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Km 2025-03-19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산3
의열사는 이 고장 충신인 백제의 성충·흥수·계백과 고려 후기의 충신 이존오를 위해 부여현감 홍가신이 세운 사당이다. 후에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선비 정택뢰, 인조 (재위 1623∼1649) 때 문신 황일호(1588∼1641)를 추가로 모셔 현재는 6명을 모시고 있는데, 해마다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조선 선조 8년(1575)에 처음 지어 인조 19년(1641)에 새로 고쳐지었으며, 고종 3년(1866)에 헐렸다가 그 뒤 다시 지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원래 용정리의 망월산에 있던 것을 1971년 현 남령공원으로 옮긴 것이다. 사당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에서 보았을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주변에는 그 외에도 부여향교, 국립부여박물관,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 쌍북리 요지, 부소산성 등이 있다.
2.3Km 2025-05-07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77 종합관광안내소
충청남도 종합관광안내소는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성, 관북리유적 앞에 위치한 관광안내소이다. 충남 관광지, 특히 부여 관광지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 설명과 함께 관광 불편 사항 신고접수 및 처리, 외국 관광객에 대한 통역 서비스(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가용 없이 대중교통으로 부여를 찾은 관광객을 위해 무료로 짐 보관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며, 정수기, 컴퓨터, 프린터, 휠체어, 유모차 등의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충청남도 종합관광안내소는 부여시외버스터미널과 인접하여 여행객들이 이용하기 편리하다. 주변의 관광지로는 국립부여박물관, 부여정림사지, 부여왕릉원, 부소산성, 관북리유적 등 부여군 백제 역사 유적지구가 있다.
2.4Km 2024-07-11
충청남도 부여군 성왕로 256
서동한우 본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있다. 한우를 특허 받은 건조 숙성하기로 유명하다. 이 때문에 강한 풍미와 육향, 부드럽고 고소한 맛의 한우를 즐길 수 있다. 채널 Olive 예능 프로그램 수요미식회,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 등 여러 방송에 출연한 바 있다. 대표 메뉴는 서동건조숙성 등심&채끝이다. 이 밖에 서동모아, 한우사시미 국내산, 서동탕, 육회 등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부여IC에서 가깝고, 인근에 구드래나루터선착장, 세계문화유산 부여정림사지, 국립부여박물관이 있다.
2.4Km 2025-01-21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041-830-8413
우리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을 맞이하여 박물관에서 가족, 친지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설날 당일을 제외하고는 박물관 모든 전시실을 정상운영할 예정이며, 다채로운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1월 28, 30일(29일 설날 휴관) 2일간 ‘을사년 설맞이 어울마당’ 행사에서 요즘 어린이들이 경험하기 힘든 제기차기, 투호, 윷놀이 등 전통 문화체험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박물관 전시관 앞마당에서 별도의 신청 없이 참여 가능하다.
2.5Km 2024-01-03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29)
귀촌부부는 부여에 위치한 양식 전문점으로 현지인들 사이에서는 입소문이 난 곳이다. 대표 메뉴는 소고기 버섯 크림 리조또이며 음식이 깔끔하고 맛있다. 특히 부여에서 유명한 밤을 이용한 밤스프를 맛볼 수 있다.
2.5Km 2025-01-02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계백로 373
규모 있는 2층 전통 한옥 양식으로 1층 소고기 숯불고기 정육 식당과 2층 한식당으로 구분되어 있다. 2층 한식당은 8인실, 16인실, 단체실 등 다양한 객실이 준비되어 손님 접대 및 가족행사, 상견례 등 목적에 따라 프라이빗 한 식사가 가능하다. 한우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메뉴로 정통 한정식 코스요리를 맛볼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점심특선을 주문하면 양념 갈빗살 구이, 육회비빔밥 등 정갈한 한 끼 식사를 즐길 수 있다.
2.5Km 2025-03-12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부여 시내 남동쪽 금성산 기슭에 위치한 국립부여박물관은 1929년 재단법인 ‘부여 고적 보존회’가 발족되어 백제의 문화재. 유물을 모아 부소산 남쪽에 자리한 조선시대 관아의 객사에 전시하게 된 것이 국립부여박물관의 시작이다. 1939년부터는 ‘조선총독부 박물관 부여 분관’이라 하여 비로소 ‘부여박물관’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으며 1970년에는 부소산 남쪽 기슭에 새 박물관을 지어 부여지역을 비롯하여 백제권에 흩어진 백제문화유물을 중심으로 전시하였다. 1993년 8월 6일 현재 위치로 자리를 옮겨 새로운 모습으로 개관하였다. 국립 부여 박물관은 61,429㎡의 면적에 4개의 전시실과 야외 유물전시장을 마련하고 약 1,000여 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건물 설계 당시 한국의 전통양식을 도입하여 8 각형의 중정(中庭)을 중심에 두고 상설전시실인 선사실·역사실·불교미술실과 야외전시실을 배치하였다. 선사실에는 부여 지방을 중심으로 충남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 유물들을, 역사실에는 사비시대의 백제 유물과 삼국시대 유물들을 전시하였다. 불교미술실에는 사비시대 백제의 불교미술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야외전시실에는 불상과 석탑 등의 조각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2.6Km 2025-03-17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낙화암은 부여군 부소산 북쪽 백마강(금강) 변에 서 있는 바위 절벽이다. 백제 사비성이 나당연합군에게 점령될 때 수많은 백제 여인들이 꽃잎처럼 백마강에 몸을 던지는 모습이 꽃이 떨어지는 것과 같아 낙화암이라는 이름을 얻었다는 전설이 있지만,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절벽에는 조선 후기 학자인 우암 송시열이 쓴 낙화암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있다. 낙화암의 기암절벽은 부소산성을 통해 직접 올라가 정자에서 백마강을 바라보는 것도 좋고, 백마강에서 유람선을 타고 올려다보는 것도 좋다. 낙화암 아래에는 고란사와 고란사 선착장이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부소산성, 고란사 외에 부여 관북리유적, 정림사지 5층석탑, 부여 구아리유적, 부여 쌍북리 요지, 부여향교, 궁남지, 국립부여박물관 등이 있다.
2.7Km 2025-01-07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왕로 286
041-835-5338
직접 농사지은 쌀 및 채소류를 사용하며, 직접 짠 들기름으로 반찬을 제공한다. 예약제로 운영하기 때문에 방문하기 전 예약이 필수이다.
2.7Km 2023-12-07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계백로 334-47
금성산 조왕사는 국립부여박물관 뒤편에 위치한 아담한 사찰이다. 이곳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사찰로 추정될 뿐, 구체적인 연혁에 대하여 알려진 바는 없다. 조왕사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에 이르러서이다. 1913년 절 뒤편에서 훗날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비로자나불좌상을 발견하여 1919년에 법당을 짓고 이 불상을 봉안하여 중창하였다. 최근에는 1981년 요사, 1984년 종각, 1997년 대웅전을 새로 지었고,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좌불은 법당에 봉안되어 있다. 그리고 1987년에는 그동안 묻혀있던 석탑이 폭우로 인해 우연히 드러나 복구되어 부여군 향토 유적으로 지정되었다. 한편, 이곳은 화지산과 부여시가지 남부, 그리고 멀리 백마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여 경관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암벽과 바위 사이에서 나오는 약수가 있어 더욱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