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Km 2024-10-0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46-15
02-2659-8788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남현당은 나무로 지어진 ㄷ자 형태의 100살이 넘은 한옥 게스트하우스다. 한옥은 5개의 방과 3개의 욕실 겸 화장실, 부엌, 그리고 넒은 대청마루와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토방 안에는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어 여름에는 시원하게 묵을 수 있다. 빵, 커피, 컵라면 등 간단한 조식을 제공한다. 숙소 인근에 창덕궁, 종묘, 조계사, 광장시장, 경복궁 등 주요 명소가 있어 여행을 편리하게 즐기기에 좋다.
7.3Km 2023-08-08
혜화동 로터리를 거쳐 성균관과 종교, 창경궁의 자생식물원까지 명륜동 일대의 자연이 베푸는 무한한 색의 향연을 누리며 잠시 속세의 혼탁함을 잊어보자. 이 오래된 성안의 지역은 과거와 현재가 그 어느 지역보다 혼재한 곳이다. 그 특별한 아름다움도 함께 누려보자.
출처:이야기를 따라 한양 도성을 걷다.
7.3Km 2022-04-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28-1
02-738-4525
직접 만든 전통차를 판매하는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매실차이다. 서울특별시 인사동에 있는 전통 음료 전문점이다.
7.3Km 2024-08-16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74 (동숭동)
Instagram. @geulinght_me Mail. cy9232@naver.com
사와 와의 집. 사랑을 하면 할수록 더 외로워지는 것 같아, 사와의 이별을 고민하는 와가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사의 앞으로 주소가 없는 채로 ‘랑으로부터’라고 적힌 송장이 붙은 택배가 도착한다. 랑이 누구냐고 묻는 와에게 사는 과거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과연 사와 와의 사랑은 어떻게 될 것인가!
7.3Km 2024-06-13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11길 14
02-754-1547
시청역 인근의 청송옥은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장터국밥이 맛있기로 소문이 자자한 곳으로 출출한 날 허전한 속을 든든하게 채울 수 있다. 사극이나 드라마에 나오는 것처럼 펄펄 끓는 솥에서 휘휘 저어서 주인의 푸근한 인심까지 한 그릇 가득 담아주는 맛있는 장터국밥을 먹을 수 있으며, 밥과 면이 함께 나온다. 빨간 색깔의 얼큰한 국물은 추운 날이면 생각나게 한다.
7.3Km 2025-07-30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61
서울시립미술관(서소문본관)은 시대와 미술의 변화에 부응하고 서로를 채우며 성장해 가는 네트워크 미술관이다. 서울 도심 한복판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 자리 잡은 서울시립미술관은 1920년대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옛 대법원 건물을 전면부만 그대로 보존한 채 신축하였다. 로비를 지나 계단을 오르면서 하늘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층에서 3층으로 오르는 나무 계단을 통해 건물의 전면부와 유리로 이어지는 실내공간의 독특한 멋을 느낄 수 있다. 충분한 자연광이 들어오는 밝은 실내는 관람객들의 촬영 장소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총 6개의 전시실이 있는데 1층 전시실의 경우 가장 큰 전시실이며 2층에는 상설전시실인 천경자 컬렉션 전시실과 가나 아트 컬렉션 전시실이 있다. 지하에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육실과 강당 세마홀이 자리하고 있다. 미술 도서를 수집·정리하여 열람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술 전문 자료실인 도서자료실도 갖추고 있으며, 예술 서점, 카페 등의 편의시설도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정동극장, 정동제일교회가 있는 고전미 넘치는 장소를 품은 정동길 옆에 있어 미술관 관람의 여운을 이어갈 수 있다.
7.3Km 2025-03-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6길 7 (관훈동)
02-734-3234
인사동큰집은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전한식 전문점이다. 실내 분위기가 아늑하고 전통적이어서 인사동 거리를 추억하기에 좋다. 다양한 반찬과 함께 제공되는 한정식이 인기메뉴이며, 인사동큰집 셋트, 특선 한정식, 큰집 한정식 등이 있다. 고등어구이를 비롯하여 돼지불고기, 된장찌개 등이 제공된다.
7.3Km 2025-03-19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88 (순화동)
이충순 자결 터는 일본군과 대치하던 중 자결하여 순국한 곳이다. 이충순 지사는 충청남도 홍성 출신이다. 일찍이 군대에 들어가 1902년 7월에 육군보병 참위로 임관되었다. 1905년에 군인구락부를 조직하고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 1907년 정미7조약이 체결되고 이어서 비밀각서에 의하여 한국군마저 강제 해산되기에 이르렀다. 8월 1일 시위대가 전격적으로 해산당하자 이를 거부하였고 미리 파견된 일본군과 경성에서 접전하던 중 크게 상처를 입었다. 일본군에게 사로잡히게 될 위기에 처하자, 그는 자결하여 체포당하는 수모를 받지 않았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 하였다. 중앙일보 빌딩 앞 화단에 서울시에서 설치한 표지석이 자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