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마고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마고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개마고원

개마고원

15.4Km    2025-05-13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094
062-366-3744

개마고원은 맛과 멋, 풍요로움을 전하는 한우고기 전문점으로 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하고 있다. 1997년부터 지금까지 20년을 넘게 해온 광주의 맛집이다. 한우 꽃살, 갈빗살, 안창살, 생고기 등 최상급 고기류와 단체 손님에게 안성맞춤인 버섯불고기, 집밥 같은 한 끼 식사를 드리고자 준비한 한우사골우거지탕, 생고기비빔밥, 새싹비빔밥, 돌돌비빔밥등 개마고원은 누구에게나 기쁨을 주는 맛과 멋의 공간이 될 것이다. 자연 그대로 입맛 돋우는 맛깔스러운 음식과 예술혼 깃든 아늑한 공간이다.

이장우가옥

이장우가옥

15.4Km    2025-03-24

광주광역시 남구 양촌길 21

이장우가옥은 500여 평의 대지에 안채,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 문간채로 구성된 근대 한옥이다. 상류층 팔작 기와지붕 가옥으로 광주 지역의 부호였던 정낙교의 아들 정병호가 1899년 안채와 1935년 문간채를 건축하였고, 동신대학교와 동신중·고등학교 등을 설립한 동강 이장우 박사가 1959년 매입 후,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까지 완성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해당 건축물의 안채 상량문에 ‘광무 삼 년 을해 이월 십일 축시(光武三年乙亥二月十日丑時)’로 기록된 점을 보아 근대화 시기인 1899년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120.12㎡(약 36평) 규모이며, 툇마루, 작은방, 대청, 큰방, 부엌, ‘ㄱ’자형으로 꺾인 작은방으로 구성된 독특한 구조이다. 남부지역 가옥들의 평면 형태가 ‘ㅡ’자형인 것과 달리 ‘ㄱ’자형인 점과, 부녀자의 활동을 편리하게 하고 가족의 공간을 확보한 근대 한옥의 특징을 갖추었다는 점을 인정받아, 안채가 1989년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곳간채는 한때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다가 2009년 복원되었다. 마당에는 일본식 정원이 조성되어 있었으나, 2009년 광주 디자인비엔날레의 특별 전시 장소로 활용하면서 한국식 정원으로 재조성하였다. 이장우가옥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근대 초기 전통 상류 가옥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영화 <위험한 상견례> 영화 <위험한 상견례>에서 전라도 출신인 현준(송새벽 분)의 본가로 등장한 곳이다. 원형이 보존된 한옥과 한국식 정원이 어우러져 근대 가옥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숲속의베리팜

숲속의베리팜

15.4Km    2024-07-18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백아로 1951-65

숲속의 베리팜은 화순군에 있는 청정지역 북면에 있다. 2017년 4월 개장하였으며 48,000㎡의 넓은 면적을 자랑한다. 이곳은 어린이들이 좋아할 만한 내부 시설과 프로그램이 가득한 곳이다. 캠핑장 내부에는 1,700평 규모의 잔디광장이 있어 아이들이 뛰어놀기 좋다. 잔디광장 외에도 다양한 놀이 시설이 있는데 통나무 놀이터가 있어 가볍게 놀기 좋으며 미니 동물원에서는 아이들이 직접 동물들에 먹이를 주는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캠핑장 숲속 둘레길이 있어 등산 코스로도, 산책 코스로도 좋다. 이곳의 가장 큰 장점은 블루베리 체험농장이 바로 옆에 있어서 수확체험을 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친환경 무농약 블루베리 농장에서 계절별로 블루베리 심기 및 수확, 무농약 블루베리를 맛볼 수 있다. 한편, 주변 관광지로는 백아산 구름다리, 화순적벽, 금호리조트 아쿠아나, 담양 소쇄원이 있다.

칠봉이짬뽕

15.4Km    2025-03-20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394번길 23-26

칠봉이짬뽕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에 있는 짬뽕 맛집으로 유명한 중식당이다. 전원주택을 개조한 듯한 건물 외관이 인상적이다. 대표메뉴는 칠봉이 짜장과 칠봉이 짬뽕이다. 이외에도 얼큰짬뽕도 인기가 많은데, 매운맛 단계 별로 골라먹을 수 있다. 주문과 동시에 조리를 시작하기 때문에 주문 후 음식이 나오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탕수육은 식어도 쫄깃하고 바삭함을 유지하여, 포장 주문하는 손님들도 많다.

