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Km 2024-06-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북악산은 서울 분지를 둘러싸는 내4산인 북악산, 남산, 낙산, 인왕산 중 가장 높은 산이며 북한산 남쪽 지맥 중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이들 능선을 연결한 옛 서울의 성곽은 북악산을 기점으로 축조되었다. 옛 성벽이 능선을 따라 보존되어 있고 사소문의 하나인 창의문, 일명 자하문이 서쪽 산기슭과 인왕산과의 사이에 있어 시내 중앙지와 쉽게 연결된다. 창의문에서 정릉의 아리랑고개에 이르는 북악스카이웨이는 창의문, 팔각정, 풀장 등을 연결하는 관광도로로 울창한 숲과 서울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어 조망이 좋은 경승지이다. 청와대와 삼청공원과도 이어져 있다. 북악산은 예전부터 소나무가 울창한 경승지를 이루어 조선시대 선비들이 계곡을 찾아 탁족회를 자주 열었던 곳인데 이후 벌채로 소나무가 사라지고 현재는 참나무류가 많다. 고려 숙종 때 북악산 아래는 남쪽의 수도인 남경의 궁궐이 있었던 자리로 당시에는 면악이라고 불렀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백악산신을 모시는 사당이 있어 북악산을 백악산이라고도 불렀다고 전해진다. 북악산이라는 이름은 도성인 한양을 둘러싸고 있는 산 중 북쪽에 위치하여 붙은 이름이다. 북악산의 높이는 342m이며 남쪽으로 완만한 평지를 이루고 있고 모양은 삼각형으로 뾰족하게 솟아난 형상으로 주변에 비해 도드라진다. 조선이 건국되면서 무학대사에 의해 왕가의 기운을 받은 명산으로 칭송되었으며 그 아래 조선왕조의 궁궐을 세우고 도읍으로 정하게 되었다. 1394년(태조 4년)에 북악산 아래 경복궁을 축성하였으며 대한민국에 들어서 대통령의 집무실인 경무대(景武臺)도 이곳에 위치했다.
9.6Km 2024-01-15
경기도 의정부시 회룡로137번길 41
경기 의정부시 회룡로에 있는 고기구이 전문점이다. 축산과 식당을 16년째 운영하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 안심식당으로 선정된 곳이다. 1층과 2층을 모두 합하면 약 400여 석의 자리가 준비되어 있을 정도로 넓은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50인석, 28인석, 12인석, 8인석 등 다양한 좌석과 함께 룸도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종 단체 회식 및 가족 행사 등을 하기에 좋다. 추가 반찬은 셀프 코너에서 마음껏 가져다 먹을 수 있다. 고객 요청으로 최고 품질의 한우와 갈비로 구성된 상품 및 선물 세트를 판매하는 쇼핑몰을 오픈했다. 발곡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있다.
9.6Km 2025-04-2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 1000 (원당동)
덕이원조국수는 남해안 최상급 멸치로 낸 육수의 맛이 일품인 국수 전문점이다. 잔치국수는 멸치와 각종 재료로 우려내기 때문에 깔끔하고 깊은 맛이 나며, 비빔국수는 직접 만든 양념을 항아리에서 숙성시켜 사용한다. 또, 계절메뉴인 콩국수는 100% 파주 장단콩을 매일 아침 직접 갈아 사용하여 국물이 진하고 고소하다. 김치는 직점 담가 사용하고 재사용하지 않는다. 국수의 양이 기본적으로 많지만 1인 1메뉴 주문할 경우 곱빼기 추가 가격은 받지 않는다.
