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정보를 소개합니다.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설명

1868년(고종 5)에 제작되어 연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필선과 구도, 본존과 보살상의 얼굴모습, 산처럼 높이 솟아 있는 육계와 계주의 표현, 전체의 색조가 붉은 색과 파란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는 점 등 19세기 중엽 이후 불화의 전형적인 특징을 모두 갖추고있으며,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작품으로 그 보존가치가 크다.
이 탱화는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보덕사의 사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것인데, 1998년 9월 2일 월정사 성보박물관으로 옮겨져 전시중에 있다. 화기(畵記)와 복장주머니에서 발견된 원문(願文)을 통해 1868년(고종 5) 자우(慈雨), 창우(敞遇), 창택(敞澤) 등이 그린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에는 커다란 불좌상(佛坐像)이 있고 그 좌우에는 보살입상(菩薩立像)이 배치된 후불탱화(後佛幀畵)이다. 중앙의 본존(本尊)은 오른손은 어깨높이로 올려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고, 왼손은 발목 위에서 손바닥을 위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설법인(說法印)을 짓고 있다. 본존은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 이목구비가 오밀조밀하고, 나발(螺髮)의 머리 위에는 육계가 높고 뾰족하게 솟아 있으며, 커다란 정상계주와 반달형의 중심계주가 뚜렷하다.
본존 앞에는 오른쪽에 코끼리를 타고 있는 보현동자(普賢童子)가, 왼쪽에는 사자를 타고 있는 문수동자(文殊童子)가 있다. 본존의 좌우에는 화려한 보관(寶冠)을 쓴 보살입상이 꽃가지를 들고 서있고, 그 뒤로는 10대제자가 좌우에 각 5구(軀)씩 배치되어 있다.
이 불화는 조성기를 통하여 정확한 제작연도와 작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도 지극히 양호한 작품이다. 또한 필선이나 구도, 본존 및 보살상의 얼굴모습, 그리고 산처럼 높이 솟아 있는 육계나 계주(계珠)의 표현, 아울러 전체의 색조가 붉은 색과 파란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는 점 등은 19세기 중엽 이후 불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복장유물로 원문(願文)은 1868년(同治 7년, 고종 5년) 탱화를 조성하면서 발원하는 내용을 기록하였으며, 기타 복장유물로는 다라니 2매와 후령통 1점 등이 있다.
《복장유물》
복장유물은 이 탱화의 상단에 걸려 있던 복장주머니에 봉안되어 있던 것으로, 원문(願文) 1매, 후령통(喉鈴筒) 등 《조상경(造像經)》의 「제불복장단의식(諸佛腹藏壇儀式)」에서 밝히고 있는 품목들을 자세히 볼 수 있다.
원문은 1868년(同治 7년, 고종 5년)에 탱화를 조성하면서 발원하는 내용을 기록하였는데, 화기와 비슷한 내용이다. 복장주머니(腹藏囊)는 탱화의 상단에 본존(本尊)을 중심으로 좌우에 하나씩 2개가 걸려 있는데 삼산형(三山形)의 상부와 타원형의 하부 등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령통(가로 11㎝, 세로 3.3㎝, 높이 15㎝)은 사각형으로 종이로 만들었는데 위아래에한 글자씩 붉은 범자(梵字)를 썼고 안에는 5색(紅, 黃, 白, 靑, 綠)의 종이로 싼 오색의 실이 들어 있다.
그 외에도 후령통을 쌌던 보자기(黃梢幅子), 팔엽대홍련주(八葉大紅蓮呪), 천원(天圓), 지방(地方, 금강을 나열한 그림), 범자로쓰여진 진언(眞言) 2매(26×21㎝, 19.8×19.8㎝)와 오륜종자(五輪種子), 오방경(五方鏡), 범자를 한 글자씩 적은 작은 종이 등이 남아 있어 조상경(造像經)의 제불복장단의식(諸佛腹藏壇儀式)에서 언급된 의불화 복장의 일체 유물들을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이용안내

문의 및 안내 : 033-339-7000

주차시설 : 있음

쉬는날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당일

이용요금 : 없음.

