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강스마트팜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사강스마트팜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사강스마트팜캠핑장

사강스마트팜캠핑장

5.4Km    2025-08-27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송산포도로 194

사강스마트팜캠핑장은 글램핑과 카라반을 운영하는 캠핑장이다. 시내와 가까워 접근성이 좋고, 흥미로운 레저 프로그램이 많아 풍성하고 알찬 캠핑을 즐길 수 있다. 관리동에는 공용 개수대가 있어 이곳에서 설거지나 식자재를 씻을 수 있다. 샤워실과 화장실도 깨끗한 편이며, 기본 샤워용품이 갖춰져 있어 편리한 캠핑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남양향교

남양향교

5.5Km    2024-10-21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글판동길15번길 18-3

남양 향교는 조선시대 유교와 성현의 가르침을 교육하던 교육기관으로, 고려말 조선초 약 625년의 역사를 품은 남양향교는 유림들이 학문을 수양하면서 위인들을 배향하던 곳이다. 1397년에 남양부 음덕리 면역곡동에 처음으로 지어졌으며, 1873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남양향교는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를 배치하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두고 있다. 그 외 출입구인 내삼문과 외삼문 그리고 제사를 준비하는 수복실, 홍살문 등이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앞면 7칸, 옆면 2칸의 규모로, 중앙에 있는 건물 좌우에 날개를 붙인 듯한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매우 독특하다. 음력 2월과 8월 정일에 열리는 [남양향교 석전대제]는 공자를 포함한 25성현에 대한 제례 의식으로 중요무형문화재이며, 이 외에도 음력으로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에 분향을 진행하고 있다. 대성전 옆쪽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가 있는데 1982년도에 지정당시 나무의 나이가 130살이었으니, 남양향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듯하다. 남양향교가 위치한 화성시 남양읍도 도시화되면서 향교와 빌딩, 아파트가 공존하는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역사의 숨결이 흐르는 고장으로 바뀌고 있다.

신화목장

5.6Km    2025-03-21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신남안길 189-10

신화목장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자리한 한우전문점이다. 대형 주차장이 있어 주차가 편리하고 목장이란 상호답게 한우 목장을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어 고기의 신선도와 맛도 좋다. 200명이 동시에 식사할 수 있을 만큼 내부가 넓고 다양한 크기의 룸도 갖췄다. 정육 식당답게 고기를 마음껏 고를 수 있고 반찬 종류도 다양하다. 식사 후 산책할 수 있는 휴게시설엔 분수, 물레방아, 정자와 함께 동양식 정원을 잘 가꿔 놓았다. 메뉴는 한우스페셜 모듬, 목장정식, 육회 등 다양한 소고기 종류를 맛볼 수 있고 이외에 돼지양념갈비, 왕갈곰탕 등의 메뉴도 취급한다.

라바팜스토리

5.7Km    2025-03-21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로368번길 127-1

라바팜스토리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라바팜스토리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이색적인 곤충, 파충류 등을 만나볼 수 있는 곳이다. 단체 예약 혹은 글램핑 바비큐 체험존 이용 시에만 동물관람관 입장이 가능하다. 외부에 트램펄린과 미끄럼틀 등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는 놀이터가 있으며 글램핑 바비큐 체험존에서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다.

선창포구

선창포구

6.0Km    2025-09-15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선창길 33

바다를 둥지 삼아 살아가던 조용한 어촌마을 주곡리는 한때 20여 척의 배가 바다에 나가서 고기를 잡곤 했다.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 소규모 공장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고기잡이 통통배가 드나들던 포구는 2020년 화옹방조제가 건설되며 어항의 역할을 다하게 되었다. 포구를 드나들던 뱃길에 갈대밭이 무성히 자라고 있다. 대부분 어업을 포기했지만 몇 가구는 아직도 바다에 나가고 있다. 근처 궁평항에서 잡은 고기를 손질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선창포구 어시장은 아직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데, 각종 젓갈, 대하, 꽃게, 조개류 등을 싱싱하고 저렴하게 구입하려는 발길이 이어진다.