광주 전통문화관

광주 전통문화관

15.4Km    2025-07-10

광주광역시 동구 의재로 222

전통문화관은 남도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를 보존 및 전수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공간이자 함께 만들고 배우는 창작공방(創作工房)이다. 무등산 국립공원 초입에 위치한 전통문화관은 2012년 전통한옥 무송원(撫松院)을 이설 및 복원해 조성하고, 무형문화재 작품전시관과 전수실 및 서석당, 입석당, 너덜마당 등의 문화공간이 있다. 시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주말상설공연인 토요상설공연과 무등풍류뎐, 무형문화재 대시 민 교육인 전통문화예술강좌, 내외국인 관광객 및 청소년을 위한 전통문화예술체험, 공예 및 전통음식 체험 등의 친환경적 프로그램, 그리고 무등산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특별기획프로그램과 무등산권 활성화를 위한 10월의 무등울림 축제를 진행하고 있다. 아름답고 넉넉한 무등의 품속에서 우리의 옛것을 보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전통문화관이다.

증심사 계곡 안산암질용암

증심사 계곡 안산암질용암

15.4Km    2025-07-18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71

증심사 계곡에서 발견되는 화성암은 안산암질 응회암 및 안산암과 이를 관입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백색의 옥수(Chalcedony) 또는 녹색의 녹니석(Chlorite)이 타원형 모양의 행인으로 안산암에 나타난다. 이 지역의 화성암 형성은 화산 폭발에 의해 화성쇄설물이 쌓여 만들어진 응회암과 액상으로 분출된 용암이 굳어서 형성된 안산암 생성이 여러 차례 반복된 후 미문상 화강암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무등울림축제

무등울림축제

15.4Km    2025-04-23

광주광역시 동구 의재로 222 전통문화관
062-670-8511

오는 5월 24일부터 이틀간 무등산 자락 전통문화관과 그 일대에서 2025 무등울림축제가 개최된다. 축제 슬로건인 '산과 바다가 만나는 곳'은 전통문화의 가치를 계승하는 정신과 이를 재해석하여 만드는 다채로운 모습을 산과 바다에 비유한 것이다. 개막공연으로는 광주국악방송과 함께 평소 만나보기 힘들었던 국악인들의 화려한 공연이 펼쳐진다. 먹거리 푸드트럭와 문화장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전통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다.

유소바

유소바

15.4Km    2025-01-21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 468

광주광역시 양림동 유소바는 회색 외관이 마치 깔끔한 냉장고 같아서 외관부터 시원함을 주는 곳이다. 모퉁이에 있는 식당이라 좌석이 많지 않지만 작고 소담스러운 내부는 일본 영화나 드라마의 주인공이 된 기분을 들게 한다. 오픈된 주방이라 주문 후 바로 만드는 요리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덴푸라 (온/냉) 정식, 냉마구로 정식, 우삼겹 (온/냉) 정식이 메인 메뉴이고 우삼겹덮밥, 빨간 소바 등 단품 메뉴도 있다. 주차는 기독병원에서 학강초 방향으로 내려오다 보면 515카페 지나서 나오는 오른쪽 골목에 주차할 수 있다. 점심시간에는 천변에 주차해도 된다.

화담사

화담사

15.4Km    2024-09-12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156번길 17-8

고려가 멸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여 충절을 지켜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정희와 그의 아들 정초, 손자 정수충 3대와 정오도·민제장 등 5위를 배향하는 사당이다. 화담사가 자리잡은 곳은 예로부터 향기롭고 온화한 꽃들이 많다고 하여 화담이라 불렀다. 하동 정씨가 이곳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약 500여 년 전에 보성군수를 역임한 정화가 살기 시작하면서였고, 그 후 계속하여 후손들이 모여 살게 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다. 이 마을을 화정동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화담사의 [화]와 송정의 [정]을 합쳐서 이름을 지은 까닭이다. 이곳의 건물 배치는 제향 구역과 강학 구역에 높이 차이를 두어서 조성한 전학후묘 양식으로 가장 뒤에 화담사를 안치하고 그 앞에 내삼문인 양양문을 두었다. 이곳에서 계단으로 내려가는 중간에 동재와 서재를 두고 그 밑에 외인문을 배치한 전형적인 서원 건축양식을 갖추고 있다. 화담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앞 뒤에 마루가 있는 맞배지붕이다. 앞면의 마루는 개방되어 제향의식을 편리하게 한 사당 건축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앞부분의 문은 굽널을 둔 빗살문이며 겹처마이다. 평면구성은 앞에는 원형기둥을 세우고 중앙부는 사각기둥을 세워 앞마루가 퇴마루를 구성하지 않는 개방형이다. 청지재와 열호재는 동재와 서재가 같은 양식으로 건립된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 지붕이다. 평면 구성은 앞에 마루를 두고 모두 온돌방을 놓았다. 화담사 경내의 아름드리 배롱나무가 아름다워 볼만하며 음력 2월에 춘향제를 봉향한다.

양림미술관

양림미술관

15.4Km    2025-03-20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 70 (양림동)

광주광역시 남구청에서 관리하는 미술관이다. 양림미술관이라는 이름은 근대 역사 문화 중심인 양림동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건물은 한옥 형태이며 지하와 지상에 각 1층씩 전시실이 운영되고 있다. 주민과 작가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문화예술 공간이다. 대관을 원하는 경우에는 남구청에 문의하여 대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