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 보물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헌책방 보물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헌책방 보물섬

헌책방 보물섬

9.2Km    2025-07-18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45 (문발동)

파주출판도시의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2층에 있는 헌책방으로 아름다운 가게에서 운영하고 있다. 추억과 사연이 담긴 귀한 헌책을 나눔으로써 이웃 사랑의 징검다리가 되고 있다. 보물섬은 우리 시대 명사들의 기증서나 추천 도서를 모은 지혜의 등대, 장르별 모음 공간인 테마창고, 절판본과 희귀본들을 모은 보물 창고, 작가의 기증품과 작품을 전시해 놓은 작가의 방 등 독특한 테마룸으로 꾸며졌다. 헌책뿐만 아이들의 추천 도서도 많아 아이들이 있는 가족들이 주말이면 즐겨 방문하는 곳이다. 헌책방 보물섬은 야외에서 자유롭게 책을 보고 구매할 수 있는 무인서가 양심 책방과 붉은 노을을 감상할 수 있는 평상을 마련하였고, 이곳은 출판도시만의 특별한 쉼터로 널리 알려졌다.

지혜의 숲

지혜의 숲

9.2Km    2025-07-24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45 (문발동)

아시아출판문화 정보 센터에 위치하고 있는 지혜의 숲은 가치 있는 책을 한데 모아 보존·보호하고 관리하며 함께 보는 공동의 서재이다. 지혜의 숲은 출판도시문화 재단이 2014년도에 문화체육관광부의 후원을 받아 조성한 이래 재단의 자체 재원으로 운영하고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소녀시대 데뷔곡 ‘다시 만난 세계’의 뮤직비디오 촬영지다. 효연의 댄스 브레이크 장면이 바로 이곳 야외 계단에서 촬영됐다. 건축상을 수상한 이색적인 건물 풍경은 <로맨스는 별책부록>, <부부의 세계> 등 여러 드라마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파주출판도시 어린이책잔치

파주출판도시 어린이책잔치

9.2Km    2025-04-07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45 (문발동)
031-955-0055

파주출판도시 어린이책잔치는 출판인들이 직접 준비하는 살아있는 ‘책 놀이터’이다. 지난 2003년 행사가 처음 시작된 이래 파주출판도시는 ‘어린이를 닮은 도시’ 를 표방하며 어린이의 책 읽는 즐거움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왔다. <제23회 파주출판도시 어린이책잔치>는 '내가 커서 어른이 되면'이라는 슬로건으로 어린이들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꿈을 발견하고, 그 꿈을 향해 멋진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별한 시간으로 꾸며보고자 한다.

파주북소리

파주북소리

9.2Km    2024-08-06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45 (문발동)
031-955-0055

대한민국 출판문화를 선도하는 파주출판도시는 사람과 책, 문화가 한데 어우러진 곳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출판문화 클러스터이자, 수천 명의 출판인이 매일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대한민국 출판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올해로 13회를 맞이한 책과 지식의 축제 <2024 파주북소리>는 책에서 발현되는 다양한 문학예술 콘텐츠를 해외 시장에 소개하고 수출하는 글로벌 콘텐츠 마켓이자 복합문화페어인 <2024 파주페어 북앤컬처>와 동기간에 진행되며, 파주출판도시의 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출판도시를 거닐면서 책 속의 세계에 들어와 있는 듯한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도록 'Books Alive'를 주제로 삼일간(9/6~9/8) 진행되며, 책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여러 감각과 맛을 다루어보는 무대프로그램을 즐기며 다양한 분야의 작가, 아티스트와 함께 이야기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 외에도 많은 출판사와 독립출판, 동네책방이 참여하는 북마켓과 유관기관 캠페인존이 파주출판도시를 가로지르는 메인도로인 문발로에서 진행된다. 또한 출판도시 곳곳에서 진행되는 오픈하우스를 통해 책의 도시에서 책과 예술의 도시로 변화한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다.

