1483년(성종 14) 정희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광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다. 이때 능의 이름을 동광릉(東光陵)으로 정하려고 하였으나 광릉과 같은 능역에 있다 하여 광릉으로 합쳤고, 정자각은 두 능 사이로 옮겨지었다.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향로와 어로는 조선시대에는 조성되었으나 현재는 소실되었고, 입구에는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하마비(下馬碑)가 남아 있다.

의정축산

의정축산

14.6Km    2025-07-22

경기도 의정부시 회룡로137번길 41 (호원동)

경기 의정부시 회룡로에 있는 고기구이 전문점이다. 1층과 2층을 모두 합하면 약 400여 석의 자리가 준비되어 있을 정도로 넓은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50인석, 28인석, 12인석, 8인석 등 다양한 좌석과 함께 룸도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종 단체 회식 및 가족 행사 등을 하기에 좋다. 추가 반찬은 셀프 코너에서 마음껏 가져다 먹을 수 있다. 발곡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있다.

민락고고롤러장

민락고고롤러장

14.6Km    2025-07-22

경기도 의정부시 천보로 68 (민락동)

의정부 민락동에 위치한 500평대 규모를 자랑하는 롤러장이다. 선수들을 위한 우레탄 바닥이 설치된 대형 롤러장으로 공간배치가 초보자, 중급자, 고수 뿐 아니라 처음 타는 왕초보존도 별도로 있어 남녀노소 실력에 관계없이 모두가 안전하게 즐길 수 있다. 또 보호자들이 기다릴 수 있는 대기존을 비롯해 매점, 코인 노래방 등 부대시설도 잘 준비되어 있다. 방학기간에는 평일 무료 강습도 운영하며, 유료 전문 강습도 진행한다. 의정부경전철 곤제역과 어룡역에서 약 5분 이내, 도보 약 15~20분 내외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인근에 곤제근린공원, 낙양물사랑공원 및 물놀이장이 있어 함께 갈만하다.

광릉한옥점

광릉한옥점

14.6Km    2025-05-13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내로 36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있는 숯불고기 메밀 쌈 전문점이다. KBS2 생생정보 및 생생정보통에 맛집으로 방영된 바 있다. 대표메뉴는 돼지 숯불고기 메밀 쌈, 소 숯불고기 메밀쌈이며, 그 외 평양냉면, 비빔막국수, 메밀 온면 등 여러 가지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숯불고기를 메밀 쌈이나 냉면에 싸서 먹으면 조화로운 맛을 느낄 수 있다. 자극적이지 않아서 담백하며 깔끔한 맛이 난다. 밑반찬으로 각종 나물 및 물김치가 함께 제공된다. 주차는 매장 앞에 할 수 있다. 근처에 공동체 정원이 있어 식사 후 가볍게 산책하기에 좋다.

낙원동 포장마차거리

낙원동 포장마차거리

14.6Km    2025-07-18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가

낙원동 포장마차 거리는 밤이 되면 열리는 낙원상가 앞 포장마차 거리이다. 야외 테이블이 식당 밖에 주르륵 늘어서 있는데 어둑해지기 시작하면 자리들이 하나둘씩 채워진다. 주변에 익선동, 인사동 등 관광지가 많고 광화문, 종각, 시청 근처의 회사들이 많이 모여 있어서 이른 저녁 시간에도 만석이 되는 곳들이 많으니 서둘러 자리를 잡는 것이 좋다. 대부분 음식의 가격이 저렴하지만 현금으로만 결제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꼬치구이. 산낙지, 멍게, 해삼 등 해산물과 탕, 볶음 종류까지 다양한 메뉴가 있으며, 포차마다 메뉴가 다르기 때문에 취향이나 인원에 따라 원하는 곳을 선택할 수 있다.

런던베이글뮤지엄

14.6Km    2024-11-18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4길 20 연화빌딩

런던베이글뮤지엄은 베이글 전문점으로 안국역 근처에 있으며 멀리서도 긴 웨이팅으로 한눈에 찾기 쉽다. 아침 8시 오픈임에도 불구하고 오픈 시간부터 웨이팅이 있는 맛집이다. 베이컨 포테이토 샌드위치는 이곳의 대표메뉴이며 베이컨 어니언 잼과 토마토, 베이컨, 으깬 감자로 만들어졌다. 다양한 종류의 베이글이 있으며 테이크아웃뿐만 아니라 커피와 함께 매장에서 식사도 가능하다. 내부 매장은 우드톤 인테리어에 영국 국기 모양의 가랜드로 영국 감성을 더했다. 예약은 온라인 웨이팅 앱으로 가능하며 등록하면 메신저앱으로 순서를 알려준다. ※ 웨이팅 등록하기: https://app.catchtable.co.kr/ct/shop/london_bagel_museum_anguk

가회민화박물관

가회민화박물관

14.6Km    2025-03-14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52 (가회동)

우리 겨레는 반만년이라는 유구한 세월 동안 외래문화를 수용하면서도 전통문화의 주체성과 독자성을 잘 지켜왔다. 그러나 오늘날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양식이 급변하면서 우리의 전통문화는 점차 퇴색되어만 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민족의 전통유산인 민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전시하여 훌륭한 문화유산을 느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가회민화박물관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일깨우기 위해 선조들의 삶과 지혜가 담겨 있는 민화와 부적을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하여 그 소중함을 일깨우고자 하는 데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2002년에 문을 연 가회민화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민화는 우리의 삶과 닮아 있는 그림이며, 무병장수(無病長壽), 부귀다남(富貴多男), 부귀공명(富貴功名) 등 인간의 소박한 바람이 담겨 있다. 한편 벽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민화를 통해 사람들은 그려진 소재의 주술적인 힘이 여러 가지 재앙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소원도 이루어준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