9.6Km 2021-03-15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361
02-939-8886
쭈꾸미와 삼겹살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쭈꾸미다.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9.7Km 2025-03-14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 119
시인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 문과 재학시절, 종로구 누상동에 있는 소설가 김송(金松, 1909~1988)의 집에서 문우(文友) 정병욱과 함께 하숙생활을 하면서 종종 인왕산에 올라 자연 속에서 시정(詩情)을 다듬었다고 전해진다. <별 헤는 밤>, <자화상>, <또 다른 고향> 등 시인의 대표작들이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윤동주문학관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민족 저항 시인 윤동주의 발자취와 세상을 향한 그의 시선을 기억하고자 2012년 세워졌다. 인왕산 자락에 버려져 있던 청운수도가압장과 물탱크를 의미 있게 리모델링한 곳이다. 2012년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2014년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하고, 2015년에는 현충시설로 지정되면서 공간의 가치와 더불어 그 의미도 주목받고 있다.
9.7Km 2024-09-19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해로 503-2 (상계동)
02-2289-3464
<댄싱노원>거리페스티벌 '은 매년 10월초 노원구에서 개최되는 서울 대표 퍼레이드 축제로서, 2013년부터 개최되었던 <노원탈축제>가 2023년부터 '<댄싱노원>거리페스티벌'이라는 새이름으로 올해 2회째 맞이하고 있는 축제이다. 지하철7호선 노원역 일대의 <노해로> 거리에서 펼쳐지는 자유로운 시민참여형 축제이자, 댄싱퍼레이드, 댄싱테마 콘텐츠 등을 비롯한 다양한 경연과 노원구의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프로그램들이 다채롭게 선보이는 축제이다.
9.7Km 2024-11-15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5가길 2 (부암동)
무계원은 종로구 부암동에 개원한 도심 속 전통문화 공간이다. 고즈넉한 풍광 속에서 한옥을 체험하며 전통과 문화를 통해 한국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무계원의 건물은 과거 종로구 익선동에 있었던 서울시 등록 음식점 1호 오진암의 건물 자재를 사용하여 지어졌으며 무계원의 대문을 비롯해 기와, 서까래, 기둥 등에 쓰였다. 무계원이 위치한 무계정사지는 안평대군이 꿈을 꾼 도원과 흡사해 화가 안견에게 3일 만에 몽유도원도를 그리게 했고 정자를 지어 시를 읊으며 활을 쏘았다고 전해지는 유서깊은 장소이다. 무계원의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는 세미나, 강연, 회의실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별채, 안채마루, 안마당과 뒷마당 등 부대시설에서는 다양한 전통문화 행사를 진행한다. 부암동은 조선시대부터 있던 곳으로 고즈넉한 분위기와 구도심의 느낌이 많아 산책하 듯 걸어도 좋은 곳이다.
9.7Km 2025-03-25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478 (응암동)
은평구 불광동을 기점으로 역촌동, 응암동, 증산동과 서대문구 북가좌동, 마포구 성산동을 거쳐 흐르는 약 9.21㎞ 길이의 불광천은 2002년 오수 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지하수를 끌어올려 물을 흐르게 하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변화했다. 인근의 불광사에서 이름을 따왔고 불광천 상류에는 물가로 스탠드가 자리하고 있고 분수 쇼가 열린다. 하천변을 따라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가 잘 조성되어 있고 다양한 나무의 수조 등을 심어놓아 계절별로 다양한 조경을 즐길 수 있으며 복원된 생태계를 구경하기도 좋아 인근 지역주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산책코스이다. (출처 : 비짓서울)
9.7Km 2024-12-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7길 27 (부암동)
2023년 [Timeout] 매거진에 선정된 곳으로 가수 박원이 실제 거주하고 작업했던 공간을 한옥스테이로 바꿔서 운영하고 있다. 서울의 중심 종로 부암동에 위치한 웰컴미스테익스하우스는 전통적인 한옥의 아름다움과 현대적인 편의시설이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공간을 선사한다. 웰컴미스테익스하우스는 깊이 있는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며, 편안한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주변에는 경복궁, 창덕궁, 인사동 등 서울의 명소가 주변에 있으며, 이곳에서의 하루는 여러분의 여행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웰컴미스테익스하우스는 모던한 감각이 묻어나는 인테리어와 한국의 전통이 조화를 이루며, 편안한 휴식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