파주페어 북앤컬처

파주페어 북앤컬처

9.2Km    2024-10-15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45 (문발동)
031-955-0075

2024년 첫걸음을 내딛는 <2024 파주페어_북앤컬처> (주최‧주관 출판도시문화재단)가 오는 9월 6일부터 9월 8일까지 3일 동안 파주출판도시 일대에서 개최된다. K-BOOK, K-콘텐츠가 국내외로 활발하게 유통·소비되고 있는 출판·콘텐츠 시장의 흐름에 발맞춰 준비한 <파주페어_북앤컬처>는 책이라는 원천 콘텐츠에서 발현되는 다양한 문화예술 창작 콘텐츠를 시민들과 함께 즐길 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 소개하고 수출하는 글로벌 마켓이자 복합문화 페어다. 파주출판도시의 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도서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갈라쇼와 연극, 프린지 쇼케이스, 버스킹, 북마켓, 아트마켓 등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고양시립 주엽어린이도서관

9.2Km    2025-03-12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로 104 (주엽동)

2007년 6월 28일에 개관한 주엽어린이도서관은 10만 권이 넘는 도서로 가득 채워진 어린이도서 자료실, 공연이나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어울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구촌 문화개념 강조 도서관으로 지구촌의 다양한 생활문화 이미지를 표현한 외국동화와 한국의 옛 정서를 느끼는 이야기방, 빛 그림 동화방 등 어린이들에게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병산서원의 만대루에서 모티브를 따와 마당이 있고 맨발로 걷는 한옥의 구조와 유사하다는 건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넒은 창과 재미있는 복층식 구조, 아기자기한 궁전 같은 건축물을 자랑하고 있는 도서관으로 책 놀이터의 역할을 톡톡히 하는 아이들에겐 행복감을 주는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파주 오두산성

9.2Km    2024-05-31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파주 오두산성은 파주시 탄현면에 있는 오두산의 정상을 둘러싼 길이 620m의 백제성이다. 이곳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지점으로, 정상부에서 남서쪽으로는 김포 일대, 서북쪽으로는 북한의 개풍군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다. 사면이 가파르고 서쪽은 임진강, 남쪽은 한강과 면하고, 동쪽은 농경지로 북쪽은 산록으로 연결되고 있다. 산 정상에는 성벽용 석재가 흩어져 있으며,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계속 수축된 것으로 보인다. 1990~1991년 사이의 발굴조사에서 토기, 백자, 기와, 철촉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리적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통일 전망대가 들어서면서 원형을 찾기가 어렵지만 이 유적 일원에 대한 현지 조사 결과,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 지점인 서안쪽에 당시의 성벽이 정연하게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축조 방법은 기초석 위에 지대석(5~15cm)을 들여쌓기 하여 내측은 전부 돌로만 채운 뒷채움석 형식이다. 큰 암반을 채석으로 이용하고 그 단면을 성벽으로 이용한 성곽 형태를 갖추고 있어 백제시대 성곽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파주오두산성 일부 지역은 군사지역으로 출입이 통제된다.

계단라멘

계단라멘

9.2Km    2025-04-23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율천로7번길 10 (정발산동)

일본 라멘을 파는 전문점으로 돈코츠 라멘과 튀김 막창이 들어간 계단 라멘이 대표 메뉴이다. 돼지뼈와 닭을 이용해 14시간 이상 정성스럽게 끓여 낸 육수를 사용한다. 일본 현지의 강렬한 맛보다는 부드럽고 한국스러운 맛으로 풀어내었다. 비조리 상태로 포장 및 배달이 가능하다.

숲카페

숲카페

9.2Km    2025-04-22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능안길 27 (식사동)

숲카페는 푸른 나무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카페이다. 고양시산림조합과 함께 운영되고 있는 곳으로, 카페와 나무 판매장이 있다. 잔디광장에는 해먹 등 설치되어 있어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게 배려했으며, 건물 외벽에는 대형 풍선 그림을 그려놓아 포토존으로 유명하다. 메뉴는 브런치와 베이커리, 커피와 다양한 음료 등을 판매한다. 또, 카페 내부 중앙에는 농산물, 건강식품, 우드 제품 등을 함께 판매하고 있다. 나무판매장에서 산림경영 지도원의 나무 심기, 가지치기 등 수목에 대한 기술지도 및 임업인을 위한 컨설팅 지도를 하고 있다.

고양시립마두도서관

고양시립마두도서관

9.2Km    2025-07-31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55 (마두동)

고양시립 마두도서관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 공공도서관으로, 1999년에 개관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독서 및 문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한다. 종합자료실, 어린이자료실, 디지털존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향토문화특성화도서관으로서 고양시와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자료를 수집·보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