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참치 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금정참치 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금정참치 본점

금정참치 본점

12.1Km    2024-02-20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523번길 20-8

금정참치 본점은 어울림공원 근처에 있는 숙성 참치 무한리필 집이다. 빌라 건물 1층으로 건물 앞에 주차를 할 수 있지만 협소하다. 내부가 크지 않고 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테이블 수가 적다. 이곳은 참치 오마카세 단일메뉴로 입장 후 최대 2시간 30분 동안 이용할 수 있다. 기본 찬으로는 죽과 샐러드, 초밥, 메로구이가 제공된다. 사장님의 부위별 설명을 들으며 무한리필로 제공되는 숙성 참치의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다. 부모 동반 미취학 아동은 밤 9시 이후 무료입장할 수 있다. 이 식당은 오픈 전부터 대기 명단에 대기자가 많은 곳으로 웨이팅이 다소 긴 편이다.

세브도르

세브도르

12.1Km    2025-03-27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431

서울에서 술만 전문으로 파는 전문점이 생겨 손님을 맞기 시작한 때가 1990년 9월이다. 세브도르는 이제 애주가들 사이에 꽤 알려진 곳이다. 이곳에는 국내 업체에서 생산하는 민속주, 소주, 맥주, 와인, 양주 등은 물론 동·서유럽 각국과 미국, 일본, 중국, 대만, 소련 등지의 와인, 위스키, 코냑, 진, 보드카 등 모두 1,000여 종 이상의 진귀한 술이 전시 및 판매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정찰제를 실시한다. 이곳의 정찰가격은 시중 소매점이나 백화점에 비해 싼 편이다. 세일은 보통 추석이나 설 등 성수기가 지난 후에 실시하는데, 성수기라도 단체로 구입하는 경우에는 정찰가격보다 싸게 살 수 있다.

카페드노피

카페드노피

12.1Km    2025-01-1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방아로 82 최상섭근린주택

지하철 분당선 이매역에서 750m 거리에 있는 카페이다. 넓고 잘 관리된 정원이 있고, 사슴, 자전거 등 작은 조형물이 배치되어 있다. 독채 매장 안의 유리문은 통으로 열려서 정원과 연결된다. 카페 내부에는 넓고 긴 테이블이 있어 단체모임도 가능하다. 매장 건물 주변으로 산책로가 있다. 테라스석에는 반려동물 입장이 가능하다. 매장 안에서는 신인 작가들의 전시회도 운영되고 있어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메뉴판에 브런치 메뉴는 사진이나 그림이 있어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오후 2시 이전에 브런치 세트를 주문하면 따뜻한 아메리카노가 제공된다. 1인 1 주문해야 한다.

홍루몽

12.1Km    2025-03-18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12길 26 (서초동)
02-585-3330

서초구 서초동 서울남부터미널 인근에 위치한 중식당 홍루몽은 오너셰프가 직접 운영하는 곳이다. 신선하고 좋은 식재료를 사용하여 요리하기 때문에 느끼한 맛없이 담백한 맛만 느낄 수 있다. 삼선짬뽕은 해물 베이스에 다양한 채소로 맛을 내고 불맛을 살려 해물의 시원한 맛부터 얼큰하고 깊은 맛까지 그 풍미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찹쌀탕수육은 기름을 자주 갈아 깔끔한 순백색과 쫄깃한 식감이 인상적이며 입맛 당기는 탕수육소스와 함께 먹으면 그 맛이 최고다.

샤로수길

12.1Km    2024-08-27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샤로수길은 서울대학교 입구 쪽에 위치한 식당가로, 서울대입구역 BX201 아파트 부근부터 낙성대동 주민센터 부근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름은 서울대학교의 상징물은 ‘샤’와 강남 가로수길의 합성어이다. 이곳에서는 다른 곳에서는 보기 어려운 특색 있는 음식점과 카페들이 거리에 있으며, 소품매장, 체험매장 등 젊은 층이 좋아할 만한 이색적인 가게들도 많이 소재해 있다. 서울대 후문 기숙사 인원 증가, 신림동의 상권 침체 등으로 인해 젊은 유동인구가 늘어나게 되었고, 거기에 홍대와 강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싸다는 점과 상권이 젊다는 이유로 인해 여러 음식점들이 하나 둘 모이기 시작했다. 그 후 2010년 대 중반 방송을 타고 서울의 새로운 명소로 부상하기 시작하였으며, 2014년부터 관악구에서 샤로수길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홍보하기 시작했다.

