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동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김제동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김제동헌

5.8Km    2025-04-08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동헌4길 46-1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로 전라북도유형문화재이다. 현종 8년(1667)에 외아와 함께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숙종 25년(1699)에 수리한 것으로 전해진다. 여러 차례의 수리와 개축을 거쳐 최근 원형에 가깝게 복원되었다. 원래는 안채, 안행랑채, 안측간 등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안채만이 복원되어 있다. ㄷ자형의 평면으로 조선시대 일반적인 중, 상류 계층의 주택건축과 거의 차이가 없다. 다만 대청마루 등에 굵은 두리기둥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일반 민가보다는 격식을 차리고 있는 점으로 두드러진다. 한단의 낮은 기단 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고, 네모기둥과 두리기둥을 섞어서 세웠으며 홑처마의 소로수장집이다. 거의 모든 주간(柱間)에 두 짝의 세살문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간결한 외관을 갖추었으며, 동헌의 내아 건물로는 얼마 남아 있지 않은 유구 중의 하나이다. 내아의 바로 앞 남쪽에 외아가 있다. 앞면 7칸, 옆면 4칸 규모이며,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가운데의 오른쪽 6칸에 대청이 있고 왼쪽 4칸은 온돌방이다. 외벽은 사방 전체에 같은 형태의 문이 달려있으며, 앞면 가운데 1칸과 뒷면 왼쪽에 출입문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간결하면서도 앞면을 7칸으로 꾸며 위엄 있는 건축형태를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 관아건축의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다.

두꺼비회관

두꺼비회관

5.9Km    2025-01-16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동서8길 21
063-547-9991

두꺼비회관은 전북 김제시에 위치한 한우요리 전문점이다. 지평선총체보리 한우를 부위별 구이로 맛볼 수 있으며 육회비빔밥과 갈비탕도 인기 메뉴이다. 이 외에 한우 갈비찜, 육개장 등의 다양한 식사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국내산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더욱 맛있는 밥상을 완성한다.

중수원

5.9Km    2025-01-07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동서9길 4
063-542-8013

중수원은 전북 김제시에 위치한 중식 전문점이다. 짬뽕이 맛있기로 유명하다. 깐풍기는 뜨거운 불에 빨리 튀겨내서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다. 거기에 소스와 건고추를 넣고 버무린다. 팔보채는 주꾸미와 해삼을 넣고 각종 해산물과 버섯, 야채가 들어간다. 단체 모임 식사를 원할 시 2층에서 공간을 구분해 조용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삼불암

6.0Km    2024-10-29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죽산면 서포4길 443

삼불암은 김제시 죽산면 불당마을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이다. 오래전부터 불당마을에는 고기를 잡으러 나갈때 마다 공양을 드리는 석불상이 있었다고 한다. 어느 날 큰 해일이 일어 이 불상이 어디론가 묻혀버렸다. 그 후 어느 해 방목리에 사는 정진섭이 술에 취한 채 마을 앞 연못가에서 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부처님이 나타나 말하기를 [연못의 물을 퍼내면 3위의 불상이 나올 것이니 연못 남쪽에 있는 빈터에 불당을 세우고 이를 안치하면 소원 성취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꿈이 연 이틀간이나 나타나자 아들이 없던 정진섭은 마을 사람들을 모아서 그 연못의 물을 퍼냈다. 그러자 과연 3위의 불상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불당을 짓고 3위의 불상을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전설이 있어서인지 지금도 아기 낳기를 기원하는 사람들이 삼불암을 많이 찾고 있으며, 해마다 삼월 삼짇날 동진강 하구에서 지내는 수륙재도 이곳에서 준비한다. 지금 있는 불당 건물은 1959년에 새로 지었으며 삼불암에는 요사, 종각, 석탑, 동자상, 중창비, 천마상 등이 있다. 삼불암에 안치되어 있는 3위의 석불은 조각하여 만든 것이 아니라 긴 자연석 대석 위에 불상 형태의 돌을 올려놓은 것이다.

원각사(김제)

원각사(김제)

6.0Km    2025-03-05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사정거리1길 20

사찰의 창건 및 연혁에 관하여 1984년에 기록된 ‘원각사사적비(圓覺寺事蹟碑)’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인 1927년 일본인 승려 아오키 타로가 일본 동본원사(東本願寺) 계통의 작은 규모의 사찰을 창건했으며, 창건 당시 이름은 진조사였다고 한다. 1945년 8월 해방 직후에 지금의 주지인 춘명 창석이 진조사를 인수하여 원각사(圓覺寺)로 이름을 바꾸고 사세를 점차 확장했다. 1968년에는 대웅전을 짓고, 1970년에는 종각을 새로 지었다. 1975년에는 최연화 화주의 시주로 오층석탑을 봉안했다. 1976년에는 미륵불상을 봉안하였다.

김제문화원

김제문화원

6.2Km    2025-03-06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서암5길 5 (서암동)

도작문화의 발상지인 김제는 농경문화가 꽃을 활짝 피웠던 고장이다. 국내 최고최대를 자랑하는 벽골제로 인하여 생활이 넉넉하여 글 읽고 글쓰기를 즐긴 문화예술의 고장이자 충효의 고장이다. 또한 천년의 고찰을 자랑하는 금산사를 비롯하여 많은 유적 유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전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고장으로 징게맹갱외에밋들(김제 만경 넓은 들)에 너른 들로 인해 지평선을 볼 수 있는 전국 유일한 문화 도시이다. 이러한 곳에 위치한 김제문화원은 1966년 10월에 개원하였다. 김제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지역문화의 맥을 잇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김제문화원에서는 주민들이 김제의 역사와 문화를 더욱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예의 교육 및 새로운 문화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백석서원

백석서원

6.3Km    2025-03-05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범득골길 187-22 (갈공동)

백석서원은 조선 효종 3년(1652년) 승반산에 세워졌던 하나의 사당이다. 유집(柳楫)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다. 고종 5년(1868년)에 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고, 1902년 지금의 자리에 앞면 3칸, 옆면 2칸 맞배지붕으로 된 한식 목조기와집을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평선바지락죽

지평선바지락죽

6.4Km    2025-01-10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중앙로 99
063-546-3939

맛 좋은 김제 쌀과 국내산 바지락을 맛볼 수 있는 향토 퓨전음식점이다. (사) 한국음식업중앙회 전북지회에서 개최한 2006년도 전라북도 향토음식 품평회 경연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는 음식점이다.

송가면옥 함흥냉면

6.4Km    2024-12-26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중앙로 121-5
063-545-2123

홍어회를 얹어 나오는 회냉면이 주메뉴다. 묵은지를 씻어 함께 구워 먹는 삼겹살과, 만두, 불고기도 있다. 그리고 갈락새전골이라는 특별한 메뉴도 있는데 소갈비와 낙지, 새우를 주 재료로 갖은 채소를 더해 만든 것이다. 여기에 스무 가지쯤 되는 밑반찬이 제공된다. 아름답게 다듬어진 정원과 미닫이문과 창호지, 창문에 내린 발로 옛 정취를 느끼게 해준다.

광주복집

6.5Km    2024-12-19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요촌중1길 8
063-547-3346

복탕은 복어와 버섯 등 각종 야채를 둘러 나온다. 함께 복어회와 복어찜도 제공되며, 동치미와 파강회 등도 함께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