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암골설렁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두암골설렁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두암골설렁탕

두암골설렁탕

3.5Km    2025-05-13

광주광역시 북구 서방로107번길 88
062-262-0786

40년 전통을 자랑하는 두암골 설렁탕은 40년 동안 모든 재료를 신선한 국내산만 사용하고 있어 깔끔하고 깊은 맛을 낸다. 국내산 한우 사골과 뼈, 고기로 육수를 우려내어 대추와 인삼을 넣어 다시 한번 끓여 진한 육수 맛이 나는 설렁탕을 맛볼 수 있다. 이곳은 매일 담그는 김치, 숙성된 깍두기, 젓갈의 맛도 일품이다. 매장 내부는 가정집을 개조하여 식당으로 인테리어를 하여 정감 있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국립공원의 막내, 무등산을 오르다

국립공원의 막내, 무등산을 오르다

3.5Km    2023-08-11

무등산은 광주의 모산(母山)으로 일컬어진다. 무등산옛길을 따라 서석대에 오르면 그 까닭을 온몸으로 확인할 수 있다. 광주와 담양에 걸쳐 가슴을 연 무등산의 장관도 누릴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인 증심사에서 출발하면 무등산의 서쪽 능선을 따라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말바우시장 (2, 4, 7, 9일)

말바우시장 (2, 4, 7, 9일)

3.6Km    2025-08-07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85번길 62
062-262-4082

광주 북구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말바우시장은 말 발자국 모양의 바위(말바우)가 있었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시장이다. 50년 넘는 전통을 자랑하는 말바우시장은 조선 중기 무등산을 배경으로 활약했던 의병 김덕령 장군이 활을 쏜 다음 말을 타고 화살보다 빠르게 달렸는데 그때 말의 발자국이 바위에 찍혔다고 한다. 현재 그 말바위는 없어지고 건물들이 들어섰는데 그 건물 사이 골목을 중심으로 장터가 형성되었다. 2005년 광주시 북구청으로부터 인정시장으로 등록되어 담양, 장성, 곡성, 순창 등에서 찾아올 정도로 전통과 명성이 깊은 시장이다.

벽옥

벽옥

3.8Km    2025-01-14

광주광역시 남구 군분로 73
062-367-3392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에 위치한 벽옥은 무등시장 먹자골목에서 20년째 운영 중인 고깃집이다. 정품과 정량으로 손님들에게 믿음을 주기 때문에 광주 현지인 단골이 많다. 벽옥의 대표메뉴는 가성비 끝판왕인 돼지한마리이다. 생삼겹, 목살, 가브리살, 항정살, 돼지갈비가 나온다. 곁들임 구이로는 새우, 새송이버섯, 표고버섯, 은행, 양파, 묵은지 등이 제공된다. 이외에도 단품으로 생삼겹살, 칼집큐브삼겹, 도톰목살, 항정살, 가브리살 등이 있다. 고기 주문 시 지방이 적은 살코기나 고기 두께를 얇게 원한다면 미리 말하면 된다.

광주 북구문화원

광주 북구문화원

3.8Km    2025-07-31

광주광역시 북구 향토문화로 65 (중흥동)

예로부터 광주는 예향, 미향, 의향이라 불렸으며, 지금 광주에서는 예향 광주를 명실상부한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 만들기 위해 문화수도 조성사업을 통해 문화산업 인프라가 대폭 확대되고 있다. 북구는 광주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광주의 역사와 문화를 촘촘히 새겨 놓은 광주 역사문화의 생생한 지도라고 할 수 있다. 광주의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출범한 광주북구문화원은 매년 음력 삼월 삼지 날 화전 부치기와 민속놀이 경연, 무드리국악경연대회, 가족사랑 그리기 글쓰기대회, 민속놀이 체험마당, 문화역사유적지 탐방, 가족단위의 창작(애송) 시 낭송대회 등 다양한 장르의 참여형 문화 행사를 개최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문화향수를 고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립무등도서관

광주광역시립무등도서관

3.8Km    2025-03-21

광주광역시 북구 면앙로 130

1981년 광주시립도서관 중 처음으로 개관한 무등도서관은 지하 2층, 지상 3층의 오래된 벽돌 건물로 우산근린공원 내부에 있으며, 말바우시장과도 인접해 있다. 무등도서관은 광주 북구 지역의 대표 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도서관 인근의 말바우시장에 장이 서는 날이면 많은 인파로 거리가 붐비며, 수많은 상인과 시민이 어우러져 북새통을 이룬다. 우산근린공원은 산책로와 쉼터가 훌륭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얕은 오르막길을 걸어 올라가면 광주광역시립무등도서관 입구가 나온다.