서울 헌릉(태종·원경왕후)과 인릉(순조·순원황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서울 헌릉(태종·원경왕후)과 인릉(순조·순원황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2.1Km    2025-09-02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 (내곡동)

헌릉은 조선 3대 태종(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 민씨(1365~1420)의 능이다. 하나의 곡장 안에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雙陵)의 형식으로, 앞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왼쪽(서쪽)이 태종, 오른쪽(동쪽)이 원경왕후의 능이다. 1420년(세종 2) 원경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 현재의 자리에 능을 조성하였다. 원경왕후의 능을 조성할 때 태종은 자신의 능자리를 미리 만들었다. 2년 후 1422년(세종 4) 태종이 세상을 떠나자 원경왕후의 능 서쪽에 능을 조성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능침 봉분은 모두 병풍석과 난간석을 둘렀고, 병풍석에는 십이지신상과 영저(금강저) 및 영탁(금강령) 등을 새겼다. 봉분 주변으로는 문석인, 무석인, 석마, 정중석, 장명등, 석상(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를 배치하였다. 특히 문석인, 무석인, 석마, 석양, 석호 등은 다른 왕릉에 비해 두 배 더 배치되었는데, 이는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玄·正陵) 제도를 따른 것이다. 능침 아래의 신도비각에는 두 개의 신도비가 있는데, 태종이 세상을 떠난 후 세운 신도비와 1695년(숙종 21)에 원래 신도비가 훼손되어 다시 세운 신도비가 있다. 인릉은 조선 23대 순조(재위 1800~1834)와 순원황후 김씨(1789~1857)의 능이다. 인릉은 한 봉분 안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으로, 우상좌하(右上左下)의 원칙에 따라 앞에서 봤을 때 왼쪽에 순조, 오른쪽에 순원황후를 모셨다. 1834년(순조 34) 순조가 세상을 떠나자 다음 해 파주 교하의 장릉(인조) 근처에 조성되었다. 그러나 풍수상 불길하다고 하여 1856년(철종 6)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옮긴 인릉 자리에는 원래 세종의 옛 영릉이 있던 곳이었는데, 인릉을 공사하면서 주변 땅에 묻혀 있던 세종의 옛 영릉 석물과 중종의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의 옛 희릉 석물을 다시 꺼내 다듬어서 사용하였다. 다시 사용한 석물은 문석인, 무석인, 석마, 장명등, 석상(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이며, 일부 석양과 망주석, 석마는 새로 제작하였다. 이는 인릉을 옮긴 후 편찬한 『인릉천봉산릉도감의궤』에 기록되어 있다. 인릉을 옮긴 후 다음 해 순원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인릉에 합장되었다. 능침 아래 비각 안에는 두 기의 표석이 있는데 1비는 조선시대에 세운 표석(순조대왕, 순원왕후)이고, 2비는 대한제국 때 세운 표석(순조숙황제, 순원숙황후)이다.

밀란국수 개포본점

12.1Km    2024-12-26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28길 4

개포동에서 가성비 맛집으로 숨은 맛집이다. 신선한 재료와 천연 조미료만을 사용하여 건강한 음식을 만든다. 메뉴는 샤브샤브와 코다리찜, 칼국수, 떡국, 굴국밥 등이 있다. 산지 직거래로 당일 공수한 신선한 재료와 천연 조미료로 맛을 내 자극적이지 않고 깔끔하다. 겨울에 가장 인기있는 메뉴는 시래기들깨떡국인데 들깨가루가 듬뿍 들어가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밀란국수의 모든 면에는 메밀이 함유되어 있어 면이 구수하다.

아리테호텔

12.2Km    2025-06-26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금곡로 193 (금곡동)

아리테호텔(Aritte Hotel)은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상가 건물에 위치해 있으나 전용 엘리베이터 이용이 가능해 상가와 분리되어 쾌적하고 조용함을 느낄 수 있다. 넓은 객실 대비 저렴한 가격, 여러 가지 고객 편의 시설을 완비하고 있으며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독창적인 인테리어를 자랑한다. 숙박 이용 고객은 상가 5층 휘트니스 센터 무료 이용이 가능하며 부대 시설로는 카페와 회의실, 컴퓨터, 복합기까지 준비된 비지니스라운지, 8층 옥상정원과 루프탑 휴게공간을 갖추어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장애인 전용 객실과 연말이나 생일파티를 위한 파티룸을 제공하여 경기 남부에서 인기가 많은 호텔이다.

사당시장

12.2Km    2025-05-29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244 (사당동)

1987년에 개설한 사당시장은 7호선 남성역에서 이수역 사거리로 가는 길 대로변에 위치해 있다. 3층 규모의 건물 종합상가형 시장으로 마트, 생활용품 할인점, 옷가게, 잡화, 병원등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어 골목형 전통 시장과는 분위기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필요한 건 구입할 수 있는 동네 시장이다. 2층과 3층에는 병원 등이 입점해 있다. 관리사무소가 있어 오래된 건물이지만 깨끗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사람들의 발길이 지속되고 있다.

올리브영 수원AK역사

올리브영 수원AK역사

12.2Km    2024-03-24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924 (매산로1가) AK플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