이용시간 : 동절기 09:30~16:50 하절기 09:30~18:00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82 월정사 성보박물관

화순군립 운주사문화관

화순군립 운주사문화관

2025-05-08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20

화순군립 운주사문화관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에 위치해 있다. 운주사와 인근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기반으로, 지역 정체성과 전통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상설·기획 전시, 교육·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관람객에게 예술과 자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문화 경험을 제공한다. 전라남도의 문화와 역사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미술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해파랑길 관광안내소

해파랑길 관광안내소

2025-05-08

부산광역시 남구 오륙도로 137 (용호동)

코리아둘레길 해파랑길과 남파랑길의 시발점에 위치한 오륙도 해파랑길 관광안내소는 코리아둘레길, 갈맷길에 관한 각종 홍보물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남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관광기념품을 전시・판매하고 있다. 또한 영어・일어・중국어가 가능한 통역 안내원이 근무하고 있다. 관광안내소 1층에는 오륙도의 해양생태와 역사, 교육 자료를 소개하는 홍보관과 물품보관소(유료)가 마련되어 있어 여행객들의 편의를 돕는다. 2층에는 코리아둘레길 명예의 전당이 조성되어 있어, 코리아둘레길 완보자들의 발자취를 기념하고 걷기여행자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더한다. 특히 이곳은 코리아둘레길의 공식적인 시작점이자, 전국 걷기길 완보자들의 도전과 여정을 기념하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보를 통해 걷기여행 문화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에코스페이스 연의

에코스페이스 연의

2025-04-28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이펜1로 12 (신정동)

서울 양천구에 위치한 에코스페이스연의는 도심 속 생태 가치를 품은 특별한 문화·생태체험학습 교육 공간이다. 국내 최초의 인공 저류지 공원인 연의공원을 배경으로, 이곳은 사계절 내내 생물다양성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는 생태교육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7~8월이면 연의 연못에 수 놓인 연꽃의 향연은 시민들의 쉼과 감동을 선사한다. 에코스페이스 연의는 양천구 관내 교육기관과 협력해 생물다양성 교육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생태적 감수성을 기르는 생생한 체험의 장으로도 사랑받고 있다. 건립 당시 5그루의 미루나무를 보존하며 자연과 공존하는 건축 방식을 실천해 서울시 건축상(우수상)을 수상한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지속가능한 도시 생태계의 모델이자 문화와 교육이 함께하는 에코스페이스 연의는 서울 시민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자연 속 힐링 공간이다. 도심 속 새로운 생태 경험을 시작하는 곳이 바로 에코스페이스 연의이다.

1934 기차 동래역

1934 기차 동래역

2025-04-22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로 28 (낙민동)

기차역 동래역은 1934년 일제강점기 동해남부선 개통과 함께 부산과 울산을 잇는 철도 교통의 요충지로 깊은 역사를 지니고 있다. 또한, 동래 지역의 산업화와 도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던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동래역이 지닌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당시의 건축 양식과 구조 일부를 그대로 활용하는 등 2023년 구 동래역사 복원공사 및 2024년 내외부 전시시설 공사를 거쳐, 2025년 2월 '1934 기차 동래역'이라는 전시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시설 내부에는 동래역에 얽힌 근현대사적 가치를 소개하는 전시 공간과 역무원 제복을 입어볼 수 있는 체험 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광장에는 증기 기관차 1량이 있어 기차역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오아르미술관

오아르미술관

2025-04-23

경상북도 경주시 금성로 260-6 (노서동)

오아르(OAR)미술관은 ‘오늘 만나는 아름다움’이라는 뜻으로, 경주 출신의 개인 컬렉터 김문호 관장이 2005년도부터 수집한 개인 소장품 약 600점을 가지고 설립한 사립 미술관이다. 경주시 노서동 고분군 공원 부지에 위치한 미술관은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연면적 1594.06㎡ 규모의 신규 건축물로 신라 시대 왕과 왕비의 고분이 함께 있는 경주 대릉원 옆에 위치하고 있다. 오아르 미술관은 한국의 전통 예술과 세계적인 현대 미술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예술적 아지트를 지향한다. 특히, 천년 고도 경주의 전통과 현대의 예술이 만나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고, 다채로운 전시, 교육, 행사, 아카이브를 통해 누구나 쉽게 현대미술을 접하고 향유할 수 있는 경주의 새로운 예술적 랜드마크이다.