창작농성골

창작농성골

4.0Km    2025-04-01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

벚꽃길로 익숙한 농성동 하정웅미술관 대로변 맞은편으로 조금만 발걸음을 옮기면 향수를 자극하는 옛 동네가 자리한다. 마을 사랑방 역할을 하는 ‘점방’이 아직도 존재하고 350년이 넘는 당산나무가 자리를 지키고 있는 마을이다. 긴 역사만큼이나 노후화한 이 마을은 ‘창작농성골’이라는 이름과 함께 옷을 새롭게 갈아입었다. 창작농성골은 농성동 68-23 일원으로 지난 2018년 도시재생뉴딜사업 ‘우리 동네 살리기’ 유형에 선정, 3년 간의 사업을 마치고 새로운 모습을 갖추게 됐다. 사업 이전 마을 골목 이곳저곳은 노후화해 고령의 주민들의 안전사고나 범죄 가능성이 항상 도사리고 있기도 했다. 마을 골목골목을 채운 그림들은 페인팅이 아닌 타일 등으로 벽과 바닥을 꾸며 이 마을만의 독특한 풍경을 만든 것은 물론 변색되지 않고 유지와 관리가 수월하도록 했다. 벚꽃이 한창 필 무렵 창작농성골은 옛 주택가가 아닌, 시원한 커피 한잔 들고서 산책하기에 좋은 공간으로 탈바꿈되었다. 곳곳이 따뜻하고 아기자기함으로 넘쳐나고 평소라면 그냥 지나쳤을 골목에도 각기 다른 볼거리와 재미가 담겨있어 숨은 그림 찾기를 하는 기분이 든다. 특히 공영주차장 위쪽으로 조성된, 마을을 내려다볼 수 있는 작은 전망대는 숨겨진 나만의 명소를 찾은 기분을 선물할 것이다.

우미추어탕

우미추어탕

4.0Km    2024-12-17

광주광역시 남구 금화로441번길 17
062-369-1171

월산동 주택가에 위치한 우미 추어탕은 어머니의 손맛을 그대로 담은 남도 전통 추어탕 집이다. 언뜻 보기엔 조그마한 동네 식당에 불과한데도 그 맛에 반해 점심시간이면 인근 직장인들과 입소문 듣고 멀리서 찾아오는 이들로 자리를 잡기 어려울 정도다. 집에서 했던 전통방식대로 미꾸라지를 삶은 후 일일이 한 마리씩 바구니에 손으로 거른다. 뼈는 믹서에 간다. 그렇게 해 둔 것을 당일 새벽부터 푹 고아 무시래기 넣고 된장 넣어 다시 뚝배기에 끓여 손님상에 내놓는다. 주인이 가을이면 시골을 돌아다니며 무청을 직접 걷어 정성껏 손질해 고향인 남평 시골 논에 말렸다가 1년 치를 쓴다 한다. 기본 반찬으로 콩나물, 자반, 묵, 멸치젓, 깍두기, 생김치 등이 나온다. 1년 내내 올라오는 자반 무침과 봄철에 나오는 양파김치는 추어탕 못지않은 인기 품목이다.

요담엔

요담엔

4.0Km    2025-03-20

광주광역시 북구 자미로66번길 39-2 (중흥동)

요담엔은 한국 발효전통문화의 가치를 새롭게 창조하는 광주 로컬 기업이다. 자체 기술을 가지고 있어 프리미엄 쌀누룩 브랜드를 제조·개발하였다. 또한 전통주를 기반으로 다양한 파생 상품들을 연구 개발하여 출시 중이며, 전통주를 빚을 때 사용하는 술 발효제를 사용하여 쌀누룩 요거트 ‘요엔요’, 24시간 만에 막걸리가 완성되는 ‘요막키’ 제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외에도 누룩을 활용한 다양한 로컬푸드 연구와 더불어 전통주 막걸리 클래스, 부재료를 활용한 계절 막걸리, 전통 모주 체험 등 교육 및 관광 서비스업으로 광주 관광문화를 활성화시킬 전통문화 콘텐츠 사업까지 함께 진행하고 있는 곳이다. 앞으로 광주를 대표하는 전통주 복합문화 콘텐츠 서비스 기업으로 자리 잡고자 하는 이색 체험 장소이다.

광주광역시국제양궁장

광주광역시국제양궁장

4.0Km    2025-04-07

광주광역시 남구 회재로 1187 (주월동)

국제 규모의 양궁장으로 2015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양궁 종목 운영을 위해 신축하였다. 광주광역시 출신의 기보배 선수의 이름을 따 기보배런던올림픽제패기념양궁장으로도 불린다. 국제 규모의 경기장 시설과 기보배, 최미선 등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이 평소 연습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국내외의 많은 선수들의 전지훈련지로 각광받고 있다. 2015년부터 광주 시민에게 개방하여 양궁 체험 교실을 운영하는 등 생활체육 장소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2016년부터 광주광역시 거점 스포츠클럽 종목으로 선정되어 유소년반, 성인반, 주부반을 운영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에는 관리사무소와 광주광역시양궁협회 사무실, 임대 사무실이 있으며 선수 훈련장과 실내 연습장이 있다. 2층에는 관람석, 화장실, 주차장 140면이 들어서 있다. 관람석은 1,085석이며 양궁장 사대 뒤편에 있다. 양궁장 사대에는 최대 64명의 선수가 동시에 서서 경기를 펼칠 수 있다. 활시위 모양을 본뜬 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며, 지열을 활용해 냉난방하는 친환경 시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