화성 정시영 고택

화성 정시영 고택

6.3Km    2025-03-21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오얏리길 44-12

나지막한 동산이 둘러있는 명당 터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 잡고 있는 큰집이다. 솟을대문에 적힌 기록에는 "고종 24년(1887)에 문을 세웠다"라고 적혀 있으나, 안채와 사랑채는 이 문보다 약 50년 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문은 정면으로 내지 않고 북쪽측면으로 내어 언뜻 보면 집이 커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50칸이 넘는 큰 규모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마당이며, 마당의 왼쪽으로 길게 줄행랑채가 뻗어있고 오른쪽으로 사랑채가 자리한다. 사랑채 맞은편의 마당 끝에는 안채로 통하는 중대문이 있다. 중대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ㄷ자형의 안채는 앞이 개방된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안방·찻방(과방)이 있고, 오른쪽에 부엌·건넌방·마루를 배치하였다. 특이한 것은 사랑채의 안사랑방 뒤에 있는 골방이 뒷마루를 통하여 은밀하게 안채의 대청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대부 집에서 통상 쓰는 수법이다. 기다란 행랑채는 안채와 사랑채의 앞을 가로막아 안마당과 사랑마당을 형성하고 있다. 대문채는 여기에 연결이 되어 있다. 안사람들의 아늑한 생활공간이었던 뒤뜰은 우물과 장독대를 두어 안살림의 옥외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주위에 심은 감나무와 소나무는 뒷산으로 이어져 자연에 파묻힌 아름다운 공간구성을 만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평면형태가 [月] 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형적인 양반가옥의 모습을 보이는 주택이다. (출처: 국가유산청)

섹션

6.3Km    2025-03-20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신남안길 293

섹션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위치한 대형카페로 콘셉트는 ‘한국’ 그리고 ‘예술’이다. 총 4개의 섹션으로 구분된 이곳은 섹션별로 다른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하나의 콘셉트 아래 다양한 공간을 만날 수 있다. A동은 커피라운지로 음료와 디저트를 주문할 수 있는 공간이다. B동은 한국 가구 작가 최초 런던 사치 갤러리에 전시한 STUDIO SHINYOO( 사일런스 아트), C동은 한국적 가구와 오브제를 독특한 접근 방법으로 해석하는 SUPER POSITION (디지털 가든)을 볼 수 있다. D동은 뉴미디어 아트 전시관으로 빛, 소리, 공간을 통해 작업의 본질을 탐구하고 동시에 소통하는 아티스트 HWAN의 작품과 마음속에서 울리는 진동과 공간이 내뿜는 진동을 음악으로 연결하는 사운드 아티스트 Neo303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모두에게 이색적인 경험을 선사하는 복합문화공간 섹션에서 소중한 추억을 남겨보자.

논뚜렁밭뚜렁

논뚜렁밭뚜렁

6.4Km    2025-06-26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제부로 603

고향집, 외갓집에 가는듯한 느낌의 정겨운 한옥 토방집이다. 식당 바로 앞 넓은 마당과 근처에 넓은 주차장이 있다. 실내에 들어가면 도자기나 수묵화 등 엔틱 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맞이한다. 바지락 손칼국수 등 국수 메뉴와 정식 및 단품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정식 메뉴를 주문하면 본 메뉴와 열무김치, 두부조림, 잡채 등 반찬이 푸짐하다. 된장찌개가 기본으로 나온다. 제부도 들어가기 전 매표소에서 4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 구도로에 있다.

화성 정수영 고택

화성 정수영 고택

6.4Km    2025-03-24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오얏리길 56

정수영 고택은 1800년대 말에 지은 초가집이다. ‘ㄱ’자 형태의 안채와 ‘ㅡ’자형의 사랑채와 행랑채가 모여 경기도의 전형적인 ‘ㅁ’자형의 평면구조를 보인다. 대문을 들어서면 안마당으로, 대문의 왼쪽에 사랑채, 오른쪽에는 행랑채가 자리 잡고 있다. 대청 뒷벽의 왼쪽에는 뒤창을 내고, 오른쪽에는 벽장을 만들어서 조상들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보통 사당을 따로 두지 않는 민가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전체적으로 간결한 구성이지만 중간 규모의 농사를 짓는 살림집에서 필요한 공간이 짜임새 있게 갖추어져 있다.

백미응서재

백미응서재

6.5Km    2024-11-26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밸미길 84
010-3065-7171

약 12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전통한옥으로서 " ㅁ " 자형 기와집이다. 안채와 사랑채 그리고 화장실 및 조리실등이 있는 별채로 구성되어 있다. 투숙객을 위한 객실은 총 3개로 큰 사랑방과 작은 사랑방 그리고 건너방을 운영하고 있다. 각 객실을 방과 같이 딸린 툇마루와 대청마루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옥 내 중정과 주차공간이 15대 이상되는 바깥마당 및 야외테이블과 의자등이 구비되어 있는 서해안 바다 마을에 위치한 곳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