함석헌기념관

함석헌기념관

2025-03-26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23길 33-6 (쌍문동)

함석헌기념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인권 운동가로 '씨알의 소리'를 창간하고 시인, 교육자, 사상가, 언론인, 역사가로서의 삶을 살았던 함석헌 선생(1901~1989)을 기리기 위해 마지막 여생을 보내셨던 도봉구 쌍문동 집을 보존, 리모델링하여 작은 기념관 형식으로 건립한 곳이다. 함석헌 선생이 생활하셨던 지상 1층은 선생의 유품 전시, 발자취, 영상 상영 등 전시실로 구성하였으며, 창고로 사용하셨던 지하 1층은 세미나실, 도서열람실, 게스트룸 등 주민커뮤니티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그 외에도 씨알갤러리와 주민공간으로 유리온실과 앞마당 쉼터가 조성되어있다. 함석헌기념관은 작지만 알차고 의미 있는 함석헌 선생을 널리 알리고 주민들에게 편안하고 뜻깊은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넷마블게임박물관

넷마블게임박물관

2025-03-31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6길 38 (구로동)

넷마블게임박물관은 게임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다. 국내외 게임 소장품을 만나볼 수 있는 전시 공간이며 다양한 게임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학습 공간이자 게임을 직접 플레이할 수 있는 놀이 공간이다. 초기 콘솔 게임기부터 비디오 게임기, 게임 소프트웨어, 기타 게임 관련 소장품 등 게임 관련 소장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전시장은 게임 역사, 게임 세상, 게임 문화 등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게임 산업의 발전사, 게임의 메커니즘, 게임 체험 공간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게임 문화 테마 공간의 '플레이 컬렉션'에서는 고전 아케이드, 콘솔, PC 게임들을 즐길 수 있어, 아이들에게는 재미를 제공하고 어른들에게는 추억을 선사한다.

KOICA 월드프렌즈빌리지

KOICA 월드프렌즈빌리지

2025-03-20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다래골길 53

KOICA 월드프렌즈빌리지는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 대표 원조기관 KOICA의 해외봉사단 교육 기관 영월글로벌인재교육원에 부속된 월드프렌즈 빌리지는 KOICA 파견국 및 협력국 국가들의 문화를 전시관람(도슨트)과 의상체험, 악기 체험 등을 통해 직접 만나볼 수 있는 공공 전시체험관이다. 중앙아시아관에서는 실크로드의 상업중심지였던 중앙아시아의 상인과 낙타들의 이야기와 우즈베키스탄의 생활,전통의상, 악기 및 공예품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서남아시아관에서는 히말라야의 인사말 ‘너머스떼’를 배우면서, 네팔의 역사와 신들의 이야기 ‘티카’와 신비한 소리가 나는 ‘싱잉볼’체험, 불교 경문이 새겨져 있는 ‘마니차’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동북아시아관은 광활한 초원과 유목민의 문화가 살아 있는 몽골에서는 유목 생활이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며 발전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전통 가옥인 게르를 만들기 위한 ‘어니슨’게임 체험과 ‘샤가이’게임, 그리고 전통의상 ‘델’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동남아시아관에서는 황금빛으로 물든 미얀마의 불교문화를 체험하고 일상복인 론지를 입어 볼 수 있다. 미얀마의 전통 있는 수공예 우산인 ‘파테인’을 만나 볼 수 있으며, 자연 선크림 ‘타나카’도 체험할 수 있다. 아프리카관은 적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동물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이다. 이를 통해 기후 변화와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생각해볼 수 있으며 르웬조리 국립공원과 빅토리아 호수의 웅장한 자연을 경험하고 다양한 악기를 체험할 수 있다. 개발협력관에서는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역사를 돌아보고, 개발도상국을 돕기 위한 국제사회의 다양한 협력 활동을 알아볼 수 있다. 대한민국이 한때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성장한 과정과, 코이카가 수행하는 국제개발협력 활동을 알수 있다.

평택항 홍보관

평택항 홍보관

2024-12-26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로 98

평택항 홍보관은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전시관으로, 평택항의 역사, 발전 과정, 미래 계획 등을 소개한다. 다양한 전시물과 영상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전망대에서 평택항의 전경도 감상할 수 있다.

여의샛강도서관

여의샛강도서관

2024-12-2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여의도동)

여의샛강도서관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이다. 이 도서관은 다양한 분야의 도서와 전자책을 제공하며, 3D 프린터 등 다양한 메이커 기기를 갖춘 메이커스페이스 공간도 운영하고 있다. 1층은 북카페와 열람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층은 통창을 통해 아름다운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열람실이 있다. 또한, 어린이 도서 약 5,000권을 포함하여 총 12,000여 권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어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다양한 독서 자료를 제공한다.