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평촌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광주 평촌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광주 평촌마을

광주 평촌마을

7.0Km    2025-03-20

광주광역시 북구 평촌길 15

평촌마을은 무등산 북쪽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동림, 담안, 우성, 닭뫼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된 아담하고 한적한 농촌마을이다. 마을 들녘에는 평무뜰이 있어 친환경 우렁이쌀을 재배하고 있으며, 마을 중심으로 흐르는 풍암천에는 도심에서는 이미 자취가 사라진 반딧불이와 무등산의 깃대종인 수달(천연기념물)이 서식하고 있어 우수한 자연생태를 지니고 있는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이곳 평촌마을이 분청사기를 만들었던 곳으로 남도의 예술적 혼을 지니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현재 마을에 있는 평촌 도예공방이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마을 길목에는 무돌길 쉼터와 반디민박이 있어 마을을 지나는 이들과 무등산을 찾는 탐방객들에게 편안한 휴식처가 되고 있다.

KBC 광주방송

KBC 광주방송

7.1Km    2025-05-09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19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맞은편에 있는 KBC 광주방송은 1995년 5월에 TV 방송국을, 1998년 2월에 FM 라디오 방송국을 개국하였다. 한일 월드컵 중계와 함께 디지털 TV 시험국을 운영하였고, 11월 디지털 TV 방송국을 개국하였다. 2011년 8월 HD TV 제작센터 디지털 시설화를 완료하여 모든 프로그램을 HD로 제작하여 방영하고 있다. 2019년 7월 8일에는 광주광역시 남구 서동에서 서구 광천동으로 사옥을 이전하였다. KBC광주방송 신사옥은 DLP 화면을 갖춘 뉴스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으며, 건물 외벽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민간 방송으로는 DLP 뉴스 스튜디오, 라디오 오픈 스튜디오, 첨단 디지털 제작 시스템을 갖추고, 고품질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버버리 아동 신세계 광주점

7.1Km    2024-03-24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04 8층

-

버버리 신세계 광주점

7.1Km    2024-03-23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04 1층

-

광주호

광주호

7.1Km    2025-03-21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 (충효동)

광주호는 1976년 완공된 이래 광주와 담양군 일대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있는 인공 호수다. 무등산 아래에 위치하여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룬 호반 휴양지로서, 어족이 풍부해 낚시터로도 각광을 받아 많은 휴양인파가 찾는다. 광주호 상류 충효동 일대에는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유적지인 식영정을 비롯해 환벽당, 소쇄원, 취가정, 독수정 등의 정자가 자리 잡고 있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진수를 보여 주고 있다. 광주호 남쪽으로는 2006년 개장한 호수생태원이 있어 시민들의 자연생태학습과 휴식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브라운도트호텔 광주용봉점

7.1Km    2025-03-19

광주광역시 북구 저불로 55 (용봉동)
010-5634-2626

평촌도예공방

평촌도예공방

7.2Km    2025-03-21

광주광역시 북구 담안평무길 77

평촌도예공방은 무등분청사기의 맥(脈)과 더불어 체험 학습 공간과 전통도자기계승발전, 전통과 현대도자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조화시켜 분청사기의 현대화를 하나의 상품으로 발전시켜오고 있는 곳이다. 무등산 분청사기의 맥과 정신을 잇기 위해 무등산 분청사기를 재현함으로써 그 맥과 정신을 찾고, 사라져 가는 전통 도자기를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켜 다양한 체험의 장을 열고 있다. 또한 전통 도자기의 투박함 속의 화려함과 현대 도자기의 세련된 디자인을 접목시켜 현대와 전통이 아우러지는 하나의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광주호 호수생태원

광주호 호수생태원

7.2Km    2025-08-08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광주호(光州湖)의 호숫가 인근 184,948m²의 부지에 자연관찰원, 자연학습장, 잔디 휴식광장, 수변 습지 등 테마별 단지로 조성된 생태공원이다. 광주 시내에서 약 30분 정도 거리에 있어, 시민들이 찾기가 좋아 2006년 3월에 개장한 후 아이들의 자연 생태학습장이자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된다. 전체적으로 조용하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공원으로, 추운 날씨가 아니라면 꽃이나 동·식물들의 생태자료를 직접 볼 수 있다. 진달래, 개나리, 자산홍, 장미, 철쭉, 수국 등 형형색색의 야생화 17만 본이 심어진 테마별 꽃단지와 부엽식물원, 수변부 관찰 데크, 암석원, 그리고 때죽나무, 모과나무, 벽도동, 단풍나무 등 3,000여 그루의 나무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늪지에서 각종 새가 실제로 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메타세쿼이아 양편 가로수 사이로 목재계단을 조성하였다.

도원야영장

도원야영장

7.2Km    2024-06-05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도원길 80-30

도원 야영장은 전남 화순군 이서면에 자리 잡고 있다. 무등산 도원 계곡과 인접한 동쪽 자락에 자리를 잡아 무등산을 조망할 수 있다. 캠핑장은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 동부사무소에서 조성한 무등산권 최초의 자연 친화적 야영장이다. 일반 캠핑 사이트 19면이 마련되어 있다.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7.2Km    2025-03-20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

광주호 동쪽 호안(湖岸)과 충효동 마을 사이의 도로변에 위치한 왕버들나무는 버들과의 딸린 갈잎 큰 키나무이다. 암수 나무가 딴 그루를 이루며, 4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5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경기도 이남 지역과 일부 중부 이남 지역, 중국 중부 지역에 분포하며 풍치림(風致林)과 정자목(亭子木)으로 널리 사랑을 받고 있다. 물가나 들에서 자라며, 목재는 가구와 땔감 등으로 쓰인다. 충효동의 왕버들 3그루는 모두 광주시 나무로 지정되어 있는데 원래는 일송·일매·오류(一松·一梅·五柳)라 하여 마을의 상징 조경수였다고 한다. 그러나 매화와 왕버들 1그루는 말라죽었으며, 또 1그루의 왕버들과 소나무는 마을 앞 도로를 확·포장하면서 잘라 버려 지금은 왕버들 3그루만 남아 있다. 마을에서는 다시 왕버들 2그루를 식목하였으며, 소나무와 매화도 계속 식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충효동의 역사는 분명치 않으나 예부터 성이 있어 성안 또는 석저촌(石低村)이라 불려 왔다. 이 일대는 임진왜란 이전에 이미 양산보(梁山甫)의 소쇄원(瀟灑苑)을 비롯하여 김윤제(金允悌)의 환벽당(環璧堂), 김성원(金成遠)의 식영정(息影亭)과 누하당(樓霞堂) 등의 원림(苑林) 정각(亭閣)이 많이 있어, 주변 조경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